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1 Download: 0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리더 교사와 참여 교사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Title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리더 교사와 참여 교사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Other Titles
A narrative Inquiry on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uthors
오지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진영
Abstract
교사학습공동체는 학교 개혁의 일환으로 학교 문화를 재문화한다는 개념으로 교사 학습의 대안으로 시작되었다. 교사 학습은 교육 개혁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다. 교사들의 변화하고자 하는 의지를 키우고 교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 학습 기회의 제공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교사 학습에 대한 연구들은 교사 학습의 대안으로 교사학습공동체를 제안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는 관료주의적인 학교가 아닌 공동체로서의 학교를 의미하고, 교수에 대한 관심과 교직 문화에 있어서 전통적인 학교들과는 다른 문화를 가진 학교로서 학생들의 학습에 초점을 맞추고 교사들이 협력하는 학교 문화를 강조한다. 국내에서도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물이 증가하였고 특히 학교 안에 교사학습공동체를 만들려는 노력들이 많아졌다. 이에 서울시 교육청에서도 2016년부터 서울시 모든 학교에 교원학습공동체를 운영하도록 지침을 내렸다. 그러나 학교 내에 교사학습공동체가 정착되는 데에는 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이해의 부족, 교사들의 의사결정의 비전문성, 효과적인 리더십의 부재로 인해 난항을 겪고 있다. 한편, 선행 연구들은 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가 형성되는 데에 리더 교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제시하였고 이에 따라 리더 교사의 경험을 탐구한 연구들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리더 교사가 교사학습공동체를 학교 내에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에 초점을 맞추어져 있어서, 리더 교사가 교사학습공동체에서 어떠한 경험으로 성장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들은 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교사 유형별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어서 리더 교사뿐만 아니라 참여 교사의 경험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에서 리더 교사와 참여 교사의 경험을 탐구한다. 연구 문제는 첫째, ‘교사학습공동체에서 리더 교사와 참여 교사는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에서 리더 교사와 참여 교사의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본 연구는 연구 방법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이야기된 현상을 탐구하는 연구 방법으로, 교사들이 경험을 이야기하는 것은 자신들의 교수 실천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행위이며 이러한 의미 부여를 통해 교사 내면에서 일어나는 변화과정을 탐구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는 5명의 교사들과 면담을 하였고, 2곳의 교사학습공동체를 방문하여 회의와 연수에 참여하였다. 5명의 교사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경험의 의미를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2명의 리더 교사와 3명의 참여 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이야기는 성장과 변화의 이야기였다. 정근원 선생님은 협력적 탐구를 이끄는 리더 교사가 되었다. 학년 교육과정을 다듬고 수정하여 아이들에게 유의미한 교육과정, 교사들이 할 수 있는 교육과정, 국가가 요구하는 것을 담고 있는 교육과정인지를 확인하는 교육과정 개발자로 성장하였다. 정근원 선생님이 협력적 탐구를 이끄는 리더 교사가 되는 데에는, 한라초등학교에서 선배 교사로부터 동시 고르는 안목, 발도르프 철학의 선택, 주제 중심의 수업의 효과, 책을 읽고 적용하는 방법을 옆에서 보고 배운 점, 학교 전체적으로 학생의 학습에 초점을 맞추게 된 점, 동료 교사들과 함께 좋은 수업을 탐구했던 경험, 그리고 학년 교육과정을 완성하였던 경험들이 중요하였다. 심민 선생님은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을 이끄는 리더 교사가 되었다. 심민 선생님은 동학년 교사들이 수업의 큰 방향을 공유하여 수업이 한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꿈꿨지만, 동학년 교사들의 수업이 한 방향으로 나아갔던 것은 공개 수업이 유일하였다. 심민 선생님이 교육과정 재구성을 이끄는 리더가 되는 데에는, 교직원 회의에서 민주적인 사고방식의 경험, 학교 전체 교사들이 학생 중심으로 관점을 바꾼 경험, 학교 안팎에서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쌓았던 것들이 바탕이 되었다. 리더 교사들에게 교원학습공동체 경험은 변화의 경험이었다. 리더 교사들은 학생의 학습을 중심으로 관점을 전환하고, 선배 교사의 실천에 대한 낯섦을 경험하는 비참여의 경험과 선배교사와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동일시의 경험을 통해 리더 교사가 성장하는 데에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하였고, 교사학습공동체라는 상황 속에서 자신들이 하고 있는 것들의 의미를 부여하고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의미 협상력을 통해 동료 교사의 협력을 유도해 내었다. 그러나 리더 교사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공유된 기반과 책무성 만드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고, 지도안에 담겨 있는 의미를 공유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임진아 선생님은 한라초등학교에 와서 교육 이론 공부를 시작하였다. 임진아 선생님이 교육 이론에 입문하게 된 데에는, 교육 이론 연수에서 교사로서 가르치는 행위의 의미를 알게 된 것, 그리고, 리더 교사를 보면서 교육 이론에 대한 공부의 필요성을 느꼈던 경험이 작용하였다. 김보라 선생님은 한라초등학교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수업을 하였다. 초임 교사 김보라 선생님이 새로운 방식으로 수업을 할 수 있게 된 데에는, 첫 발령지인 한라초등학교에 잘 적응하였던 점, 그리고 한라초등학교에서 하고 있는 교육의 방향에 공감이 갔기 때문이었다. 허숙경 선생님은 한라초등학교에서 새로운 방식의 수업을 하였다. 이렇게 새로운 방식으로 수업을 할 수 있는 배경은, 한라초등학교에 5년 동안 있으면서 학생 존중의 의미를 알게 된 점, 그리고 동학년이 직접적으로 새로운 방식의 수업을 할 수 있게끔 도와주었다는 점이 허숙경 선생님이 새로운 방식으로 수업을 하는 데에 중요하였다. 참여 교사들에게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경험은 합법적인 주변 참여자로써 도움을 받고 새로운 수업을 배우는 경험이었다. 참여 교사들은 학생의 학습에 초점 맞춘다면 교실에서 교사로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와 새로운 수업이 학생들에게 주는 의미를 알게 되었고, 함께하는 교육 이론 연수, 공동 수업 설계, 수업 공개, 이야기와 같은 여러 겹의 협력을 통해 수업의 큰 방향에 대한 책무성을 동료 교사들과 함께 만들고 공유하였다. 그렇지만, 책무성 체계가 아직 완성되지 않았고 교육 이론을 해석하는 역량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의미를 경험하지 못하여 업무로 느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들의 경험을 탐구함으로써 교사학습공동체가 학교 안에서 교사들이 성장하고 변화하는 장소임을 밝혔다. 둘째, 교원학습공동체 교사들은 앞서가는 선배 교사, 경험 있는 선배 교사와의 결정적인 소통과 만남을 통해 비참여의 경험과 동일시의 경험을 할 때 리더 교사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여기에 의미 협상력이 더해져서, 교사학습공동체라는 상황 속에서 자신들이 하고 있는 것들의 의미를 창출하고 사건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들의 협력을 유도해 냄으로서 리더 교사로 성장하였다. 이는 교사들이 실천 양식들을 공유할 수 있는 교원학습공동체의 활성화를 요구한다. 셋째, 암묵적인 것에 대한 공유, 예를 들어, 안목, 관점, 대안 찾기, 수업으로 녹여 내는 방법, 이론의 선택을 교원학습공동체에서 교사들 간에 공유하는 것이 교사들이 성장하는 데 큰 계기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began as an alternative to teacher learning with the concept of re-cultivating school culture as part of school reform. Teacher learning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success of educational reform. Providing teacher learning opportunities is important to foster teachers' willingness to change and improve teaching skills. Studies of teacher learning suggested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an alternative to teacher learning.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means a school as a community, not a bureaucratic school, and focuses on students' learning and emphasizes a school culture in which teachers cooperate as a school with a cultu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schools in teaching culture. Research 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has also increased in Korea, especially efforts to create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schools. In response,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lso ordered all schools in the city to run a teachers' learning community from 2016. However, there is difficulty in establishing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schools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eachers' teacher learning community, teachers' lack of expertise in decision making and the absence of effective leadership. Meanwhile,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the leader teacher plays a crucial role in the formation of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the school, and the number of studies exploring the leader teacher's experience has increased accordingly. However, these studies focused on efforts by leader teachers to establish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schools, resulting in a lack of understanding of what experience leader teachers grow from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prior studies are presented in groups of teacher types in the process of forming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schools, so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teachers as well as leader teachers. The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 of leader teachers and participating teachers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s. The question of study is, 'What experience do leaders and participating teachers have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secondly, 'What is the meaning of leadership teachers and participating teachers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used narratives as a research method. Narrative exploration is a research method that explores the talked-about phenomenon, and teachers use narratives in this study because it is a semantic act that gives meaning to their teaching practice and allows them to explore the process of change that takes place within the teacher. This study interviewed five teachers and visited two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o participate in meetings and training. Reading the stories of the five teachers, they formed the meaning of teachers' experience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ory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of two leader teachers and three participating teachers was a story of growth and change. Jeong Keun-won became a leader teacher who led collaborative exploration. The school has grown into a curriculum developer that verifies whether the curriculum is meaningful to children, a curriculum that teachers can do, and a curriculum that contains what the state requires. In order for Jeong Geun-won to become a leader teacher who leads collaborative exploration, it was important to see and learn from the senior teacher at Halla Elementary School, the choice of Valdorf philosophy, the effect of the topic-oriented class, how to read and apply books, the experience of focusing on students' learning throughout the school, the experience of exploring good classes with fellow teachers, and the comple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Shim Min became a leader teacher who led the re-organiz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for the school year. Shimmin dreamed that the class would move in one direction as the same-year teachers shared the big direction of the class, but the only time the class of the same-year teachers went in one direction was open classes. Shimmin became the leader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experience of democratic thinking in the faculty meeting, the experience of the whole school teachers changing their perspectives around students, and the experience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For leaders, the experience of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an experience of change. Through the non-participating experience of experiencing familiarity with senior teachers' practice, and the same-time experience of forming a bond with senior teachers, the leaders set a critical stage for the leader teacher's growth, and induced co-operation of their fellow teachers through the meaningful negotiation that gave meaning to what they were doing and created new meaning in the situ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However, the leader teacher had a hard time creating shared infrastructure and accountability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it was difficult to share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map. Im Jin-ah came to Halla Elementary School and began studying educational theory. When Im entered the theory of education, she learned the meaning of teaching as a teacher in the training of the theory of education, and felt the need to study the theory of education when she saw the leader. Kim Bo-ra taught in a new way at Halla Elementary School. Kim Bo-ra, a novice teacher, was able to teach in a new way because she was well adapted to her first destination, Halla Elementary School, and because she sympathized with the direction of education she was doing at Halla Elementary School. Huh Sook-kyung gave a new way of teaching at Halla Elementary School. The reason behind this new way of teaching was important for Huh Sook-kyung to teach in a new way, as she learned the meaning of student respect during her five years at Halla Elementary School and helped the same school year directly take a new way of teaching. For participating teachers, the experience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the experience of getting help as a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nt and learning new classes. Teachers are part of students ' learning in the classroom, with focus on the new school students and how to act as a teacher know the meaning of.And theoretical education with training, joint public class design, class, great direction of the class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story over and over again, such as accountability for teachers and peers.And shared together. However, the accountability system was not completed yet, suffered from a lack of ability to interpret educational theories, and felt that it was a job because it did not experience the meaning of wha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do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first, by exploring teachers' experiences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revealing tha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a place where teachers grow and change in schools. Second, teachers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vided an opportunity to grow into leaders when they shared their experiences of nonparticipation through decisive communication and meeting with senior teachers who were ahead and experienced. With the added ability to negotiate meaning, it has grown into a leader teacher by creating meaning for what they are doing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understanding events, and encouraging cooperation among others. This calls for activating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where teachers can share practice forms. Third, sharing the implicit, for example, eye view, perspective, finding alternatives, how to melt into classes, and sharing the choice of theory among teachers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have shown a great opportunity for teachers to grow.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