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0 Download: 0

학령기 후기 아동의 부모 애착 및 우울에 따른 DAS 반응특성연구

Title
학령기 후기 아동의 부모 애착 및 우울에 따른 DAS 반응특성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by Parent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Late School-Age Children
Authors
강희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후기 아동의 부모 애착 및 우울 수준에 따른 DAS 반응특성의 차이와 각 척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DAS가 학령기 후기 아동의 부모 애착 및 우울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로써 활용가능성이 있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9월 27일~ 2018년 10월 22일까지 제주도 제주시 소재의 초등학교 3곳에서 5학년, 6학년 학생 224명을 대상으로 DAS와 부모 애착 척도(IPA),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CDI)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224부의 자료 중 누락된 문항이 많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표본 21부가 제외되었다. 따라서 회수된 224부 자료 중 분석에 포함된 자료는 총 203부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부모 애착 수준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의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중심극한이론에 따라 표본의 분포가 t분포를 따른다는 가정 하에 상위10%, 하위 10%로 분류하고, 상하위군 집단 간의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우울 수준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의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송신선(2008)이 제안한 우울 척도 절단점을 사용하여 우울 점수 20점 이상을 우울 집단으로, 우울 점수 10점 이하를 비 우울 집단으로 분류하고, 집단 간의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부모 애착과 우울, DAS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각 척도의 전체 및 하위요인을 변수로 하여 Pearson 상관분석를 실시하였다. 또한 DAS 자극그림 선택에 따른 부모 애착, 우울, DAS의 반응특성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후기 아동의 부모 애착 수준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은 부모 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더 긍정적인 정서내용과 자아상이 나타났다. 둘째, 학령기 후기 아동의 우울 수준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은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더 부정적인 정서내용과 자아상이 나타났다. 셋째, 학령기 후기 아동의 부모 애착 및 우울과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령기 후기 아동의 부모 애착과 우울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부모 애착과 DAS의 정서내용 및 자아상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 애착과 모 애착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우울과 DAS의 정서내용 및 자아상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세 가지 척도의 하위 영역간의 상관관계에서도 동일한 관계를 보였다. 넷째, DAS 자극그림 선택에 따른 부모 애착 및 우울,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의 반응특성 차이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쥐를 선택한 집단은 DAS의 자아상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화산, 공룡을 선택한 집단은 DAS 정서내용 및 자아상이 훨씬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을 선택한 집단은 정서내용과 자아상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긍정적인 내용이 나타났다. 병아리를 선택한 집단은 더 긍정적인 정서내용을 보였고 반면 고양이를 선택한 집단은 더 부정적인 정서내용을 나타냈다. 중성적인 아이와 면사포를 쓴 여인을 선택한 집단은 비선택 집단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긍정적인 정서내용을 나타냈다. 칼을 선택한 집단은 부 애착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고, 우울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고, 부정적인 정서내용을 나타내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 아동의 부모 애착 및 우울 수준에 따른 DAS 반응특성의 차이와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았고, 그 결과 DAS가 학령기 후기 아동의 부모 애착 및 우울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는 DAS와 우울의 관련성에 대한 기존 연구와 맥을 같이하는 결과이며, 이와 더불어 DAS가 부모 애착을 측정할 수 있는 투사그림 검사의 도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장 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DAS가 학령기 후기 아동의 부모 애착을 이해하는 도구로써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임상 현장 또는 교육 현장에서 아동이 언어로써 표현하기 어려운 복잡한 내면의 생각과 미묘한 감정들을 그림을 통해 이끌어 냄으로써 언어적 자기 보고식 검사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우울한 아동을 조기에 파악해 아동의 건강한 심리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DAS response characteristic based on parent attachment and depression for late school-age children and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criterion for reviewing the feasibility of DAS as a tool for measuring the parent attachment and depression of late school-age children. For the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DAS,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 (IPA), and Korean Form of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on 224 students in 5th grade and 6th grade of 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ju-Island from September 27, 2018 to October 22, 2018. After the survey, 22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21 questionnaires which involved many left out questions or unfaithfully filled out were excluded. Therefore, total of 20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sed SPSS 12.0 program for statistical processing on data. Also,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emotional content and response characteristic of self-image of DAS based on parent attachment, this study classified the group into top 10% group and low 10% group under the assumption that sample distribution follows t-distribution based on Central Limit Theorem. Then, this study conducted independent sample t-test on top 10% group and low 10% group. In addition,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emotional contents and response characteristic for self-image of DAS based on depression, this study used Depression Inventory Breakpoint suggested by Sinsun Song (2008) and classified the subjects with depression score higher than 20 into depression group and subjects with depression score lower than 10 into non-depression group. Then, this study conducted independent sample-t-test on the groups. In addition,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depression and DAS, this study conduct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by setting all factors and subfactors of each criterion. Also,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parent attachment, depression, and DAS response characteristic based on DAS stimulus painting selection, this study conducte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emotional contents and self-image of DAS based on parent attachment of late school-age children, the emotional contents and self-image were more positive when parent attachment was higher. Secondly, in emotional contents and self-image of DAS based on depression of late school-age children, the emotional contents and self-image were more negative when depression was higher. Third,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depression, emotional contents, and self-image of late school-age children, the parent attachment and depression of late school-age children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hile parent attachment, emotional contents, and self-image of DA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ddition, attachment for father and mother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ile depression, emotional contents, and self-image of DAS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Furthermore, emotional contents and self-image of DA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lso, same relationship was found in correlation of subfactors for 3 criteria. Fourth, significant result was observed in difference of parent attachment, depression, emotional contents, response characteristic of self-image in DAS stimulus painting selection. Groups selecting rat had more positive self-image while groups selecting volcano or dinosaur had more negative DAS emotional contents and self-image. Also, groups selecting castle had positive content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contents and self-image. In addition, group selecting chick had more positive emotional contents while groups selecting cat had more negative emotional contents. Groups selecting neutral children and woman wearing veil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emotional contents compared to groups selecting other paintings. Also, groups selecting knife had significantly low attachment for father, significantly high depression, and negative emotional contents.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DAS response characteristic based on parent attachment and depression of late school-age children and verified that parent attachment and depression of late school-age children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AS. The study result corresponds to the existing researches on relationship between DAS and depression.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expands applicability of DAS as a tool for measuring the parent attachment. This study also suggested to usability of DAS as a tool for understanding the parent attachment of late school-age children. In addition, DAS helps children to express their complicated inner thoughts and delicate feelings through drawing in clinical or educational fields for supplementing the linguistic self-report type test. Also, DAS is expected to identify the children having depression and help in healthy metal development of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