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희-
dc.contributor.author이유진-
dc.creator이유진-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21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2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5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51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675-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들어 청소년의 비속어 및 욕설 사용과 같은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청소년들의 언어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 방안이 마련될 필요성이 높 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언어문화의 문제와 본인들의 언어습관 을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화법 교육의 방안을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속어 및 욕설에 대한 기존 연구는 주로 개념과 특성에 대한 연구가 많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로는 청소년의 언어문화를 다루는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청소년 언어문화에 대한 연구는 비속어 및 욕설의 사용 양상이 대부분 이며 청소년 언어문화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고 에서는 청소년 언어문화의 전반적 이해에 초점을 둔 화법 교육 방안을 제안하려 한다.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의사소통 태도 함양과 언어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 방 안으로 비폭력 대화를 제안하였다. 비폭력 대화(NVC)란 상대방의 말에 공감하고 자신을 잘 표현하기 위한 대화법으로 갈등 상황이나 견디기 힘든 상황에서도 상 대방과 자신에게 상처 주는 말을 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대화법이다. 본 연구에서 정의 내리고 있는 ‘폭력적 대화’는 바람직하지 못한 대화를 일컫는 용어로, 비속어 및 욕설과 언어폭력을 아우른다. 이 논문은 이러한 폭력적 대화를 개선하기 위해 2015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 중 문화 향유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대인관계 역량을 <화법과 작문> 교육목표 ‘라. 공감과 배려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의사소통 문화를 형성하는 태도를 기른다.’와 연결하였고 여기에 7개의 성취기준을 접목했다. 교과서 분석 결과, 해당 성취기준을 포함한 단원은 총 3개 였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이 도출되었다. 첫째, 공감과 배려에 대한 내용과 긍정적 인 자아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학습 내용이 부족하였다. 둘째, 비폭력 대화를 담 아낼 수 있는 학습 내용이 거의 없었다. 셋째, 학생들의 비속어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학습 내용 역시 부족하였다. <화법과 작문> 교과를 배울 예정인 고등학교 2학년 다섯 명의 참여자를 선정하 여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을 통해 폭력적 대화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 과, 비폭력 대화에 따른 폭력 대화의 범위가 너무 넓다고 여기고 있었으며 비속어 및 욕설이 아닌 언어폭력 자체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비속어 및 욕설 에 대해서는 공감의 기능을 한다는 점, 감정의 표현에 효과적이라는 점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답변하였으며 청소년 언어문화 개선을 위한 화법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지만 현 교육과정에서는 발현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다소 회 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심층 면담의 결과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성인들이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 청소 년의 비속어 및 욕설 사용에 대해 당사자들은 문제를 느끼고 있지 않았으며, 오히 려 비속어 및 욕설을 사용하지 않은 언어폭력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의 언어문화를 기성세대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기존의 연구 들과는 달리 청소년의 입장을 고려한 언어문화가 연구되어야 하며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 교과과정의 한계로는 비폭력 대화에 대한 내용이 부족했으며 교과과정과 청소년들의 폭력적 대화 사용 인식과도 불일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따라 서 이에 대한 인식 재고와 교육 방향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언어 공동체의 경 우, 장르의 차이에 따른 언어 공동체만 언급하고 있었으므로 남녀노소 모두를 대 상으로 하는 공동체 말 문화 개선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 방안으로 <언어와 매체>와 도덕 교과군과 같은 다른 교과와의 연계, 추후 개정될 교육과정에서 기존의 교과 과정의 언어 공동체와는 다른 결의 언어 공동체 성취기준과 비폭력 대화법을 적 절히 활용할 수 있는 성취기준 제안,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활용될 수 있는 비폭력 대화법을 배우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모형 이상 세 가지를 교육 방안으로 제안한 다. 또한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이 후속 연구로 진행되어 실재적으로 청 소년들의 언어문화 개선 효과를 높이는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Recently the issues of adolescent using slang and abusive are emerging. At this time, the necessity to prepare educational method to improve adolescent language culture is increas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adolescent recognize the problem of language culture and their language habit as well as to discuss on the direction of speech communication. The existing study on slang & abusive is mainly about concept & characteristics and the most activated study out of those related to them is the study on adolescent language culture. Study on adolescent language culture is mostly on the aspect of using slang and abusive. The study to understand adolescent language culture as a whole is insufficient. Thus,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propose the method of speech communication which focuses on the overall comprehension of adolescent language culture. Nonviolent Communication was proposed as an educational method to make adolescent cultivate right attitude of communication and to improve language culture. As a communication method to sympathize with what the others say and to well express personal thought, NVC is a method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s without friction even in the situation of conflict or unbearable situation. Referring to undesirable dialogue, violent dialogue defined in this study comprises slang, abusive and linguistic violence. To improve such violent communication, this dissertation is connected to the cultivation of attitude that forms desirable communication culture on the basis of competence to enjoy culture, compet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of commun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Speech communication and composition> Education goal D. Sympathy and consideration out of 2015 amendment core role of curriculum. Further, 7 standards of achievement were combined to i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extbook, there are 3 chapters including the relevant standards of achievement and the following contents are drawn. First, learning contents with which contents on sympathy and consideration as well as the growth of affirmative ego can be expected are insufficient. Second, there were nearly no learning contents which could contain non-violent communication. Third, learning contents which could reduce students’ using slang was also insufficient. Five participants, the 2nd graders of high school who were to learn <Speech communication and composition>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aspect & cause of violent communication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Then, they were found to think that the range of violent dialogue derived from non-violent communication is too broad and to negatively consider language violence which is not slang or abusive. With respect to slang or abusive, they answered that slang or abusive had affirmative aspects, e.g., function of sympathy, effective in expression of emotion. Although they thought that speech communication is necessary to improve adolescent language culture, they are somewhat skeptical, thinking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embody such speech communication in current curriculum. The remarkable point in the outcome of in-depth interview is that they see no problem in adolescent using slang & abusive which adults think problematic and they have negative attitude against language violence which does not use slang and abusive. Thus, unlike the existing study which views adolescent language culture from the position of the older generation, language culture should be studied in consideration of adolescent position and it is time to convert the recognition at present. As the limit of present curriculum, contents on non-violent communication were insufficient and they did not coincide with adolescent recognition of using violent dialogue. Thu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recognition of this matter and to convert the educational direction. In the case of language community, only language community is referred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genre. Thus, contents on the improvement of language culture of community which comprises male & female, old & young should be added. As an educational metho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he 3 points as educational methods namely,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like <Language & media> & group of moral subjects, the proposal of achievement standard which can properly utilize the achievement standard of language community achievement standard and non-violent communication method that is different from language community of the existing curriculum in that to be amended later, learner-oriented learning model where students learn non-violent communication method which can be utilized in non-curricular program. It is expected that the relevant specific educational program be studied subsequently so that the effect to improve adolescent language culture may be actually improv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 내용 3 B. 선행 연구 4 1. 비속어 및 욕설에 대한 연구 4 2. 청소년 언어에 대한 연구 5 Ⅱ. 이론적 고찰 8 A. 청소년 언어 문제와 학교폭력 간의 관계 8 B. 비폭력 대화의 교육적 가치 9 1. 비폭력 대화의 정의 10 2. 비폭력 대화의 내용 11 3. 비폭력 대화 교육 사례 12 C.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폭력적 대화 개선 방법 14 1. 폭력적 대화의 정의 14 2. 폭력적 대화 개선을 위한 2015개정 교육과정 핵심 역량 19 3. 폭력적 대화 개선을 위한 2015개정 <화법과 작문> 교육목표와 성취기준 20 4. 교과서 분석 25 Ⅲ. 청소년 폭력적 대화 양상과 원인 36 A. 연구 설계 36 1. 연구 대상 36 2. 연구 방법 39 3. 연구 절차 47 B. 청소년 폭력적 대화 인식과 사용 57 1. 언어폭력에 대한 인식과 사용 57 2. 비속어 및 욕설 인식과 사용 65 3. 폭력적 대화와 화법교육 87 Ⅳ. 청소년 폭력적 대화 개선을 위한 화법 교육 제안 97 A. 청소년 폭력적 대화에 양상 분석 97 1. 폭력적 대화 사용 원인 97 2. 폭력적 대화에 대한 인식 분석 99 B. 언어문화 개선에 대한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한계점과 해결 방향 102 1. 현재 교육과정의 한계점 102 2. 청소년 언어문제 해결 방향 103 C. 청소년 폭력적 대화 개선을 위한 화법 교육 제안 106 1. <언어와 매체>와 도덕 교과군과 연계 교육 실시 106 2. 청소년 언어문화 개선 성취기준 제안 109 3. 비폭력 대화법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 111 Ⅴ. 결론 117 참고문헌 120 부록1. 연구 참여자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설문조사 125 부록2. 청소년 비속어 사용 인식 인터뷰 질문 참고 128 부록3. 면담 질문 시작 전 언어폭력 정리 131 ABSTRACT 1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10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폭력적 대화에 대한 청소년 인식조사를 통한 화법 교육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ing Method for Speech Communication through survey on adolescent awareness of Violent Dialogue-
dc.creator.othernameLee, You Jin-
dc.format.pagevi, 1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