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6 Download: 0

아동의 사회적 불안 완화를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Title
아동의 사회적 불안 완화를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rt Therapy to Mitigate the Social Anxiety of a Child
Authors
김찬미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society anxiety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and th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made an approach to a single case in qualitative methodology. Childhood falls in a period between six to twelve years old, when children decrease in their dependence on their parents and start to focus on their peer relations. They learn the basics to lead a social life through friends. When a child has social anxiety, he or she experiences difficulties with adaptive development required in the period. Social anxiety is a reaction of having fear in a social situation in which one is exposed to strangers or could be watched by others. Art therapy is much used to treat children with psychological anxiety or fewer verbal expressions as art reveals their meanings and emotions in the form of artistic work itself rather than verbal expression. In the past, art therapy was usually applied to groups to relieve their social anxiety. In case of a child not prepared to go and join a group, however, it will be meaningful to try individual art therapy to relieve his or her social anxiety.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n eight-year-old girl in the fir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She participated in total 22 sessions of art therapy in March ~ May, 2019. In this proces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photographs of her drawings and her recordings and their transcribed verbatim records in each session, treatment logs, supervision materials, field notes with records about her non-verbal emotions and acts during a session, and interviews with her mother. By apply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he investigator observed and analyzed repeatedly the data including treatment logs, verbatim records, and supervision materials. The analysis results of collected data show that there were total three big topics and seven small ones. In the art therapy designed to relieve the social anxiety with a child with social anxiety, there were three categories of experiences including "expression of elements to give her social anxiety," "expression of her hopes and expectations through artistic works" and "attempts at expanding her social relations." Based on these topics,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about the child's experiences with art therapy to mitigate her social anxiety: First, the participant with social anxiety made passive and anxious expressions often between her fear for evaluation and her wish for recognition in the early phase. As the sessions proceeded, however, she was able to express her suffering heart and emotions honestly and developed a positive attitude about her works of art and herself.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rt therapy helped the participant with social anxiety regard herself positively by offering a chance for honest self-expressions and mitigating her fear for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Secondly, the participant with social anxiety remained at the level of simple artistic expressions in the early days but got to express her expectations for her artistic works more and more, show a positive attitude, and express her wish for the future through her works of art. She increased her expectations and wishes for her artistic works according to the art therapy sessions, thus experiencing a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creating artistic works. Her positive attitudes and wishes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works had positive impacts on the mitigation of her social anxiety. Finally, the participant with social anxiety made attempts at expanding her social relations.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art therapy, she got to express her opinions more and more actively and change her peer relations in a positive way. The participant, who was low in the expression of her opinions in the early days, got to express her opinions freely in her relations with the investigator and expand her peer relations in school as she experienced art therap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rt therapy enabled her with social anxiety to express her opinions actively and form positive relations. In short, the child with social anxiety was able to reduce her fear for evaluation by expressing herself honestly through art therapy, thus regarding herself positively. Art therapy also mitigated her social anxiety as she experienced expectations, wishes,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r her artistic works. In addition, she expanded her social relations through active expressions of opinions in art therapy sessions, which had positive impacts on her peer relations.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at therapeutic experiences a child with social anxiety would have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designed to mitigate her social anxiety and shed light on the meanings of her experiences, thus holding academic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however, difficult to be generalized since it is a single case study with a limited scope of subjects. Follow-up study will need to promote the generalization of its findings by recruiting children with social anxiety from more diverse age groups and backgrounds and expand therapy not only to children but also their families. ;본 연구는 사회적 불안을 가진 아동이 미술치료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단일사례에 대하여 질적 연구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아동기는 만 6세부터 12세경까지를 가리키는데, 이 시기는 부모에 대한 의존이 줄어들고 또래관계에 집중하게 되는 시기이다. 아동은 친구들을 통해 사회생활을 해 나가는 데 필요한 기초를 배우게 되는데, 사회적 불안을 가진 아동은 그 시기에 따른 적응적인 발달을 이루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사회적 불안은 낯선 사람들에게 노출되거나 다른 사람들이 지켜볼 수 있는 사회적 상황에서 두려움을 느끼게 되는 반응이다. 미술치료는 이와 같은 심리적인 불안을 가진 아동이나 언어적 표현이 적은 아동에게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미술은 언어적 표현이 아닌 작품 자체로도 그 의미와 정서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동안 사회적 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미술치료는 주로 집단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아직 집단으로 나갈 준비가 되지 않은 아동의 경우에는 개인 미술치료를 통해 사회적 불안 완화를 위한 시도를 해보는 것이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8세 여아로 2019년 3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총 22회기의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매 회기 참여자의 작품 사진과 녹음 및 전사한 축어록, 치료 일지, 수퍼비전 자료, 회기 중 참여자의 비언어적 정서와 행동 등을 기록한 현장노트, 모(母)와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치료 일지와 축어록, 수퍼비전 자료 등의 자료를 반복하여 관찰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상위주제와 7개의 하위주제로 분류되었다. 사회적 불안을 가진 아동의 사회적 불안 완화를 위한 미술치료의 경험의 범주는 <사회적 불안을 주는 요소들의 표현>, <미술 작품을 통한 소망과 기대감의 표현>, <사회적 관계 확장의 시도>이다. 위와 같이 도출된 주제를 통해 사회적 불안을 가진 아동의 사회 불안 완화를 위한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불안을 가진 참여자는 초기에는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인정받고 싶은 마음 사이에서 소극적이고도 걱정스런 표현을 자주 하였으나, 회기가 진행될수록 자신의 힘든 마음과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었고, 미술 작품과 자기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었다. 이는 사회적 불안을 가진 참여자에게 미술치료가 솔직한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불안이 완화되어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여길 수 있게 도움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불안을 가진 참여자는 단순한 미술 표현에 그치던 초기와는 달리, 자신의 미술 작품에 대한 기대감을 점차 많이 표현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미술 작품을 통해 미래에 대한 소망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참여자는 미술치료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미술 작품에 대한 기대와 소망이 커졌는데, 이는 미술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참여자가 성취감과 만족감을 경험하게 해주었다. 작품이 완성되어가는 과정에서 참여자가 보인 긍정적 태도와 소망은 참여자의 사회적 불안이 완화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사회적 불안을 가진 참여자는 사회적 관계 확장의 시도를 보여주었는데, 참여자는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점차 적극적인 의사 표현을 하게 되었고, 또래 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초기에는 의사 표현이 적던 참여자가 미술치료를 경험하면서 연구자와의 관계에서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더불어 학교에서의 또래관계도 확장되었다. 이는 미술치료가 사회적 불안을 가진 참여자에게 적극적인 의사표현과 긍정적인 관계 맺기를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사회적 불안을 가진 아동은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을 솔직하게 표현하면서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완화되어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여길 수 있게 되었고, 미술 작품에 대한 기대와 소망, 성취감과 만족감을 경험하며 사회적 불안이 완화될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는 미술치료 회기 안에서 적극적인 의사 표현을 하며 사회적 관계가 확장되었고, 이는 참여자의 또래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사회적 불안을 가진 아동의 사회적 불안 완화를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아동이 어떠한 치료적 경험을 하는지 다루며, 그 경험의 의미를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이 제한된 단일 사례연구로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연령층과 배경의 사회적 불안 아동을 통해 일반화에 기여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아동뿐만이 아닌 가족치료로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