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6 Download: 0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과제 유형에 따른 음운인식과 철자쓰기 간의 관계

Title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과제 유형에 따른 음운인식과 철자쓰기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Spelling Ability and Phonological Awareness Depending on Task Types in the Early School-aged Children with and without ADHD
Authors
김연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아동이 학령기에 들어서게 되면 문해 중심의 여러 가지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때문에 읽기와 쓰기를 수월하게 하는 선행요건들을 충족하지 못한 아동은 이를 토대로 형성되는 학습 기술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Berninger et al., 1998). 또한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한 정보검색, 정보전달 및 또래와의 의사소통을 위한 메신저 활용이 늘어나게 되어 가상공간 에서도 글을 읽어내고 쓰는 문해 활동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아동의 읽기 쓰기 능력의 보유는 일상생활 영위에 있어서도 필수불가결하다. 그 중에서도 올바른 철자 쓰기를 사용하는 것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글로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주로 이루어지는 철자쓰기 활동은 기초 단어 또는 문장을 전사하고 맞춤법을 학습하게 하는 받아쓰기이다(강현아, 2013). 받아쓰기의 사전적 정의는 남이 하는 말 또는 읽어 주는 글을 그대로 옮겨 쓰는 것이다. 이러한 표현은 단순 기억 문제나 베껴 쓰는 작업이라는 의미만을 내포하는 듯하다. 그러나 받아쓰기는 청각적으로 연속된 소리를 잘 듣고, 음소와 글자를 대응시킨 후, 한글의 특성에 따라 맞춤법에 맞게 잘 쓰는 일련의 복잡한 과정을 요하는 고차원 적인 활동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아동은 철자법 오류를 나타내게 된다. 선행 연구들에서는 음운인식 능력, 철자 지식, 시각적 저장, 형태론 지식, 인지 능력, 교수 기법 등 여러 요인들이 철자 쓰기 능력을 설명하고 밝히고 있으며 이와 같은 다양한 영역 혹은 요인에서의 결손이 쓰기에 문제가 있는 아동들에게서 발견된다고 보고하고 있다(Clarke-Klein, 1994; Ehri, 1989; Glenn & Hurley, 1993; Zutell, 1980) 그리고 여러 외국 선행연구들에서는 이들 중에 음운인식 능력이 아동의 초기 철자 쓰기 능력과 밀접 하게 관련이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Adams, 1990; Ball & Blachman, 1991; Bradly & Bryant, 1983; Tangel & Blachman, 1992; Wagner & Torgesen, 1987). 특히 한글의 경우, 하나의 소리가 하나의 낱글자를 나타내며 음소-글자 대응 관계가 분명하고 상대적으로 규칙적인 언어이기 때문에 읽기와 쓰기 학습에서 소리를 음소로 분절할 수 있는 음운인식 능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철자쓰기에 있어서 음운인식의 영향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안성우, 2006). ADHD 아동의 경우, 일반 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짧은 주의 집중으로 인해 과제에 집중 하는 기간이 짧으며 쉽게 지루해 하고 지시를 따르는 데 어려움이 있고 부주의로 인해 실수가 잦다. 이러한 1차적 주요 특성은 학업에서 낮은 성취를 유발한다. ADHD 아동들이 부딪히는 문제는 교육과정상 듣기와 말하기 및 읽기와 쓰기가 될 것이다(김은향 외, 2013). 더욱이 ADHD 아동은 정상 수준의 지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학업 성취를 보이는 경우가 많으므로(Barkley, 1990) 이들의 언어 능력을 알아볼 필요성은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국내에서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학업 영역 중 철자 쓰기 능력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고 있지만, 쓰기 수행 능력과 음운인식 능력을 함께 알아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쓰기 과제 유형에 따른 철자쓰기 능력이 일반아동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음운인식 과제 유형에 따른 음운인식 수행 능력이 일반 아동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철자 쓰기 능력과 음운인식 능력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초등학교 1,2학년의 ADHD 아동 12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 총24명의 아동이 참여하였다. ADHD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 받아쓰기와 베껴쓰기 과제 유형에 따른 쓰기 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음운변별, 합성, 생략 과제 유형에 따라 음운 인식 수행력을 비교하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쓰기 과제능력과 음운인식 능력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받아쓰기와 베껴쓰기 과제 유형에 따른 철자 쓰기 능력을 분석한 결과, 집단 및 과제 유형에 따른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쓰기 과제 수행력 평균 점수에서 ADHD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이고, 받아쓰기 점수에 비해 베껴쓰기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받아쓰기 과제가 베껴쓰기 과제보다 어려운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과 쓰기 과제에 대한 이차상호작용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음운 변별, 음운 생략, 음운 합성 과제 유형에 따른 음운 인식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집단에 따른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음운인식 과제 정확도에서 ADHD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과제 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차 상호작용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 쓰기 과제(받아쓰기, 베껴쓰기)와 음운인식 총 정확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반아동의 경우, 받아쓰기 능력은 음운인식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베껴쓰기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ADHD 아동의 경우, 받아쓰기 능력은 음운인식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베껴쓰기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임상적 의의를 제공한다. 첫째, 받아쓰기에서 철자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ADHD 아동이 베껴 쓰기 과제에서는 쓰기 수행의 향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ADHD 아동 집단의 경우,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베껴쓰기 과제에서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이는데, 이러한 결과는 본인이 쓴 철자가 올바르게 쓰여 졌는지를 확인하는 집중력이 일반 아동 대비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ADHD 아동은 베껴 쓰기 과제에서도 어려움을 나타내므로, 보편적인 학업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능력치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과제인 베껴 쓰기 과제를 철자 쓰기 중재 목표 설정 시 참조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철자쓰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ADHD 아동은 음운인식 능력에서도 어려움을 보였기 때문에 ADHD 아동을 조기 선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철자 쓰기 과제 유형에 따른 음운인식 능력 간 관계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The goal of this study were (1) to compare the performance on text copying task and text dictation of two groups of children with ADHD and without ADHD, and (2) to compare the performance on a phonological awareness accuracy in three types(discrimination, deletion, blending)with ADHD and without ADHD and (3)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total accuracy and spelling performance depending on task types(dictation, copying) Twelve children with ADHD and age-and gender-matched normal childr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Korean 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Intelligence-Second Edition(K-CTONI-2) test,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spelling task(dictation, copy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task(discrimination, deletion, blending) were measured. In this study, Two-way mixed ANOVA was used to measure the spelling task and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Correlation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ccuracy and spelling score were analyzed by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ed spelling score h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groups and task types. the interaction between task types and groups was significant. Second, the phonological awareness accuracy had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groups but not on task types. Also, interaction between task types and groups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ccuracy and dictation task performa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wo groups. On the contrary, for copying task,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wo groups. This result showed that the early school-aged normal children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 ADHD group on the phonological awareness task and spelling task. In addition, it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spelling performance This study has a series of educational implication. First, a task copy could be adopted spelling intervention for ADHD with spelling difficulties to maintain school activities. Second, phonological awareness could be considered as to distinguish ADHD and normal children. Third,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figure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spelling depending on task typ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