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4 Download: 0

우울감이 높은 아동을 위한 Winnicott의 대상관계적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Title
우울감이 높은 아동을 위한 Winnicott의 대상관계적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rt Therapy Based on Winnicott's Object Relations for a Child with High Depression
Authors
최선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감이 높은 아동에게 Winnicott을 중심으로 한 대상관계적 미술 치료를 실시하여 아동이 경험한 미술치료 과정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질적사례연구의 방법론을 택하여 참여자의 경험과 의미를 현상학적이고 맥락적인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우울감이 높은 초등학교 6학년 남아를 대상으로 개인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00지역아동센터에서 2017년 5월 30일부터 2018년 6월 14일까지 주 1~2회, 60분 씩, 총 40회기로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우울감이 있는 아동의 심층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치료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대상관계이론 그 중, Winnicott의 발달적 이론과 치료적 환경을 통한 치료에 중점을 두었다. 자료의 수집은 미술치료 일지, HTP, KFD, SCT 등 평가, 작품 이미지 등을 활용하여 참여자의 작품과 작품을 통해 표현된 언어, 메타메시지 등을 수집하였다. 또한 참여자와의 2회의 사후 면담을 가졌으며, 지역아동센터의 교사들과 매 시간 짧은 면담을 통해 참여자의 생활에 대하여 들을 수 있었다. 사후 면담 시 연구자는 참여자에게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질문지에서 나타난 글을 다시 언어로 표현하였으며, 이를 다시 미술 작업을 통해 서로의 이해를 돕고 명료화하는 과정을 가졌다.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고 의미를 분류·분석하여 다음의 〈괜찮다고 말하지만 실은 그렇지 않아요〉, 〈고통스럽고 아픈 나〉, 〈부정적인 나의 모습과 생각〉, 〈나의 마음을 표현할 수 있어요〉, 〈나를 마주함〉, 〈긍정적인 나의 모습과 변화〉, 〈고마운 미술치료〉의 7개의 상위주제와 20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Winnicott을 중심으로 한 대상관계적 미술치료의 시각적·비언어적·상징적 표현은 자신의 문제를 부정·회피하는 우울한 아동에게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되며, 그러한 의사소통은 대상과의 관계를 이루어 나가는 데 도움을 준다. 참여자는 비교적 안전하게 느껴지는 미술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였고, 연구자는 그림에서 표현되는 상징 대상에게 지지적인 말을 해줌으로써 참여자의 감정이 해소되고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도왔다. 참여자는 촉진적이고 허용적인 치료적 환경 안에서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못했던 자신의 내면세계와 어두운 감정을 드러낼 수 있었다. 둘째, Winnicott을 중심으로 한 대상관계적 미술치료는 우울감이 높은 아동이 창조적 활동을 통해 내면의 힘을 키우고 욕구를 충족함으로써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하며, 내면에 억압되었던 공격성을 적절히 표출하도록 하여 그것을 긍정적인 에너지와 활동성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였다. 창조성은 우리가 외부세계로 나아가는데 있어 우리의 현실을 감당할 수 있는 상태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며, 공격성은 우리가 능동적으로 활동하고 삶의 에너지를 만들어 나가는 긍정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창조적 활동은 참여자의 내면을 점차 건강하게 만들어주었고, 적절한 방법으로 공격성을 표출하는 방법을 알게 됨에 따라 우울한 심리내적 상태를 벗어나게 해 주었다. 셋째, Winnicott을 중심으로 한 대상관계적 미술치료는 자신의 발달을 저해한 과거의 상황으로 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신의 주관적 현실을 객관적으로 보고, 감당할 수 없었던 내적 환경을 조절·통제할 수 있게 한다. Winnicott을 중심으로 한 대상관계적 미술치료는 참여자가 자신의 발달이 정지된 시점을 스스로 찾아 갈 수 있는 용기를 갖게 해주었고, 최종적으로 자신의 감당할 수 없었던 내적 환경을 다룰 수 있는 수단이 되었다. ;This study set out to administer Winnicott's object relation-based art therapy to a child with high depression and examine the processes and meanings of art therapy he experienced.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hose the methodology of qualitative case study and examine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meanings from phenomenological and contextual perspectives. The investigator provided individual art therapy to a child in the sixth grade that had a high degree of depression. Total 40 sessions of art therapy took place at the local children's center of 00 in Gyeonggi Province with a 60-minute session once or twice per week on May 30, 2016 ~ June 14, 2018. The investigator focused on treatment based on Winnicott's developmental theory and therapeutic environment in the object relations theory to understand the profound aspects of a child with high depression and increase therapeutic effects. Data was collected on the participant' language and meta-messages from art therapy logs, tests including HTP, KFD, and SCT, and his works. The investigator also had two after-session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 and a brief interview with teachers at the local children's center after every session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lives of the participant. Following after-session interviews, the investigator gathered together materials from the questionnaire filled out by the participant, translated his responses into texts, and put him through art works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clarification. The collection of research materials and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his meanings led to seven upper-level topics including "I say I am fine, but I am not," "I am in pain and hurt," "my negative aspects and thoughts," "I can express what is on my mind," "facing myself," "my positive aspects and changes," and "I appreciate art therapy." In addition, 20 lower-level topics were also identified. Thes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non-verbal, and symbolic expressions in Winnicott's object relation-based art therapy became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on for depressed child that tended to deny or avoid his issues. Such communication helped him form relations with objects. The participant expressed his emotions through art that felt relatively safe to him, and the investigator offered supportive words to the objects of symbolism in his drawings and helped the participant resolve his issues and fulfill his needs. The participant was able to display his internal worlds and dark emotions that he used to find difficult to express directly in a facilitating and permissive treatment environment. Secondly, Winnicott's object relation-based art therapy helped the child with high depression experience positive changes by growing inner strength and fulfilling his desire through creative activities and translate this aggression into positive energy and activity by expressing his aggression suppressed inside properly. Creativity puts people in a state of being capable of dealing with reality as he go outside into an external world. Aggression contains positive elements for people to be active and create life energy. Doing creativity activities, the participant became gradually strong inside and got to learn how to expression aggression in proper ways, thus growing out of depressed intrapsychic state. Finally, Winnicott's object relation-based art therapy encouraged the participant to reach situations that disturbed his development in the past, see his subjective reality in an objective fashion, and regulate and control an internal environment that he was not able to deal with. Winnicott's object relation-based art therapy gave him the courage of reaching the point where his development suspended for himself and eventually offered him a means of dealing with an internal environment that he was not able to hand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