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이현정-
dc.creato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10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1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0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07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629-
dc.description.abstract아동의 언어능력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언어가 가지는 복잡성이 고려되지 않은 채 단순히 평균적인 값으로 아동의 언어능력을 제시하는 것은, 이후 중재를 위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임상현장에서는 언어의 차원을 음운, 의미, 구문 등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서의 아동의 수행능력을 기술하고 있다. 아동의 언어능력이 단일 영역이 아니라 여러 하위영역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언어검사에서 평균점수가 같은 아동들이라 해도 이들의 언어능력이 동일하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언어능력과 같이 개념을 구성하는 하위영역들이 존재하고 아동들마다 서로 다른 하위 지표의 조합을 가지게 된다면, 이를 고려한 분석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인-중심 접근에 기반한 혼합모형(mixture model) 분석방법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언어능력을 음운 영역, 의미 영역, 구문 영역, 처리용량 영역, 처리속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아동의 언어능력에는 하나의 패턴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에 따라 다양한 언어능력 유형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아동들의 수행 패턴을 바탕으로 유형을 구분하였다. 아동 언어능력의 잠재집단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서 5~7세 아동 147명을 참여시켰다. 5~7세 한국어 사용 아동의 언어능력에 따른 잠재집단의 수와 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어 언어의 차원을 구성한다고 여겨지는 음운, 의미, 구문 영역과 인지적 언어처리 영역인 처리용량과 처리속도 측면에서 아동의 언어능력을 살펴 보았다. 각각의 영역은 음운인식 과제, 수용어휘력 검사,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 및 빠른 이름대기 과제로 측정했다. 본 연구의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언어 과제에 기반해서 4개의 아동 언어능력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먼저 모든 과제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수행을 보였던 “우수 집단(15.7%)”, 모든 과제에서 평균 수준의 수행을 보였던 “평균 집단(65.8%)”, 그리고 두 개의 “하위 집단”으로 나뉘었다. 두 개의 하위 집단은 모든 언어 과제에서 점수가 낮았으나, 상대적으로 빠른 이름대기 과제의 수행이 낮았던 “낮은 처리속도 집단(12.3%)”과 모든 언어 과제에서 점수가 낮았지만 특히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의 수행이 낮았던 “낮은 구문능력 집단(6.2%)”이었다. 5~7세 아동 언어능력의 잠재집단은 크게 아동의 수행 수준에 따라 나누어지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전체 언어 과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행을 보인 아동의 경우, 서로 다른 프로파일을 가진 잠재집단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는 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해서 필요한 여러 가지 언어 영역들(음운, 의미, 구문 등)과 여러 가지 인지적 자원들(처리 용량, 처리 속도 등) 중에 한가지만이라도 부족하면 언어발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한 편으로는 비록 언어발달에 어려움을 가진 아동들이라도 각각의 언어 영역에서 강점과 약점을 가진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동 언어능력에 있어서 다양한 잠재집단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은 개별 아동에게 구체적이고도 적절한 중재 방법을 계획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Classifying children into two language ability groups, with and without language impairment, may underestimate the number of groups with distinct language ability patterns, or there may be only a single group characterized by a continuum of language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number and characteristics of latent language ability groups in Korean children. An unclassified sample of 147 Korean children aged 5 to 7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Oral language skills in phonological (phonological awareness task), semantical (receptive vocabulary test), and syntactical (sentence repetition task) areas and language processing skills in processing capacity (nonword repetition task) and processing speed (rapid automatized naming task) were assesse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language measure. Results indicated that a four-group model best represented the data, characterized by high performance in one group (15.7%), average skills in another group (65.8%), low precessing speed in a third group (12.3%), and low grammaticality in a fourth group (6.2%). The latent profiles of language ability in Korean children seemed to be largely divided according to their level of language performance. However,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low performance, the existence of different profiles was identified. This suggests that children with low performance may have difficulties learning language for two reasons: difficulties with either grammar or processing speed. Thus, assessing language abilities without testing both areas could potentially lead to misdiagno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문제 3 C. 용어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7 A. 아동 언어능력의 차원 구성 7 B. 아동 언어능력의 하위집단에 관한 개인-중심 분석 연구 10 C. 잠재프로파일분석의 수행 14 D. 연구문제 17 Ⅲ. 연구방법 18 A. 연구대상 18 B. 검사환경 및 검사자 19 C. 검사도구 19 D. 자료 분석 23 Ⅳ. 연구결과 25 A. 측정변인의 기술통계치 및 상관 25 B. 잠재집단의 수 선정 26 C. 아동 언어능력의 잠재집단별 특성 31 Ⅴ. 결론 및 논의 41 A. 5~7세 아동 언어능력의 잠재집단의 수 41 B. 전반적인 아동 언어능력의 단일차원성 42 C. 낮은 언어능력 집단의 다차원성 43 D. 임상적 시사점 46 E.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7 참고문헌 49 ABSTRACT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37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잠재프로파일분석을 적용한 5~7세 아동의 언어능력에 따른 집단 탐색-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Identifying the latent profiles of language ability in 5- to 7-year-old children-
dc.creator.othernameLee, Hyun Jung-
dc.format.pagev,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