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5 Download: 0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표현 및 자발성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Title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표현 및 자발성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Self-Expression and Spontaneity in a Child from Multicultural Family
Authors
제갈민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본 연구는 자기표현 및 자발성의 부족을 보이며 무기력한 태도를 보이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자기표현과 자발성을 위한 개인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구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자기표현을 어려워하고 자발성이 부족한 12세 다문화가정 남자아동으로, 2018년 3월 14일부터 2018년 11월 9일일까지 주 1회 50분씩 총 30회기의 미술치료프로그램과 사전․사후면담이 진행되었다. 연구의 자료는 매 회기 및 사전․사후면담의 축어록과 관찰일지, 미술작품, 어머니 및 놀이치료선생님과의 면담 내용 등 다각도로 수집되었다. 자료분석 결과 본 미술치료 사례의 경험에 대한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이 〈위축된 마음으로 시작한 미술치료〉, 〈자발적 미술작업을 통해 새롭게 경험하는 나〉, 〈미술작업을 통해 표현하는 나의 소망〉, 〈색으로 감정을 만나고 표현함〉, 〈색으로 감정을 만나고 표현함〉, 〈미술치료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새로운 나를 만나다. 또 다른 시작〉의 6개 상위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표현 및 자발성의 부족을 보이며 무기력한 태도를 보이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자기표현 및 자발성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과 그 의미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을 어려워하며 자발성이 부족했던 다문화가정 아동은 미술작업경험과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점차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었으며, 자신의 감정과 생각 그리고 내면의 욕구를 미술적 표현을 통해 객관화하고 수용 및 해소하는 경험을 하였다. 둘째, 자기표현을 어려워하며 자발성이 부족했던 다문화가정 아동은 능동적인 자기표현 및 자기결정을 촉진하는 비구조적인 미술치료 환경가운데 자신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었으며, 점차 능동적인 태도 즉, 자발성을 회복하는 경험을 하였다. 셋째, 자기표현을 어려워하며 자발성이 부족했던 다문화가정 아동은 자기표현과 자발성을 위한 미술치료 경험의 과정에서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키울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고 자발성이 부족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치료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접근하고 개입하는지, 그 과정 속에서 아동은 이와 관련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한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적 임상자료를 제공한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what experiences a child from multicultural family who had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and was rarely spontaneous had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and determine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12-year-old boy from multicultural family who had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and was rarely spontaneous; he was provided with an art therapy program in a total of 30 sessions—a session per week, 50 minutes per session—along with interview before and after running the program from March 14 to November 9, 2018. Many different types of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verbatim record and the observation journal for each session and interviews with him before and after running the program, art works, and interviews with his mother and play therapy teacher. The data analysis found that the experiences in this case of art therapy essentially had 16 sub-themes in 6 themes: 〈I started art therapy with an impoverished mind〉, 〈 I have new experiences through spontaneous art-making〉, 〈 my hope is expressed through art〉, 〈I meet and express emotions through colors〉, 〈art therapy gives us happy time〉, and 〈I meet myself of a new kind—another sta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drawn about the experiences the child from multicultural family who was poor at self-expression, rarely spontaneous, and helpless had through art therapy and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s: First, the child from multicultural family who had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and was rarely spontaneous was gradually able to express himself freely through the experiences of art-making and interaction with the researcher and to objectify, accept, and satisfy his feelings, ideas, and needs through artistic expression. Second, the child from multicultural family who had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and was rarely spontaneous was able to become newly aware of himself in the middle of the unstructured art therapy environment that promoted active self-expression and self-determination and to gradually restore positive attitude, or spontaneity. Third, the child from multicultural family who had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and was rarely spontaneous was able to promote positive self-concept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art therapy for self-expression and spontane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provided basic clinical data that can help get a practical and contextual understanding of what specific approach and intervention art therapy makes for a child from multicultural family who has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and is rarely spontaneous, what relevant experiences the child has, and what meanings the experiences ha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