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3 Download: 0

중등학교 음악교사들의 퓨전음악에 대한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태도 조사

Title
중등학교 음악교사들의 퓨전음악에 대한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태도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Secondary Music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Attitudes Regarding Fusion Music
Authors
이예모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영석
Abstract
Fusion music, which began in the late 20th century, has become a popular music genre. Fusion music such as fusions of classical and popular music, Korean traditional and classical music, or Korean traditional and popular music has been enjoyed by many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However,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fusion music in the music education field. As such,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attitudes of secondary music teacher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survey study was conducted with 137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to assess general characteristics, PCK, and teaching attitudes, to analyze differences in PCK and teaching attitud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inally,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s of three areas; general characteristics, PCK, and teaching attitude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 which led to the following five conclusions. Firstly, the results showed that overall PCK scores with fusion music were around the average of those with music in general. In specific, ratings for “knowledge of representation” were the highest among all the subcategories of PCK, while those for “knowled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the lowest. The teachers actively used various multimedia materials and kept students engaged in class by utilizing diverse musical activities. However, they found it hard to utilize proper methods to teach fusion music. This suggests that music teachers should fully understand fusion music before teaching it and 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so that they can apply their understanding of fusion music in class. Secondly, the participants recorded moderate ratings for attitudes toward teaching fusion music in class. Among the subcategories, ratings for “social values”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activeness and interest” and “attitudes in class.” Though most of the participants placed a high value on fusion music, they had negative attitudes in class. For instance, they were not much willing to use much fusion music in class or join training programs about fusion music. Thirdly, the PCK level was higher among more experienced teachers and teachers who have taught fusion music many times before, indicating that teachers with longer careers or those with more experience of teaching fusion music have more expand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more improved teaching skills. Fourthly, teachers with longer careers or more fusion music teaching experience showed higher scores of teaching attitudes. This suggests that teachers are likely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classes harnessing fusion music when they have longer teaching experience or more experience of teaching fusion music. Fifthly, the study fou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CK and teaching attitudes regarding fusion music. This suggests that as to fusion music, PCK and teaching attitudes have a positive impact on each other. This study is limited as it failed to acquire a deeper understanding of secondary music teachers’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fusion music. This highlights a need for in-depth interviews to grasp music teachers’ thoughts and knowledge of fusion music from many different angles. Also, there should be in-class programs,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further research on fusion music so that secondary students could learn about the music of various genres in class.;20세기 후반부터 등장하게 된 퓨전음악은 클래식 음악과 대중음악, 국악과 클래식 음악, 국악과 팝음악 등으로 다양하게 혼합되어 나타나 누구나 접할 수 있는 하나의 큰 음악 장르가 되었다. 그러나 음악교육에서 퓨전음악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므로 이에 본 논문은 퓨전음악에 대한 중등학교 음악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태도의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두 변인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전국의 중등학교 음악교사 137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퓨전음악에 대한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태도와 각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준을 알아본 후, 두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현직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일반적 특성, 교수내용지식(PCK), 교수태도의 총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설문지는 연구문제에 따라 통계 분석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과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퓨전음악에 대한 교수내용지식(PCK) 수준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는 ‘표현지식’이 제일 높고 ‘교수법지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퓨전음악 수업의 향상을 위해 적절한 멀티미디어 자료와 다양한 음악 활동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지만, 적합한 음악 교수법을 활용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퓨전음악을 교수할 때 먼저 퓨전음악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하기 위한 교수 전문성이 향상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퓨전음악에 대한 교수태도 수준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는 ‘사회적 가치’, ‘적극성 및 흥미’, ‘교사의 수업에 대한 태도’의 높은 순서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퓨전음악의 본질적인 가치와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지만, 실제 수업에서 퓨전음악을 많이 활용하거나 퓨전음악 관련 연수 프로그램을 찾아가는 등의 수업에 대한 태도에서는 부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셋째,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수내용지식(PCK)의 수준은 교직 경력이 길고 퓨전음악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많을수록 교수내용지식(PCK)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직경력이 증가할수록, 퓨전음악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경험이 많을수록 음악교사들의 퓨전음악에 대한 전문성 지식과 기술 확장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수태도의 수준은 교직 경력이 길고 퓨전음악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많을수록 교수태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직경력이 증가할수록, 표전음악 교수 경험에 더 많이 노출될수록 퓨전음악을 활용한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다섯째, 퓨전음악에 대한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태도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는데, 이는 퓨전음악에 대한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태도가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중등학교 음악교사들의 퓨전음악의 활용성과 인식 수준을 깊게 파악하기에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는 음악교사들과의 개별 면담을 통해 퓨전음악에 대한 인식을 여러 방향으로 파악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퓨전음악을 활용한 수업을 통해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접할 수 있도록 퓨전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실제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교사 연수 등이 제공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