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5 Download: 0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의 치매안심센터에서의 현장실습 체험연구

Title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의 치매안심센터에서의 현장실습 체험연구
Other Titles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at Dementia Center
Authors
김혜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경증치매를 진단받고 치매안심센터에 다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 석사전공생들의 경험이 어떠했는지, 실습생들의 생생한 체험에 집중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안심센터에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의 체험이 어떠하며,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추후 치매안심센터에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준비하게 될 실습생들에게 실습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준비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의 치매안심센터에서의 현장실습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에 심층적인 면담을 제공한 연구 참여자는 국내 대학원에 개설된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으로 치매안심센터에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이 있는 7명으로 구성되었으며, 2018년 8월부터 10월까지 일대일 심층 면담으로 진행되어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7개의 본질적 주제와 22개의 하위 주제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머리로 습득한 지식을 현장실습에서 몸으로 부딪히며 체화함〉, 〈센터의 환경에 좌지우지되는 내 열정을 최대한 발휘하려고 노력함〉, 〈치매노인보다 부족한 인생 경험에서 온 난감함과 후회스러움〉, 〈치매노인의 이해부족이 불러온 허탈함과 막막함〉, 〈치매노인만을 위한 미술치료를 고민하고 찾아감〉,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을 발견함〉, 〈느리지만 변화하는 치매노인과의 미술치료에서 책임감과 기다림을 배움〉 이와 같은 연구 결과와 글쓰기, 연구자가 수집한 다양한 현상학적 자료들을 통합하여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의 치매안심센터에서의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은 치매노인에 대한 경험적 이해가 부족한 상태로 이론적 지식만을 가지고 현장실습을 나가며 실습에 이론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으며 이론적 지식을 체화한다. 둘째,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은 기능이 퇴화된 치매노인들에게 정말 필요한 미술치료가 무엇인지와 미술치료사의 자질에 대해 고민하고, 미술치료의 개념이 확장되는 경험을 한다. 셋째,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은 치매노인과의 실습경험을 통해 자신의 역전이를 탐색하며 미술치료 전공생으로서의 성장과 동시에 인간적인 성장도 함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나간 실습생들의 생생한 언어로 구체적인 의미를 밝힘으로써 실습생들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실습생들이 치매안심센터에서 미술치료를 받는 치매노인들을 위해 미술치료를 시행하며 다양하게 접근하고 시도한 체험을 탐구하여 미술심리치료의 치매노인관련 이론적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본 연구의 제언과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대학원의 다양성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들의 슈퍼비전 경험 및 임상실습 훈련 강도가 유사한 것이 제한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치매노인 중심 기관 중 치매안심센터에서의 현장실습 체험만을 다루었기 때문에 다른 기관 유형에 따른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의 참여자는 실습생 역할에 대한 구분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들의 역할이 주, 보조로 고정되어 있는 실습 경험을 다룬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tha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gone through with elderlies in Dementia Center after getting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This study focuses on the vivid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tha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had in Dementia Center’s art therapy field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s. Also,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students who will be participating the field practice in the future and encourage them to understand and get prepared for the field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the “How is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tha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go through in Dementia Center and what’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provided in-depth interview in this study were composed of 7 graduate students in master’s course who had experience of art therapy practice in Dementia Center. This study conducted 1:1 in-dept interview from August 2018 to October 2018 and collected the necessary dat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and this study derived research results with 7 essential topics and 18 sub-topics. The contents are as follows. 〈Learn by applying theoretical knowledge on actual field practice〉, 〈Try to express passion and getting controlled by the center environment〉, 〈Embarrassment and regret from having less life experience than elderly with dementia〉, 〈Dejected and desolate feeling from lack of understanding by elderly with dementia〉, 〈Consideration on art therapy for elderly with dementia〉, 〈Finding therapeutic factor from art therapy for elderly with dementia〉, 〈Learning responsibility and patience from art therapy with elderly with dementia who slowly changed〉 By integrating the research results, writings, and various phenomenological data collected by the researcher, this study came up with following results for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t Dementia Center. Firs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participated in field practice only with theoretical knowledge without empirical understanding on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theory in actual field, the graduate students learned by trials and errors. Secondly,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deeply thought about what type of art therapy is practically needed for elderly with dementia involving functional reduction and considered about qualification of art therapist. In such processes, the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expanded their concept of art therapy. Thir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explored their countertransference through field practice with elderly with dementia. Through the exploratio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grew as an art therapy major and as a human being. The research results make contribution to art therapy as follows. This study clarified the meaning with vivid words from graduate students who had field practice at Dementia Center. Thus, this study provides the practical information for other art therapy majors and it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material for reducing the trials and error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experiences that graduate students approached and tried in various ways for elderly with dementia receiving the art therapy at Dementia Center.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theoretical research on art psychotherapy for elderly with dementia. Lastly, the suggestions follow-up research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is study did not consider about the diversity of graduate school, the research participants’ super vision experience and training intensity were similar. Secondly, since this study covered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at Dementia Center among the institutes for elderly with dementia,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up researches focusing on other institutes. Third, this study did not divide the roles of research participants. Thus, the follow-up researches should cover the field practice experiencing by fixing the role as main therapist and assistant therapi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