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8 Download: 0

소아청소년 암 환자의 자아상회복을 위한 디지털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Title
소아청소년 암 환자의 자아상회복을 위한 디지털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Digital Art Therapy for Self-Image Recovery of For Child with Cancer
Authors
유리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청소년 암 환자가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자화상을 통해 자아상 회복을 중점으로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소아청소년 암 환자는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심리사회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있는 시기에 암 질환으로 더욱 혼란스러움과 어려움을 경험하며 암이라는 질병은 외부로부터의 단절을 가져오고 건강하지 못한 자아상을 형성하게 한다. 이로 인해 청소년 시기의 과업인 자아정체성 형성에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연구자는 미술치료 안에서 긍정적 자아상을 가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목적으로 어떤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기위해 질적사례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7월23일부터 2018년 11월7일까지 주 1~2회 60분~90분씩 총 13회기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5세 청소년으로 2년 2개월 가량 시간에 걸쳐 치료 중에 있으며, 조혈모세포이식 수술 후 외래치료받고 있다. 현재 후유증이 심해져서 다시 항암제를 복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연구자는 건강한 자아상 형성에 도움을 주고자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세웠다. 디지털 프로그램의 매체탐색, 흥미유발, 다양한 자기탐색, 업악된 감정표출, 자기 발견과 수용으로 건강한 자아상 형성에 중심을 두고 회기가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매 회기에 진행되어지는 결과물과 참여자의 감상지와 녹취록, 회기 결과물인 이미지와 작업하는 화면 동영상을 자료로 수집하여 기록으로 남겨 참고하였다. 수집자료를 반복해서 들으며 벌어지고있는 상황의 맥락 안에서 참여자로부터 나타나는 미술적 표현, 행동양식, 심리적 변화 등 이러한 반응들을 다시 한번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비슷한 특징을 나타내는 것들을 조직하여 범주화 하였다. 분석 결과는 ‘디지털 매체의 유인력과 치료효과’, ‘자아상 회복에 따른 자화상 수용’, ‘치료에 대한 심리적 변화’ 라는 3개의 상위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로 도출하였고 회기진행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하위주제를 초기, 중기, 종결기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매체의 유인력으로 치료에 대한 두려움과 연구자와 첫만남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기술습득 과정을 통해 자존감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진 참여자에게 디지털 매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표현 기능으로 자신을 탐색하게 하여 건강한 자아상 회복에 실효성있는 도움을 주었다. 셋째, 디지털 매체를 통한 스토리텔링은 창의력 증진과 욕구를 간접적으로 실현하며 동기를 부여하였다. 넷째, 직면하기 힘들어했던 자신의 모습을 선호하는 디지털 매체를 선택하여 자기만의 표현방식으로 자화상을 그렸다. 연구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소아암을 겪고 있는 청소년 환자의 건강한 자아상 회복을 위한 디지털 미술치료는 디지털이 가지고 있는 유인력을 기반으로 치료효과에 도움을 주었고 기술습득이라는 교육적인 측면을 통해서도 자신감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청소년시기에 확립되어져야 하는 중요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건강한 자아상 회복에 도움이 되었다. 이로 인해 참여자는 프로그램 회기초기에 겉으로 드러나는 자신의 사진을 직면하기 어려워했지만 종결로 갈수록 자신의 얼굴을 직접적으로 그려주며 참여자 자신의 외적인 모습을 수용하고 자신을 마주할 수 있는 용기가 생겼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child with cancer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 using digital media for recovering the self-image.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experience confusion and difficulty by having cancer in the time when they go through physical, cognitive, and psychosocial changes. The cancer causes severance of the outside and makes the patients to create unhealthy self-image. Thus,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have difficulty in forming the right ego identity during the adolescence period. Thu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child with cancer to explore how art therapy helps him to have positive self-image and what experiences the participant goes through during the art therapy. The participant received 13 individual art therapy sessions once or twice a week for 60 to 90 minutes from July 23, 2018 to November 07, 2018. The participant was a 15-year-old adolescent who was under treatment for 2 years and 2 months, and was regularly visiting the hospital after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 participant is currently taking anti-cancer drug again due to severe aftereffect. This study established following goals. The art therapy was composed by focusing on searching digital program media, inducing interest, performing various self-explorations, expressing suppressed emotion, and forming healthy self-image through self-discovery and acceptance. For collecting data, this study recorded the results of each art therapy, report from participant, recording, image from art therapy, and video. This study examined the collected data repeatedly and carried out in-dept analysis on artistic expression, behavior pattern, psychological change, and the participant’s other responses. Then, this study categorized the item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3 upper topics of 'Attractiveness and Treating Effect of Digital Media', 'Acceptance of Self-Portrait through Recovery of Self-Image', and 'Psychological Change for Treatment' and 16 sub-topics. To examine the patent's changes in progress of art therapy, this study classified the sub-topics into initial stage, middle stage, and terminating st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ttractiveness of digital media eased the participant's fear toward treatment and uncomfortableness in the first meeting with the researcher. Also, the skill acquisition process helped improving the participant’s confidence. Secondly, various expressive features of digital media helped exploration of participant who had a negative self-image. Such exploration process provided practical help for the participant to recover healthy self-image. Third, although the participant had difficulty in facing oneself, the participant selected the digital media and the digital media drew the self-portrait in its own expression method. In conclusion, the digital art therapy for recovering the healthy self-imag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maximized the treatment effect based on the attractiveness of digital media. Also, the digital art therapy influenced on improving the confidence through educational aspect of skill acquisition. Furthermore, the digital art therapy had positive influence on forming the ego identity which is crucial in adolescence period and it also helped in recovering the healthy self-image. In the early stage of the art therapy, the participant had hard time facing the photo revealing oneself. However, in the terminating stage, the participant drew the self-portrait and it showed how the participant had the courage to accept the external appearance and face onesel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