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정경원-
dc.creator정경원-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40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4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4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41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203-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영어 외에도 중국어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조기교육이 확산되면서 중국어-한국어 이중언어 환경의 아동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중언어 아동들은 언어발달에서 단일언어를 사용하는 아동들과 다른 언어적 특징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들의 자연스러운 특징임에도 불구하고 언어장애로 오해를 받는 경우가 많다(Pearson et al., 1997). Gildersleeve 등(2008)은 영어와 스페인의 이중언어 환경에서 3세 아동들의 영어 음운기술을 조사하였는데, 이중언어 환경의 아동들이 영어를 사용하는 단일언어 환경과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단일언어 환경의 아동들에 비하여 낮은 명료도와 자음ㆍ모음 오류를 보이며, 조음을 더욱 왜곡하고 불규칙한 오류형태를 산출한다고 하였다. 황상심(2010)은 3세 중국 다문화아동의 조음음운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중국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음운변동에서 종성의 오류 빈도가 높았으며, 음운변동 형태는 단일언어 아동들과 유사하였지만 음운변동 오류율이 더 높았다고 하였다. 또한, 이들에게서는 단일언어 아동에 비해 비음오류가 더 많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중언어 아동들을 진단하고 이들의 말소리 장애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단일언어 아동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언어적 특징을 이해하고, 전형적인 말소리발달과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동의 조음음운능력은 모든 언어에서 발달적인 오류, 장애 패턴, 제2언어 습득 패턴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므로(Mann & Hodson, 1994) 이중언어 아동들의 조음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 아동 집단과 한국어 단일언어 아동 집단의 조음특성을 살펴보고 연령별 나타날 수 있는 음운변동 패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4세 이중언어 아동 12명, 생활연령과 성별을 일치시킨 단일언어 아동 12명, 총 24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낱말 및 문장 수준 검사에서 살펴본 자음정확도와 모음정확도는 이중언어 아동 집단과 단일언어 아동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이중언어 아동 집단이 단일언어 아동 집단에 비해 낮은 자음정확도와 모음정확도를 나타냈다. 둘째, 이중언어 아동 집단의 낱말 및 문장 조음정확도 모두와 상관을 보인 변인은 한국어 수용어휘력이었다. 낱말검사의 자음정확도는 한국 거주기간, 주당 한국어 사용시간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으며, 문장 수준 검사의 모음정확도는 한국어 표현어휘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낱말검사를 기준으로 이중언어 아동 집단과 단일언어 아동 집단의 음운변동 출현율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동은 탈유음화, 탈파찰음화, 동화, 모음변동이었다. 특히, 이중언어 아동 집단은 단일언어 아동보다 더 많은 /ㄱ/ 종성탈락을 보이고 있었다. 넷째, 각 집단별 음운변동 고빈도 출현율과 출현아동 수를 살펴본 결과, 이중언어 아동 집단의 음운변동 출현율은 단모음화, 파찰음의 파열음화, 비음화, 마찰음의 파열음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단일언어 아동은 단모음화, 파찰음의 파열음화, 마찰음의 파열음화, 어중종성탈락 순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별 양상은 비음화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단모음화는 이중언어 아동 모두에게서 나타난 음운변동으로 가장 많은 출현아동 수를 보인 변동이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단일언어 아동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 아동들의 조음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 아동의 한국어 조음능력을 평가할 때 중국어의 영향으로 나타날 수 있는 음운변동 패턴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이는 한국어와 중국어를 구사하는 이중언어 아동들의 조음 진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variability of Korean – Chinese bilingual children group. The study selected 12 children 3- to 4-year-olds for both of monolingual (Korean) and bilingual (Korean – Chinese), respectively. To screen the state of development of child,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I (K-DDST, Shin, 2002) an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Kim, 2009) were used. Also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U-TAP) was evaluated. Consonant and vowel accuracy was analyzed by using a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prediction among connective consonant and vowel accuracy in bilingual group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requency rate of phonological processes was analyzed by using a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Consonant and vowel accuracy. Second, the ability of Korean receptive vocabulary is correlated with articulation accuracy of word and sentence for the bilingual group. Consonant accuracy of the word tes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uration of staying in Korea and time of use per week. The vowel accuracy of the sentence tes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Korean expressive vocabulary. Thir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number and types of phonological processes in liquid deletion, de-affrication, assimilation patterns, and vowel assimilation on word test. In particular, bilingual group had more /ㄱ/ final consonant deletion than monolingual group. Fo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requency rate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number of children in each group, the rate of occurrence of phonological changes in the bilingual group is in the order of glide deletion, stopping (de-affrication), nasalization, and stopping (de-frication). However, the order in monolingual group is glide deletion, stopping (de-affrication), stopping (de-frication), and word-medial consonant dele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s nasalization between two groups. Especially, glide deletion is strongly showed in all children in the bilingual group. It is suggested that the phonological processes pattern that can be expressed by the influence of Chinese should be considered when evaluating the articulation ability of bilingual. The results could be used to diagnose articulation of children who speaks both of Korean and Chine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정의 6 1. 이중언어 아동 6 2. 조음정확도 6 3. 음운변동 7 Ⅱ. 이론적 배경 8 A. 한국어와 중국어 음운체계 8 B. 단일언어 아동의 조음발달 13 C. 이중언어 아동의 조음습득 15 D. 이중언어 아동의 조음산출과 음운변동 17 Ⅲ. 연구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검사도구 23 1. 기초검사 도구 23 2. 본 검사 도구 25 C. 연구절차 27 1. 예비실험 27 2. 자료 수집 방법 27 3. 본 실험 27 D. 자료 분석 29 1. 낱말 수준 검사 29 2. 문장 수준 검사 30 E. 신뢰도 평가 31 F. 자료의 통계적 처리 32 Ⅳ. 연구 결과 33 A. 집단 간 조음정확도 차이 33 1. 낱말 수준 검사 33 2. 문장 수준 검사 34 B. 이중언어 아동의 조음정확도와 변인별 상관관계 36 C. 집단 간 음운변동 출현율 및 출현 양상 39 1. 음절구조변동 39 2. 대치변동 42 3. 동화변동 49 4. 모음변동 50 D. 집단 간 고빈도 출현 음운변동 패턴 52 Ⅴ. 결론 및 논의 54 A. 집단 간 조음정확도 차이 분석 54 B. 이중언어 아동의 조음정확도와 변인별 상관관계 55 C. 집단 간 음운변동 출현율 및 출현 양상 56 D.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1 참고문헌 62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136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조음과 음운변동 특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rticulation Development and Phonological Process Characteristics for Korean-Chinese Bilingual children-
dc.creator.othernameJung, Kyung Won-
dc.format.pagevii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