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세경-
dc.contributor.authorGAO, YUANYUAN-
dc.creatorGAO, YUANYUAN-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0:50Z-
dc.date.available2019-08-13T16:30:5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7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73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547-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research, we studied what satisfaction factors users consider in using Google, Naver and Baidu, what kind of common satisfaction resources do these three searching engines have, how these satisfaction factors influence in frequency of using each searching engine, and what kind of competition is being experienced in order to gain the limited resources. Hereby, this research grasps and analyses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among these three searching engine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the Chinese overseas students in Korea. In order to verify these questions, this research conducts a survey of users who use all these three searching engines, and analyses 243 results. On this basis, this research implements th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factors of the searching engines and 5 main satisfaction factors were obtained, which are “informality” “sociality” “functionality” “satisfaction of searching result” and “cognition”. From Regression Analysis, the “informality” and “functionality” from Google will affect its using frequency; while “informality” and “sociality” will affect Naver and Baidu using frequenc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Niche Theory from each satisfaction factor, Google demonstrates the biggest Niche Breadth and it meets users’ needs the most widely; while users satisfaction level from Naver and Baidu are almost the same. Among all the satisfaction factors, Naver doesn’t get the highest numbers, especially on “sociality” and “cognition”. Therefore, Naver can’t bring the widespread satisfaction to the users. Baidu has rich living resources on sociality, but it’s weaker at the searching results. Except for cognition, the Niche Overlap between Google and Naver is high and competitive. Except for functionality and cognition, the competition in other 3 resources from Google and Baidu is slow; while there is a fierce competition in cognition. The competition is only slow on functionality and cognition from Naver and Baidu. From the result of competition edge, among the 5 satisfaction factors, there is no searching engine can have all the competitive edges. Under different satisfaction factors, the competitive edges from different searching engines are different. It is found out that Google, Naver and Baidu has alternative relationships between each other from the result of whether those 3 searching engines can be alternative or complementary. They also have competitive, alternative or independent coexistence relationship according to each satisfaction factor. This research not only helps improve, promote and advertise in these searching engines, but also shows positive functions towards the development, international and cultural output and media transmission in searching engines around the world.;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이 어떠한 만족 요인으로 구글, 네이버, 바이두를 이용하는지, 이 세 가지 검색 포털 사이트가 어떠한 공통적인 충족 자원을 가지고 있는지, 이러한 만족 요인들이 이용 빈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한정된 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어떠한 경쟁을 겪고 있는지를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한국 내 중국 유학생 만족도를 중심으로 3개 검색 포털 사이트 간의 경쟁 관계를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3개 검색 포털 사이트를 모두 이용했던 이용자를 조사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243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검색 포털 사이트 만족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보성’,‘사교성’, 기능성’,‘검색결과의 만족성’ 및 ‘인지성’이라는 5가지 만족 요인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회귀 분석을 통해 구글의 정보성과 기능성은 구글의 이용 빈도에 영향을 미치고 네이버와 바이두는 정보성과 사교성이 이용 빈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 요인별 적소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글은 가장 큰 적소폭을 보여 이용자 만족 요인을 가장 폭넓게 만족시켰는데 네이버와 바이두는 비슷한 수준으로 이용자들에게 폭넓은 만족감을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네이버는 만족 요인 모두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얻지 못했으며 특히 사교성과 인지성 자원에서 이용자들에게 폭넓은 만족감을 주지 못했다. 바이두는 사교성 자원에서 폭넓은 활용 자원을 갖고 있는 반면 검색 결과의 만족성에서는 경쟁력이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적소중복을 분석한 결과는 구글과 네이버 간은 인지성을 제외한 네 가지 자원 에서 적소중복이 크고 경쟁이 치열했다. 구글과 바이두 간은 기능성과 인지성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자원에서의 경쟁이 완만하게 진행되고 있는 반면 인지성에서 치열한 경쟁을 겪고 있었다. 네이버와 바이두는 기능성과 인지성 자원에서만 경쟁이 완만하다. 경쟁우위 분석 결과는 5가지 만족 요인에서 모두 경쟁우위를 가지는 검색 포털 사이트가 없었으며, 만족 요인별로 검색 포털 사이트 간 경쟁우위가 다르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따라 세 가지 검색 포털 사이트가 서로 간의 대체 혹은 보완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구글, 네이버, 바이두 간의 대부분 대체 조건 존재 관계가 발생하고 만족요인별로 경쟁적 관계, 대체적 관계 및 독립적 공존 관계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검색 포털 사이트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하고, 앞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보급 및 홍보를 할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여 검색환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국 검색 포털 사이트의 발전전략과 방향, 국제화, 문화 수출, 그리고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5 A. 적소이론 5 1. 적소이론에 관한 고찰 5 2. 적소폭 10 3. 적소중복 11 4. 경쟁우위 13 B. 뉴미디어 경쟁관계에 관한 기존 연구 16 C. 이용과 충족 이론 19 1. 이용과 충족 이론에 관한 고찰 19 2. 추구하는 충족과 획득된 충족 22 3. 이용 만족 요인에 관한 기존 연구 23 D. 검색 포털 사이트 27 1. 검색 포털 사이트에 관한 고찰 27 2. 구글(Google) 29 3. 네이버(Naver) 31 4. 바이두(Baidu) 33 5. 3개 검색 포털 사이트에 관한 비교 36 III. 연구문제 42 IV. 연구방법 43 A.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43 B. 주요 변인 43 1. 독립변인: 검색 포털 사이트의 이용자 만족 요인 43 2. 독립변인: 바이두(Baidu) 44 3. 독립변인: 네이버(NAVER) 44 4. 독립변인: 구글(Google) 44 5. 종속변인: 이용 빈도 44 C. 설문지 구성 45 D. 분석 방법 47 V. 연구결과 49 A. 기술통계 분석 49 1. 인구통계학적 분석 49 2. 사회적 특성 분석 50 3. 검색 포털 사이트의 이용 빈도 분석 51 B. 검색 포털 사이트의 이용자 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52 1. 구글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의 요인분석 52 2. 네이버에 대한 만족도의 요인분석 56 3. 바이두에 대한 만족도의 요인분석 59 4. 공통적으로 나타난 만족요인 및 측정항목 63 C. 만족 요인들이 이용 빈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65 1. 구글의 만족 요인들이 이용 빈도에 미치는 영향 65 2. 네이버의 만족 요인들이 이용 빈도에 미치는 영향 66 3. 바이두의 만족 요인들이 이용 빈도에 미치는 영향 67 D. 검색 포털 사이트의 만족도에 대한 적소분석 68 1. 검색 포털 사이트별 만족 요인 적소폭 68 2. 검색 포털 사이트 간 만족 요인 적소중복 70 3. 검색 포털 사이트 간 만족 요인 경쟁우위성 72 VI. 결론 및 논의 75 A. 결과요약 및 논의 75 B. 한계점 및 제안 85 참고문헌 87 부록 설문지 91 ABSTRACT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56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적소이론을 이용한 검색 포털 사이트 간의 경쟁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국 유학생의 바이두(Baidu), 네이버(Naver), 구글(Google)에 대한 이용 만족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competitive analysis within the searching engines based on the Niche Theory : The using satisfaction from Chinese overseas students towards Baidu, Naver and Google-
dc.creator.othername고원원-
dc.format.pageviii,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