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현정-
dc.contributor.author배무운-
dc.creator배무운-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0:31Z-
dc.date.available2019-08-13T16:30:3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0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06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46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quire into affirmative teaching experience & recognition of middle school music teacher and to deeply investigate how their experience influences current music teacher. To this end, 5 music teachers working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 Gangwondo whose data can be easily collected by researcher are selected for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The outcome of this study acquired by analyzing it with spiral data analysis method presented by Criswell is as follows. First, music teachers play the role of catalyst in instructing students to better direction by themselves when they have more teacher experience which is affirmatively recognized in the aspect of job environment. This implies that affirmative experience in the aspect of job environment has influence on teachers’ sense of duty and identity. Second, with respect to affirmative experience in the aspect of job environment, the relation between principal, colleague teacher is less influenced in leading more affirmative teaching life. This is because pool in which teachers can operate is not formalized and there is no room in the part of job. I think that it needs to be more activated so that relation with principal or community in which colleague teachers operate may be constructed. Third, aptitude, effort or sense of value as teachers has considerable influence on how teacher life is recognized. It is found that recognition in the aspect of social relation and job environment is more influenced when there are more affirmatively recognized experiences of music teacher felt in the individual aspect. Such outcome of study implies that not only music teachers in current post but also preliminary teachers need to retrospect their past teaching experience & to affirmatively convert negative experience, if any, so that they may establish desirable sense of teacher before they become teachers. Further, this study will give those participating in the study opportunity to affirmatively retrospect experience in teaching and they can think how this experience influences them at present.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making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music teachers can have many affirmative experiences.;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음악교사의 긍정적 교직경험 및 인식을 탐색하고 교사들의 경험이 현재 음악교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심층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라포(rapprot)형성이 잘 되어있는 5년 미만의 초임교사 세분과 스노우볼 표집을 다양한 음악 교직 경험을 가진 경력교사 두 분을 선정하여 교직 생활 안에서의 긍정적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크리스웰이 제시한 나선형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얻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사들은 직무 환경적 측면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인식되는 교사경험이 많을수록 음악교사 스스로 더 나은 방향으로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이는 직무 환경적 측면에 있어 긍정적 경험은 교사의 사명감과 교사의 정체성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 관계적 측면에서의 긍정적 경험들은 학교장, 동료교사와의 관계는 보다 긍정적 교직생활을 하는데 있어 많은 영향을 받지 못하였다. 그만큼 교사들 간의 협력할 수 있는 풀이 공식화 되어있지 않고, 업무적인 부분에 있어 여유가 없기 때문이었다. 학교장과의 관계나 동료교사들이 협력하는 교사 공동체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좀 더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셋째, 교사로서의 적성, 노력, 가치관은 교사생활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개인적 측면에서 느끼는 음악교사로서의 긍정적으로 인식되는 경험들이 많을수록 사회 관계적 측면과 직무 환경적 측면에서의 인식들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현직에서 일하는 음악교사들 뿐 만 아니라 예비교사들은 스스로 과거의 교직 경험에 대한 부분을 돌이켜보고 부정적 경험이 있다면 긍정적으로 전환시켜 교사가 되기 전 바람직한 교사관을 확립하는데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이 교직에서 긍정적으로 경험에 대해 성찰할 기회를 가졌으며 이 경험은 현재 본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생각해 볼 수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음악교사들이 긍정적인 경험을 많이 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드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임을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긍정적 경험의 가치 5 B. 교사 경험의 중요성 9 C. 선행연구의 고찰 12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5 A. 연구 참여자 선정 기준 15 B. 연구의 절차 19 C. 연구의 방법 20 D. 연구 도구 23 E. 자료 분석 방법 25 F. 연구의 타당성 27 Ⅳ. 연구결과 및 분석 29 A. 음악교사의 긍정적 교직 경험 29 B. 교직 생활에 따른 교사의 가치관 변화 48 Ⅴ. 논의 및 제언 58 참고문헌 61 부록1. 심층 면담 질문지 64 부록2. 연구 참여 동의서 66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92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음악교사의 긍정적 교직경험 및 인식 탐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ploring Positive Teaching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Music Teachers-
dc.creator.othernameBae, moo woon-
dc.format.pageii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