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5 Download: 0

문장성분측정법을 통한 말 늦게 트인 아동의 구문복잡성 및 다양성 분석

Title
문장성분측정법을 통한 말 늦게 트인 아동의 구문복잡성 및 다양성 분석
Other Titles
The syntactic complexity and diversity by Constituents unit analysis in Pre-school children with Late Bloomer
Authors
김인혜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yntactic complexity and diverdity between children with Late Bloomer(LB),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and Typical Development(TD). Thirty children(10 LB, 10 SLI, 10 TD) aged from 4 to 6 year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ir chronological age and intelligence scores were matched. 'Baby rabbit story' were used for the task. Stories consisted of 2 episodes consists of 6 images and 21 C-units. After telling the story, the child's retelled utterance analyzed. For measuring syntactic complexity: total number of C-units, total number of words, word length per c-unit(MLC-w), total number of subclauses, and number of subclauses per C-unit(MNC). and A new method of measurement of sentence composition was attempted to analyze both the syntactic complexity score and the syntactic diversity score. The oneway-ANOVA was performed to find out what the differences are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otal number of C-unit, MLC-w, MNC between SLI and TD group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LB and TD, and SLI and LB group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otal number of subclauses, between SLI and TD, and LB and TD group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LB and SLI groups.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otal number of words, , syntactic complexity score, and syntactic diverdity score between LB and TD, and SLI and LB groups. The total word number predicted a high level of syntactic complexity scores on all groups. and the syntactic diverdity score was predicted a high level of total number of C-unit for TD group, a total number of subclauses for LB group, and a total number of words for SLI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LI children show generally lower levels of syntax compared to TD group. and LB children also show similar levels to TD group of expressive word, total number of C-unit, MLC-w, MNC. Although not significant, LB group show lower performance than TD and higher performance than SLI group. LB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normal children in the use of total nember of words, syntactic complexity score, and syntactic diversity score. Even though the LB had a similar level of vocabulary, it could be seen that the language ability of the LB was still developing later than that of the TD. This should continue to monitor language development in the LB and should be implemented if intervention in syntax is required. And using constituents unit analysis method using has a similar effect to the existing method on child's syntax ability. so it is likely to be used as a new method for analyzing child's syntax ability.;아동들의 언어발달 양상이 모두에게 동일한 형태와 속도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나 비슷한 또래의 아동들은 보편적으로 관찰되는 일반적인 언어 발달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런데 아동이 다른 영역의 발달 지연이나 비언어적 능력의 이상 없이 만 2세 즈음에도 표현어휘 수가 50개 미만이거나, 3세 이전에 두 낱말 조합 산출에 어려움이 있으면 말 늦은 아동(late talker, LT)이라고 한다(Rescorla, 1989, Ukoumunne et al., 2012; 홍경훈, 김영태, 2005). 말 늦은 아동(LT)은 성장하면서 4세 정도에 또래와 비슷한 수준으로 표현어휘 수가 늘어나는 말 늦게 트인 아동(late bloomer, LB)과, 반면에 4세 이후에도 계속해서 또래들에 비해 언어적 발달에 지연을 보이면서 단순언어장애(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로 진단되는 경우로 나뉘게 된다(Leonard,1998; Bates, Dale, & Thal,1995; Fernald & Marchman,2012; Ukoumunne et al.,2012). 이와 같이 아동의 성장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차이에 대해 살펴보기 위한 말 늦은 아동(LT)이나 단순언어장애 아동(SLI)에 관한 연구가 계속해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말이 늦었던 아동들의 언어발달 특성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학령전기에 또래 일반 아동들과 비교했을 때 평균발화길이(MLU)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으나, 정보 누락의 오류가 많고 결속표지 및 문법형태소 사용이 유의하게 적었다는 보고가 있다(Paul et al,1996; Paul & Smith,1993). Paul and Alfredo(1993) 연구 결과 또한 2세 정도에 말이 늦었던 아동을 추적해서 연구하였더니 4세 정도에 또래 일반 아동들과 비교했을 때 형태론적 발달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했다. 특히 말이 늦게 트인 아동(LB)의 경우 MLU에서는 일반 아동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문법형태소 사용에 있어서는 일반 아동에 비해 낮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Rescorla(2005; 2009; 2013)의 연구에 따르면 말 늦은 아동들이 자라서 6 – 9세가 되었을 때에는 표현 언어가 또래 수준까지 올라오지만, 이 아동들을 13세, 17세까지 계속해서 추적 연구한 결과 또래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언어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말이 늦었다가 이후에 말이 늦게 트인 아동들의 언어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4 – 6세 학령전기 아동을 말 늦게 트인 아동, 단순언어장애 아동, 일반 아동 집단으로 나누어 이야기 다시 말하기를 통해 수집한 발화를 통해 구문복잡성을 분석하였다. 구문복잡성을 분석하기 위한 총 C-unit 수, 총 낱말 수, C-unit 당 평균 낱말 길이, 총 종속절 수, C-unit 당 종속절 수를 분석하였고, 이에 문장성분측정법을 통해 구문복잡성 점수, 구문다양성 점수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여 각 분석방법에 따른 집단 간 구문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새롭게 시도한 구문복잡성 점수와 구문다양성 점수가 기존의 구문복잡성 분석 방법들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이들을 예측하는 요인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 간 구문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총 C-unit 수, MLC-w, MNC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 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일반 아동과 말 늦게 트인 아동 집단 간, 말 늦게 트인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 낱말 수에 대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일반 아동에 비해 말 늦게 트인 아동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고, 말 늦게 트인 아동에 비해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총 종속절 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총 종속절 수가 유의하게 적었고, 말 늦게 트인 아동 또한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그에 반해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말 늦게 트인 아동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문장성분측정법을 통해 분석한 구문복잡성 점수와 구문다양성 점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일반 아동이 말 늦게 트인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구문복잡성 점수와 구문다양성 점수를 보였고, 말 늦게 트인 아동에 비해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아동들의 구문복잡성 점수와 구문다양성 점수가 다른 요인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구문 복잡성 점수와 구문 다양성 점수를 예측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어떠한 변인이 각 집단의 구문복잡성 점수를 예측하는지 알아보았다. 일반 아동 집단의 경우 구문복잡성 점수와 총 C-unit 수, 총 낱말 수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구문복잡성 점수를 예측하는 변인 단계별 중다회귀분석 결과에서 총 낱말 수가 구문복잡성 점수를 93.5% 예측하였다. 구문다양성 점수는 총 C-unit 수, 총 낱말 수, 총 종속절 수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단계별 중다회귀분석 결과, 총 C-unit 수가 구문다양성 점수를 87.9%, 총 종속절 수가 5.9% 추가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 늦게 트인 아동 집단의 경우 구문복잡성 점수와 총 C-unit 수, 총 낱말 수, 총 종속절 수, C-unit 당 종속절 수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단계별 중다회귀분석 결과에서 총 낱말 수가 구문복잡성 점수를 93.3% 예측하였다. 구문다양성 점수는 총 C-unit 수, 총 낱말 수, 총 종속절 수, C-unit 당 종속절 수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단계별 중다회귀분석 결과, 총 종속절 수가 구문다양성 점수를 93.8%, 총 C-unit 수가 5.3% 추가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의 경우 구문복잡성 점수와 총 C-unit 수, 총 낱말 수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단계별 중다회귀분석 결과에서 총 낱말 수가 구문복잡성 점수를 77.6% 예측하였다. 구문다양성 점수는 총 C-unit 수, 총 낱말 수, 총 종속절 수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단계별 중다회귀분석 결과, 총 낱말 수가 구문다양성 점수를 80.0%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말 늦게 트인 아동에 대한 국내 연구가 아직 활발하지 않은 실정에서, 국내의 학령전기 말 늦게 트인 아동이 또래의 일반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어떤 구문론적인 특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 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새로운 구문분석 방법인 문장성분측정법을 활용하고자 시도하고 소개한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말 늦게 트인 아동은 표현어휘가 정상 범주로 진전되었으나, 학령전기에 발달하는 구문 능력을 살펴본 결과, 기존의 연구들과 유사하게 모든 수행력이 일반 아동들에 비해 낮고, 단순언어장애 아동보다는 높았다. 특히 총 낱말 수, 구문복잡성 점수, 구문다양성 점수에서는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여, 학령전기 말 늦게 트인 아동의 구문능력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 및 중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