View : 827 Download: 0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적용한 뮤지컬 활동이 중학생의 음악 흥미도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적용한 뮤지컬 활동이 중학생의 음악 흥미도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mpact of Musical Performing Activities Harnessing Project Based Learn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s in Music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 Focusing on Free Learning Semester
Authors
이찬이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본 연구는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뮤지컬 활동이 중학생의 음악 흥미도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유학기제 뮤지컬 활동에 참여한 중학교 1학년 4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뮤지컬 수업을 총 12차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자유학기제의 뮤지컬 활동은 중학생의 음악 흥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음악 흥미도 하위 영역 중 음악 활동의 가창 영역에 대한 흥미도와 음악가에 대한 흥미도에 큰 변화를 보였다. 학습자는 장면에 어울리는 음악적 특징을 스스로 탐색하고 적용하여 노래를 표현함으로써 성취감을 느꼈고, 그로 인해 가창에 대한 흥미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뮤지컬 넘버를 조사하는 활동을 통해 그 넘버를 표현하는 뮤지컬 배우들을 자연스럽게 접하게 됨으로써 음악가에 대한 흥미도가 향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둘째,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자유학기제 뮤지컬 활동은 중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하위 영역 중에 학습에 대한 애착과 학습에 대한 주도성·독립성에서 큰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학생들은‘뮤지컬 장면을 만들고 발표하기’라는 실제적 과제에 대하여 프로젝트 학습의 특징을 적용한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활동을 하나씩 실행해나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학습자는 본인의 생각을 시도하고 적용해가며 성취감과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고, 이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향상으로 이어진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는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적용한 자유학기제의 뮤지컬 활동이 중학생들의 음악 흥미도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뮤지컬 수업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 in music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re affected from carrying out musical performing activities implementing Project Based Learning (PBL) in Free Learning Semester (FLS). In this research, 48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ed 12 sessions of musical performing activities implementing PBL.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participating in the musical perform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overall interest in music. Among the subcategories of interest, interests in singing and musicians increased most significantly. The learners feel a sense of achievement by explor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cene and expressing their understandings of the song, leading to a greater interest in singing. Also, while learning about musical numbers, the participating students developed an interest in musical actors, which induced their interest in other musicians as well. Secondly, findings suggest that musical performing activities implementing PBL improved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Persistence, initiative, and independence in learning, in particular, rose the most. This is attributed to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the participating students felt while carrying out each step of the actual assignment to write and perform a musical scene based on PBL. In the process, the learners applied their thoughts and opinions in their performing and could see their ideas become reality. However,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remained the same, showing that students felt too much pressure from having to take and successfully play a certain role in a group. Results from this study revealed that doing musical performing activities implementing PBL in FLS promote students’ interest in music and self-directed learning. Further research to develop structured, better-quality programs are needed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learning competenc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