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1 Download: 0

노인의 우울 수준에 따른 이야기 그림검사(DAS) 반응특성 연구

Title
노인의 우울 수준에 따른 이야기 그림검사(DAS) 반응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lderly People's Response Characteristics on Draw-A-Story(DAS) According to their Depression Levels
Authors
김경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 수준에 따른 이야기그림검사(Draw-A-Story: DAS)의 반응특성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DAS가 노인의 우울을 진단하는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문제로는 첫째, 노인의 우울 수준에 따른 DAS 그림검사 반응특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노인의 우울과 DAS와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노인의 우울 수준과 개인특성 변인인 성별, 연령, 학력, 혼인상태, 직업유무에 따른 DAS 반응특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6개구 지역의 공원 및 지하철, 경로당 등을 연구자가 직접 찾아가 연구 참여에 동의한 노인 126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노인우울척도(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를 실시하여 노인의 우울 수준을 측정하고 DAS를 실시하였다. 이 중에서 불성실하게 답변한 자료 6부를 제외하고 총 120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우울 수준에 따른 DAS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우울 척도에서 제안된 절단 점수 14점을 기준으로 14점 이상은 우울집단, 14점 이하는 비 우울집단으로 분류하여 두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우울 척도의 제안된 점수를 기준으로 우울집단을 경도 우울, 중등도 우울, 심도우울 집단으로 세분화하였고,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ANOVA, F검정을 실시하고, 사후검증으로 Scheffe 다중비교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DAS와 우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노인의 개인특성 변인인 성별, 연령, 학력, 혼인상태, 직업유무에 따른 DAS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항목별로 두 그룹으로 분류한 후, 각 그룹의 우울집단과 비 우울집단 간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노인의 우울 수준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 및 자아상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DAS와 우울 척도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우울 수준과 개인특성 변인인 성별, 연령, 학력, 혼인상태, 직업유무에 따른 DAS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에서는 성별, 연령, 학력, 혼인상태, 직업이 없는 경우에 따른 우울집단과 비 우울집단의 DAS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이 있는 경우와 관련해서는 우울집단과 비 우울집단의 DAS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DAS가 노인의 우울을 평가하는 투사적 그림검사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성별, 연령, 학력, 혼인상태, 직업이 없는 경우 등 다양한 노인 집단군을 대상으로 세부적으로 노인의 우울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데 DAS가 유용한 도구임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노인의 우울 수준과 심층적인 심리상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과 문제 예방을 도모하고 임상에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at Draw-A-Story(DAS) can be utilized as a tool for diagnos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by analyzing elderly people's response characteristics on DAS according to their depression levels and their correlations. In this regard, the study addresses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it investigates how elderly people's response characteristics on DAS differ depending on their depression levels. Second, it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elderly depression and DAS. Third, the study evaluates how elderly people's depression levels and their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marital and employment status influence DAS results. As approaches to addressing the issues, the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GDS)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s of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and then DAS was conducted. Subjects for the study included 126 elderly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test in parks, centers for senior people, and subway stations in six districts in Seoul. Except six poorly-worded survey responses, a total of 120 survey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PSS Ver 24.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The score of 14 point was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response characteristics on DAS according to depression levels, considering that KGDS suggests it as an optimal cut-off score. The subjects who received the score over 14 point were classified into the depressed group while those who got the score under 14 point were classified into the non-depressed group. An independent samples t test was conducted for the two groups. In addition, based on the suggested score of the scale, the depressed group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mild, moderate, and severe depression. The ANOVA F-test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n, the Scheffe test was also implemented as a follow-up to the test for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Next,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discover the correlation between DAS and elderly depression. Finally, the independent samples t test was performed for the depressed and non-depressed subjects for each variabl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or each individual variable such as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and employment statu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differences in response characteristics on DAS depending on different variabl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elderly people's levels of depress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scores on DAS. However, the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score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nd DAS results and depression level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Finally, response characteristics on DAS according to depression levels and individual variables, including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and employment status,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AS scores of the depressed and non-depressed groups for when the subjects were unemployed. For the subjects who were employ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In conclusion, the findings support that DAS can be utilized as a beneficial, projective drawing test that effectively evaluates elderly depression. Furthermore, it indicates that the test is greatly useful in accurately and thoroughly diagnosing and assess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for diverse individual variables, including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marital and employment status. In addition, DAS helps to provide in-depth information on elderly people's depression levels and psychological statu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DAS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clinical resource that can help improv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and prevent their mental proble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