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0 Download: 0

현대소설을 통한 성 평등 교육 연구

Title
현대소설을 통한 성 평등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nderstanding about fictiveness of modem novel and reconstruction of time in modern novel
Authors
김미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소설 교육을 통한 성 평등 교육을 목적으로, 성 평등 관점에서 2015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구체적·실제적 개선 방안으로 현대소설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제시했다. 이는 성 평등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과도기적 시대의 흐름과 사회의 요구를 교육에 반영함으로써 학습자의 성 평등 의식과 민주 시민 의식 함양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과 의의가 있다. 성 평등 교육의 이론적 전제로는 사회학적 관점에서 조건의 평등 개념과 여성학적 관점에서 양성평등의 지배 타파 모형을 수용했다. 또한, 성 중립적 교육이 아닌 성에 민감한 교육, 성 평등한 교육이 아닌 성 평등 의식 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페미니즘 비평의 이론적 전제로는 페미니즘 문학 및 페미니즘 문학에 포함되는 여성 중심 문학의 논의를 모두 수용했다. 또한, 여성 이미지 비평을 작품 분석의 기반으로 삼았다.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이론적 전제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관련 성취 기준과 교과서의 단원 구성 및 전개 양상을 고려했다. 분석 결과 단원 구성 양상은 단원과 독립적이면서 지속적으로 구성된 경우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원 전개 양상은 과정 중심 활동, 즉 읽기 전 – 중 – 후 활동을 바탕으로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는 경우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국어·문학·서사 교육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의식 교육, 특히 성 평등 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 이론적 전제를 기반으로 문학 교과서 현대소설 작품의 수록 부분 및 학습 활동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여성 작가와 여성 인물이 등장하는 작품은 매우 적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성비의 불균형은 학습자의 성 평등 의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 과거 작품들의 경우 남성 작가의 작품, 남성 인물이 등장하는 작품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성비를 균형적으로 맞추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적’인 것보다 ‘질적’인 것에 주목하여, 여성 작가의 작품, 여성 인물이 등장하는 작품이 교과서에서 성 평등 관점에 따라 바람직하게 다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최근의 작품 중에서 여성 작가와 다양한 여성 인물이 등장하는 작품을 교재화·정전화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 본격적으로 현대소설 작품을 분석하기 위해 ‘교과서 내용의 양성평등 지수 측정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했다. 이에 따라 서술자 및 초점화 대상 여부를 기준으로 주도적 인물과 보조적 인물을 분석하고, 인물의 이름과 신분·직업을 기준으로 인물의 성격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여성 인물은 남성 인물보다 주도적 인물이 아닌 경우, 이름이 없는 경우, 신분·직업이 없거나, 있어도 그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은 경우가 많았다. 현대소설 작품 8편을 통해 이러한 문제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했다. 수록 부분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여성 인물의 고정된 성 역할이나 부정적 모습이 부각되는 경우, 여성 인물이 남성 인물의 보조적 인물로 소외·왜곡되는 경우가 있었다. 학습 활동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인물 간 성차를 지나치게 부각하는 경우, 봉건적인 가치관을 답습하는 인물에 대해 비판적 읽기 활동을 제시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과서 내적으로는 교수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성 평등 관점을 민감하게 반영해야 한다. 또한, 교과서 외적으로는 학습자가 작품 수록 부분이 아니라 작품 전체를 자신의 시각으로 읽는 경험을 통해, 여성 인물과 남성 인물을 파편화된 대상이 아닌 전인격적 주체로 이해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제시할 수 있다. 우선 앞서 살펴본 체크리스트를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작품의 성 평등 지수 측정을 위한 체크리스트’로 개선·보완하여, 이를 기준으로 『소년을 위로해 줘』를 대상 도서로 선정했다. 또한, 앞서 살펴본 ‘한 학기 한 권 읽기’ 단원 구성 및 전개 양상의 과정 중심 활동에 상호작용 촉진 교수 학습 방법의 독·토·론 모형을 결합했다. 학습자는 활발한 참여에 따른 개인의 인지적·정의적 성장,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따른 공동체 문화의 습득을 통해 성 평등 의식과 민주 시민 역량을 기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활동 및 모형에 대상 도서를 적용해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실제를 제시했다. 이는 ‘질문으로 깊이 읽기’, ‘문학 속 상황 체험하기’, ‘책 소개 영상 만들기’를 통해서 성 평등과 다양성에 대해 읽고 생각 나누고 표현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가장 아쉬운 점은 이러한 교육 방법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성 평등 의식을 함양하고, 우리 사회가 성 평등 사회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For the purpose of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through modern novel education, this study draws out the problems of 2015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in terms of gender equality, and presented the ‘one modern novel a semester' method as a specific and practical way as a solution. This is necessary and meaningful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earners' sense of gender equality and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by reflecting the trend of the transitional era and societal needs in education. The theoretical premis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was accepting the concept of equality of conditions from a soci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 breaking the male-dominated dichotomy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Also, emphasis was placed on gender-sensitive education, not gender-neutral education, and gender-equality awareness education, not gender-equality education. The discussion surrounding feminism literature and discussions included in female-centred literature was the theoretical premise of criticism of feminism. Also, the basic analysis of literature was the criticism of women's image. The theoretical premise of 'One modern novel a semester' was to consider the relevant achievement criteria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how the textbooks were organized and developed. The analysis found that the pattern of the unit composition is appropriate when it is independent of the unit and continuously configured.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unit deployment pattern presents a variety of activities based on process-oriented activities, i.e. pre-read - middle - post-read activities. This ‘one modern novel a semester’ is closely linked to Korean, literature, and narrative education, which can contribute to awareness education, especially gender equality educ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premise, the content of literature textbooks, modern novels, and the study activ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ere few pieces of work featuring female writers and female figures. This imbalance in gender ratios can negatively affect learners' sense of gender equality. However, since past works with literar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are often by male authors and feature male figures, balancing the gender ratio could 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focus more on ‘quality’ rather than ‘quantity’ and try to ensure that works by female authors, featuring female figures, are handled in a desirable manner in the textbook based on gender equality.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duce and correct works featuring female writers and various female figures among recent works. In order to analyze modern novel works, 'a checklist for measuring gender equality index of textbook contents” was used. Accordingly, leading and supporting figur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narrator and whether they were targeted for focus, and the personality of the person was analyzed based on the person's name, status and occup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female figures were often not the main character, did not have a name, did not have a social or economic status, or were lower in social and economic status if they did have a name. The eight modern novel works have confirmed the aspects of these problems in detail. In the case of problems with the content, female characters were alienated and distorted as mere supporting characters of male characters' or the fixed gender role or negative image of female characters were highlighted. In cases where there were problems in learning activities, there were cases in which gender differences between characters were overemphasized, and people who followed feudal values did not present critical reading activiti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ithin the textbook, gender equality perspectives should be sensitively reflected in the course in which teaching and learning is conducted. In addition, outside of textbooks, learner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female and male characters as a whole, not a fragmented subject, through their own experience of reading the whole work, not as part of the content. The specific method is the ‘one modern novel a semester’ method. First of all, the checklist reviewed earlier was improved and supplemented as the ‘Checklist for measuring gender equality index of modern fiction works’, and based on the above criteria, the book 『Please Comfort the Boy(소년을 위로해 줘)』 was selected as the target book. In addition, the process-driven activities of the previously discussed ‘one modern novel a semester’ method’s section configuration and deployment patterns were combined with the reading discussion model of the interactive facilitated teaching method of teaching learning. The learners can develop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democratic civic capacity through the cognitive and just growth of individual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and the acquisition of community culture by social interaction. Finally, the actual practice of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is proposed. This was done by reading, thinking, sharing and expressing gender equality and diversity through 'Reading Deep with Questions,' 'Experience the Situation in Literature,' and 'Creating a Book Introduction Video.' Most regrettably, these training methods have failed to be applied to actual training sites. Nevertheless, through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cultivate a sense of gender equality and help our society move on to a gender equality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