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 친사회적 행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 친사회적 행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Group Art Therapy for First Grade Elementary Students’ School Adjustment Skills and Prosocial Behavior in After-School Classroom Setting
Authors
LEE, JUNG MIN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돌봄교실 아동이 학교생활 적응과 친사회적 행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를 찾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사례는 2019년 3월 27일부터 2019년 5월 16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 1~2회씩 50분간 총 12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시에 위치한 B 초등학교 초등돌봄교실 1학년 아동 4명이다.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 친사회적 행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목표는 공감하고, 돕고, 나누고, 협력하는 친사회적 행동발달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것을 바탕으로 집단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자의 미술치료 일지, 미술치료 전 회기의 녹음을 전사한 축어록, 매회기의 작품 사진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회기마다 돌봄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집단미술치료 시간 외의 생활에서 나타나는 참여자들의 모습에 대한 정보를 얻었고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대해 돌봄 교사와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미술치료의 경험과 그 속에서 느끼는 의미에 대해 분석하는 데 활용하였다. 의미 분석 과정에서 전사한 축어록을 반복적으로 듣고 읽으며 회기 내에서 나타나는 유의미한 표현을 정리한 뒤 범주화시켜 정리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는 총 5개의 상위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로 분류되었다. 본 집단미술치료 사례 경험의 범주는 <어색함 가운데 시작한 미술치료>, <나만 관심받고 이해받고 싶은 시간>, <기다려지는 마법 상자>, <미술치료를 통해 달라진 나의 모습이 뿌듯함>, <함께하는 미술치료가 즐거워진 우리>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 친사회적 행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과 그 의미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새로 입학한 학교에서 미술 활동을 통해 긴장을 이완시키며 학교가 허용적이며 편안한 의미가 있는 환경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도왔다. 각자 다른 반에 속한 참여자들이 초등돌봄교실이라는 공간에서 함께 적응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지지받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미술 재료를 매개로 흥미를 유발하고 감정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고, 다른 참여자의 생각을 인식하고 수용하는 긍정적인 상호관계를 발달시킬 수 있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초반 미술 재료를 독점하고 다른 참여자들이 사용할 수 없게 지저분하게 쓰고 정리하지 않는 등 공동 물건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이 낮았다. 이러한 행동은 참여자들이 타인과 더불어 지내는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미술 매체를 나누어 쓰며 공간을 함께 사용하고 마무리 정리를 같이하는 과정을 통해 또래가 물건을 다 사용할 때까지 기다리며 먼저 자신의 자리를 정리하였고, 매체를 사용 후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행동의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타인을 이롭게 하며 도와주는 친사회적 행동이 증진하였으며 학교생활에 적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협동작업을 통해 함께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었다. 함께 완성한 작품을 감상하며 다양한 개인들의 작품이 모여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미술 활동과 작품을 통해 서로 칭찬하며 지지하는 행동을 함으로써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었고 이러한 긍정적 표현은 타인과 더불어 생활하는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초등돌봄교실 아동은 학교생활 적응과 친사회적 행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학교를 허용적이고 안정적인 환경으로 인식하고 그곳에서 자신의 감정을 마음껏 표출해보는 경험을 통해 타인의 감정을 공감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또한,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 협력적 관계를 배우며 사회성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이는 집단미술치료 활동에서 자연스럽게 또래들과 긍정적인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배우고 타인을 인정하며 수용하는 과정을 통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친사회적 행동발달을 촉진시켜 교우 관계변화를 보였으며 매체를 매개로 자신을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서적·심리적 안정감을 얻었다. 이는 학교생활 적응과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집단미술치료가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시사 한 바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for first grade Elementary students’ school adjustment skills and prosocial behavior in after-school classroom setting. Prosocial behaviors which benefit others and society are fundamental contributors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in childho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ase, it was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case participants were four first graders who are enrolled in after school care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received 12 group art therapy sessions once or twice a week for 50 minutes from March 29th, 2019 to May 16th, 2019. The art therapy sessions were focused on developing prosocial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skills in afterschool care program. Thus, the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children’s experiences of how group art therapy helps children to develop prosocial behavior and adjustment skills in school.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included participants’interviews, artworks, voice recording, and observation by researcher and after- school teacher.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o explore the children’s experiences of group art therapy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for the participants. To promote credibility and trustworthiness, researcher engaged in journaling, reflexivity, peer debriefing by securing additional professional perspectives to review and evaluate the research process, and triangulation recorded an audit trail. Based on the results, 5 themes and 11 sub-themes were identified. The theme are as follows: 《first awkward art therapy session》, 《I want all attention on me》, 《a magic box》, 《discovering a different part of me though art therapy》, and 《having fun together in art therapy ses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participants in afterschool care program were able to express their feeling non-verbally through group art therapy. Second, the participants have developed prosocial behaviors by helping others, sharing art materials, and cooperating in group artwork through group art therapy. By sharing art materials and their space, they were able to improve social developmental skills. The participants began to help others when they finished their work early, or whenever they needed help. Third,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sympathize, accept, and praise others through making group artworks together and sharing about their works. In an addition, each participant has received a constructive feedback from peers about their work. Therefore,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acquire the skills to promote positive peer relationship and friendship. This had led to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chool adjustment. In conclusion,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express their feelings, sympathize, and be stabilized emotionally through group art therapy for developing prosocial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skills. Interactions in peers has helped them to learn cooperation and sharing has helped them to promote prosocial behavi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