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1 Download: 0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시제 중재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시제어미 산출에 미치는 효과

Title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시제 중재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시제어미 산출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Tense Intervention via IoT-based Smartphone Application on Tense Ending Production of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uthors
김지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시제는 어떠한 행위나 사건, 상태의 시간적인 위치를 언어적으로 나타내는 문법 범주이다(함윤성, 2005).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겪는 경험들은 그 배경이 되는 시간과 떼려야 뗄 수 없기 때문에 일상의 경험을 언어적으로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시제 표현은 필수적이다(원혜미, 황민아, 2005). 선행연구에 따르면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에 비해 과거, 현재, 미래 등 3분 시제 모두에서 시제어미 이해 및 산출 과제의 평균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방선윤, 2009; 조미옥, 2009). 그러나 조사나 연결어미 등의 문법형태소에 비해 시제어미를 주제로 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시제 사용에 관한 프로파일 역시 점차 확립되어 나가고 있는 시점으로 시제 산출능력 향상을 위해 중재를 실시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편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및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러닝 개념이 대두되며 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교육에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접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한 추세이다. 앱을 활용한 교육의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다양한 재미 요소를 통해 대상자의 학습동기를 고취시킬 수 있으며 자연스레 자기주도학습을 접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김정민, 차태희, 김현호, 이민희, 이주미, 장윤희, 2005). 따라서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앱 ‘말놀이 교실’을 활용한 중재를 실시하여 이러한 중재가 훈련 과제 및 일반화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시제어미 수행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지 관찰하고, 중재 종료 후에도 수행력이 유지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재 도구로서의 가치를 알아보고 임상에서 시제 중재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통해 중재에 따른 시제어미 산출 수행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은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유지 단계 등 총 세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시제어미 산출 훈련 과제 22문항과 이해 및 산출 일반화 과제 24문항을 통해 시제어미 수행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중재는 주 2회 40분씩 진행되었으며 과거 시제, 미래 시제, 과거+미래 시제 순으로 실시하였다. 해당 중재 목표시제의 정확도가 연속 3회기 동안 85% 이상에 도달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며 과거+미래 시제 단계의 경우 준거에 도달하면 중재를 종결하였다. 중재 종료 3주 후에는 연속 3회기 동안 훈련 과제 및 일반화 과제를 평가하여 과제 수행 정확도가 유지되는지 관찰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시제 중재를 실시한 결과, 참여 아동 4명은 모두 기초선에 비해 중재 단계의 시제어미 산출 평균 정확도가 상승하였다. 다만 효과크기를 보면 3명의 아동이 매우 높은 효과에 해당하였으며 1명의 아동은 효과가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제 중재가 산출 수행력 향상에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개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참여 아동 모두 기초선에 비해 중재 단계에서 일반화 과제의 시제어미 이해 및 산출 정확도의 평균이 향상되었다. 다만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4명 중 3명의 아동이 매우 높은 효과 및 중간 효과를 보이고 1명은 작은 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중재의 목표 동사와 중복되지 않는 일반화 과제에서도 중재에 의한 수행력의 상승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개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참여 아동 모두 유지 단계에서 기초선 단계에 비해 향상된 수준의 수행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였으며 효과크기도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중재가 종결된 후에도 시제어미 과제 수행력에 대한 유지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시제 산출 능력에 대체로 긍정적 영향을 나타내며 중재 도구로서 활용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exhibit significant deficits in their ability to use grammatical morphemes. While Korean language is typically rich in grammatical morphemes, the acquisition of them can be used as a critical indicator of language development for Korean preschoolers. Even so, research on such characteristic deficits seen in Korean children with SLI has been limited to their use of propositional particles or connective endings. Only a sparse number of studies have been focusing on tense endings, and it is even harder to find the studies with an intervention conduct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to improve these children’s ability to use tense endings properly. Thus, this study observes changes in the accuracy of tense ending production in preschoolers with SLI going through an intervention program via an Internet-of-Things(IoT)-based smartphone application called ‘wordplay class’. In doing s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cation as an interventional means and provide a reference in a clinical setting. In this regard,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e study: (1) Does an intervention program using an IoT-based smartphone application improve the accuracy of tense ending production in preschoolers with SLI? (2) Does the intervention have a stimulus generalization effect on the accuracy of tense ending production? (3) If so, is the improved accuracy of their tense ending production maintained three weeks after the program ends? In this study,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conducted on four preschoolers with SLI to examine changes in their abilities to produce tense endings after an intervention program. The experiment consists of a baseline phase, an intervention phase, and a maintenance phase; and the accuracy of participants’ tense ending production was evaluated using 22 training tasks and 24 generalization tasks. The intervention phase was comprised of 40-minute sessions which were implemented twice a week to train past tense, future tense, and past and future tense in order. If a participant achieved 85% or higher accuracy of producing a target tense ending for three consecutive sessions, he proceeded to the next level of the program. Also, a follow-up survey was carried out three weeks after the program concluded by evaluating the training and generalization tasks for three consecutive sessions to assess if the improved accuracy was mainta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the accuracy of tense ending production in participants with SLI. The average accuracy of all four participants increased in the intervention phase compared to the baseline phase. However, the IRD scores of three participants rated as very large, while one showed very small effect. This illustrates that an intervention is general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ability of children with SLI to produce tense endings, but its effectiveness can vary according to individuals. Second, the average accuracy of all four participants to produce tense endings in the generalization tasks increased. However, the IRD scores of three participants rated as very large or moderate-size, while one showed very small effec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generalization tasks cover verbs different from target verbs used in the training tasks, this implies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has a generalization effect, but its effectiveness can vary according to individuals. Third, three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concluded, all four participants maintained a certain degree of accuracy of tense ending production that they had shown in the training and generalization tasks, which indicates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has a sustainable effect. In conclusion, the intervention program via an IoT-based smartphone application is generally effective in increasing accuracy of tense ending production in preschoolers with SLI, and thus, such an application can be used as an intervention tool to improve their ability to produce tense endings properly. However, more research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tervention process so that it can be used in a clinical set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