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주연-
dc.contributor.author이경화-
dc.creator이경화-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0:32Z-
dc.date.available2019-08-13T16:30:32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4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41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4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현직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현대음악 수업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여 밝히고 현대음악이 중학교 음악 수업에서 더욱 가치 있게 다뤄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현직 음악교사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교차분석, ANOVA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른 요약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음악과 수업에서 다루어지는 현대음악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작곡가 중 존 케이지, 드뷔시, 쇤베르크 순으로 수업에서 많이 다루어졌다. 또, 사조는 인상주의가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수업 빈도를 조사한 결과, 현대음악 수업을 한 학기에 한 번 한다는 사람이 가장 많았고 수업하지 않는다는 사람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수업을 하지 않는 응답자와 현대음악을 수업에서 가르치지만 충분히 수업하지 못한다고 느끼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그 이유에 대해 조사한 결과, 총 음악 시수의 부족으로 현대음악을 수업할 수 없었다는 사람이 가장 많았고 학생들이 현대음악을 어려워하거나 관심이 없어서 다루지 않았다는 사람이 차순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악시수의 부족이 현대음악 수업을 하지 못하거나 충분히 못하는 데에 대한 가장 큰 원인으로 볼 수 있다. 현대음악 수업 방법에 대한 조사결과, 감상 활동이 가장 많았고 음악 만들기가 그 뒤를 이었다.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설명 중심의 교수나 감상 활동에 치중했던 기존의 수업 방식에서 부분적으로나마 변화가 있는 모습이다. 특히 교사들의 실제 현대음악 수업활동을 기술한 개방형 응답을 분석한 결과, 5년 미만 교직경력의 교사들은 감상영역보다 창작영역의 활동을 많이 하고 있음이 나타났으며 융합수업이 설명식 수업보다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비교적 짧은 교직경력의 초임교사일수록 최근의 교직양성과정에서 영향을 많이 받은 사람일 것이며, 교직양성과정에서 이전보다 창작 활동을 강조하거나 다른 교과와의 연계를 강조하는 최근의 흐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둘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생들의 현대음악에 대한 태도를 연구한 결과, 현대음악에 대한 관심도가 집중도와 이해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앞서 시행된 선행연구와 상반된 결과로, 학생들의 현대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관심도와 집중도에 비해 이해도가 낮은 것은 교수 방법과 접근법 등을 연구하여 현대음악 수업의 질을 보다 높일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교사들의 현대음악 수업에 대한 인식을 연구한 결과, 현재 하고 있는 현대음악 수업의 양이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는 사람이 가장 많았고, 충분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교과서에 제시된 현대음악에 관한 내용을 모두 다루기 때문이라고 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이를 통해 교사들이 현대음악을 수업할 때 주로 교과서의 내용을 참고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현대음악 수업으로 학생들이 얻는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음악의 다양성을 인식하게 되었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창의성과 음악 흥미도가 증가하였다는 의견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또한, 교사들은 현대음악 교수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적절한 현대음악 장비 등 방법적 지원, 교사 연수 등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곡 프로그램, 멀티미디어 자료, 교사연수, 수업사례 공유 등 방법적, 환경적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넷째,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음악에 대한 교사의 만족은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교과서의 보충 학습 자료가 부족하고, 제시된 수업 활동이 다양하지 못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이 실제 수업에서 가장 많이 가르치는 현대음악 작곡가와 사조의 순위가 교과서에 수록된 작곡가 및 사조의 순위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현대음악 관련 수업을 할 때 교과서의 내용에 의존하여 수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에서 활동과 내용, 자료를 다양하게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현대음악 수업의 현 실태와 교사들이 생각하는 현대음악 수업에 대한 인식과 가치를 알 수 있다. 또한 많은 교사들이 현대음악 수업을 위한 환경 개선과 방법적 지원, 교사 연수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보다 질 높은 현대음악 수업을 위해 수업 환경 개선, 교사의 인식 개선, 교과서 내용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며, 이러한 의견이 향후 현대음악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으로 실현되는 데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contemporary music class in secondary school, and to seek methods to enhance the value of the contemporary music in music class in secondary school. For this study, a total of 102 in-service music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were survey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ANOVA. Results of the analysis and sugg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ontemporary music in music class in secondary school, the composers John Cage, Debussy, Schoenberg were the most often taught in class. Impressionism was the most often taught musical trend. The investigation on frequency of class showed that one class of contemporary music per semester constituted the largest portion of respondents, followed by no contemporary music class at all. When reasons were asked why they do not hold class or feel the class is insufficient, the most attributed reason was insufficient teaching hours, followed by the statement that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learn contemporary music or had no interest. Therefore, insufficient teaching hours of music can be considered as the biggest cause for lack of and insufficient contemporary music class. The survey on the teaching methods of contemporary music reveals that music appreciation was the most frequent activity, followed by music production.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 a change from lectures centered on explanations and appreciations can be seen, at least partially. Particularly, as a result of the responses in an open-ended question form about the actual teaching methods of contemporary music,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performed more activities on creativity than on appreciation, and convergence classes exceeded explanatory classes. It can be inferred that teachers with relatively short experience are greatly influenced by recent teacher training programs, during which activities on creativity or connections with other disciplines are encouraged. Second, according to research on how teachers perceived the attitudes of students on contemporary music,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interest than concentration or comprehension. The result contradicts the previous research, which may indicate that the students’ interest in contemporary music increased. However, a lower level of comprehension than interest and concentration suggests the need to explore teaching and approaching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temporary music class. Third,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the teachers’ perception on contemporary music class, the largest number felt that the current quantity of contemporary music class was insufficient. Among those who felt that the quantity was sufficient, the largest number reasoned that the classes cover all the contents about contemporary music presented in the textbooks. This shows that teachers refer to the textbooks the most in terms of teaching contemporary music. According to the subsequent research on the perception on the educational effects on students through contemporary music class, diversity of music was perceived the most, while creativity and interest in music are also thought to increase. In addition, teachers felt the necessity to teach contemporary music with method supports, such as adequate equipments for contemporary music, and teacher trainings. It calls for a development of method and environmental supports, such as composition programs, multimedia materials, teacher trainings and sharing of teaching experiences. Fourth, teachers had an overall low satisfaction on contemporary music contents in the textbooks, recognizing that the textbooks had not enough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and that class activities are not varied.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order of the most taught contemporary music composers and trends in class was identical to the order in the textbooks. It can be speculated that most teachers depend on the textbooks when they teach contemporary music. Therefore, the textbooks need to provide varied activities, contents and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current situation of contemporary music class and the perception and value of teachers on contemporary music class.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many teachers ask for an improvement of environment, method supports and teacher trainings for conducting contemporary music clas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s of class environment, teachers’ perception and textbook contents in favor of a better quality of contemporary music class. It is hoped that this suggestion would contribute to a realization of education values of the contemporary music on the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A. 현대음악의 정의 4 B. 현대음악의 교육적 가치 6 C. 2015 개정 음악교과서 현대음악 분석 7 D. 선행 연구 1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2 A. 연구 대상 22 B. 연구 절차 23 C. 연구 도구 24 D. 분석 방법 30 Ⅳ. 연구결과 분석 31 A. 현대음악 수업 실태에 관한 분석 결과 31 B. 개방형 응답 분석 결과 59 Ⅴ. 논의 64 Ⅵ. 결론 및 제언 66 참고문헌 69 부록1. 설문지 71 부록2. 개방형 응답 81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93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음악 교과의 현대음악 수업실태 및 인식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현직 중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contemporary music class in secondary school-
dc.creator.othernameLee, Gyeonghwa-
dc.format.pageⅶ,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