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2 Download: 0

MBC 무한도전 팬덤 연구

Title
MBC 무한도전 팬덤 연구
Authors
김유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동숙
Abstract
본 연구는 대규모 팬덤을 형성하고 유지하며 꾸준히 방영된 장수 예능 프로그램 MBC 무한도전의 팬덤 현상에 주목하며 시작되었다.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단계에서부터 배급하는 단계까지 모든 미디어 분야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이제는 콘텐츠가 퍼지지 않으면 의미 없는 시대가 되었다. 시청률만 중시하던 과거의 패러다임을 벗어나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맞게 콘텐츠의 ‘확산성(spreadability)’을 중시해야 한다(Jenkins et al, 2013). 무한도전 팬덤은 기존 팬덤의 연장 선상이면서 동시에 컨버전스 문화 속에 있기에 본 연구에서 주목하였다. 무한도전 팬덤은 커뮤니티 기반 팬덤에서 컨버전스 문화의 SNS 기반 팬덤으로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연구 환경을 마련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컨버전스 문화에서 예능 프로그램 팬덤 참여 양상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상민속지학과 질적 심층 인터뷰 연구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예능 프로그램 팬덤을 이해하기 위해서 팬덤이 좋아하는 대상인 콘텐츠를 분석하는 것은 필수이다. 따라서, <연구 문제 1>은 프로그램 내용적 측면에 초점을 맞춰 “무한도전 팬덤의 참여 원동력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무한도전은 새로운 영역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모습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웃음과 감동을 전하고, 사회적 메시지를 예능 프로그램 속에 웃음과 감동으로 담아냄으로써 시청자들에게 교훈을 준다. 무한도전 멤버의 조화는 사소한 대화 내용만으로도 팬들에게 즐거움을 준다. 13년이라는 장수 예능 프로그램이었기에 무한도전은 자연스레 시청자들과 함께 성장했다. 이를 통해 무한도전 팬들은 멤버들과 의사사회적 관계를 맺어 친밀감을 느끼고 동일시하게 되었다. 무한도전 제작진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팬덤과 소통하고자 노력하였다. 다음으로는 <연구 문제 2>에서는 컨버전스 시대에 문화적 실천의 주체로서 무한도전 팬들의 참여에 초점을 두고 컨버전스 문화에서 두드러지는 예능 프로그램 팬덤 현상의 참여 행태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무한도전 팬덤은 콘텐츠를 시청하고 창작하고 공유하는 확장한 ‘시청’ 방식의 참여를 하며, 프로그램에 출연하거나 시청자 게시판 활용, SNS 소통, 투표, 사연 신청과 같은 활동을 통해 참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컨버전스 문화에서 시청과 팬덤 의미가 어떻게 변하였는지, 그리고 제작진과 팬덤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해석하였다. 마지막 <연구 문제 3>으로는 컨버전스 문화에서 두드러지는 예능 프로그램 팬덤 참여 현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시청 의미의 변화와 팬덤 의미의 변화, 그리고 제작진과 팬덤의 상호 교류적 관계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첫째, 하나의 영상 콘텐츠를 다시 시청할 수 있는 플랫폼이 많아지고, 플랫폼마다 즐길 수 있는 콘텐츠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컨버전스 문화에서 ‘시청’의 의미가 변하였다. 콘텐츠를 보는 것은 물론이고 팬 창작물을 제작하는 것도, 다른 플랫폼으로 공유하는 것도, 그리고 콘텐츠에 ‘좋아요’ 버튼을 누르고 댓글을 다는 것도 의미 있는 ‘시청’이다. 둘째, 즐기기 방식이 변하면서 ‘팬’이라는 개념이 설명할 수 있는 범위의 기준이 유연해지고 팬덤 범주가 확장하였다. 적극적 시청자 혹은 팬 창작물을 제작하는 팬덤뿐만 아니라 컨버전스 문화의 핵심인 ‘확산성’에 기여하는 팬들 역시 컨버전스 팬덤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팬덤 내에서는 제작자 팬의 지위가 변하였는데, 팬 창작물을 제작하는 팬들은 제작진과 팬 중간의 위치에서 콘텐츠를 재가공하며, 팬들은 이들의 콘텐츠를 SNS에서 확산하고 이들에 대해 감사한 마음을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SNS가 활성화로 인해 팬들과 제작진이 소통할 기회가 많아지면서 무한도전 제작진과 팬덤의 관계는 소통하는 상호 교류적 관계가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예능 프로그램 팬덤 연구의 첫 시도이자, 컨버전스 문화에서 관찰할 수 있는 예능 프로그램 팬덤 참여의 변화를 풍부하게 이해하는 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궁극적으로 현대사회의 중요한 사회문화적 현상인 팬덤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 국내 팬덤 연구의 문화 연구적 지형 확장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start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ndom phenomenon of the MBC ‘Infinite Challenge’, a longevity entertainment program that consisted and maintained a large scale fandom. From content planning and production to distribution, competition in all media fields has become so fierce that it has become meaningless if content does not spread.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spreadability’ of content in order to adapt to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way from the paradigm of the past. ‘Infinite Challenge’ Fandom is an extension of existing fandom and, at the same time, is in convergence culture. ‘Infinite Challenge’ Fandom creates a natural research environment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from community-based fandom to SNS-based fandom of convergence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fandom participation patterns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in the convergence cul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through the method of in depth interviews with the virtual ethnography.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content that fandom likes to understand entertainment programs program fandom. Therefore, focused on the content of the program and asked "What is the driving force of the ‘Infinite Challenge’ Fandom?” The ‘Infinite Challenge’ gives viewers a sense of happiness and emotion through constant challenge to the new realm, and a lesson to viewers by bringing social messages into the entertainment program with laughter and emotion. The harmony of the members of the ‘Infinite Challenge’ gives the fans a pleasure even with the trivial conversation contents because it was a longevity program for 13 years, the ‘Infinite Challenge’ naturally grew with the viewers. Through this, ‘Infinite Challenge’ fans became physically and socially related with the members and felt the closeness to them. The crew responded sensitively to change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actively used SNS to communicate with fandom. Next, in , we focused on the participation of ‘Infinite Challenge’ fans as the subject of cultural practice in the convergence culture explained the participation behavior of the entertainment program fandom phenomenon which is conspicuous in the convergence culture. The ‘Infinite Challenge’ Fandom participates in the extended ‘viewing’ method of viewing, creating, and sharing content, participating in programs, using viewer bulletin boards, communicating through SNS, voting, and applying for stories. Based on thi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meaning of watching and fandom changed in the convergence cul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team and the fandom. In the last , we examined the change in phenomenon of fandom participation program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which is prominent in the convergence culture. The meaning of the audience, the change of the meaning of the fandom, and the mutual relationship of the producer and the fandom. First, the meaning of ‘watching' changed in the convergence culture as the number of platforms for viewing one image content again increased and the types of contents enjoyed for each platform varied. It is not only viewing content, but also creating fan creations, sharing with other platforms, and making comments by viewers press the ‘Like’ button on the content. Second, as the way of enjoyment changes, the range of fandom that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fan’ becomes more flexible and the category of fan has expanded. Fans contributing to ‘diffusion’, which is the core of convergence culture as well as fanatics who produce active audience or fan creations are also in the category of convergence fandom.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producer fan has changed in the fandom, and the fans who produce the fan creative remake the contents in the middle of the production team and the fan, and the fans spread their content on social media and appreciate them have. Lastly, as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echnology and the activation of SNS have increased th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between fans and production cre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ers and the fans has become a mutual relationship.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first study of fandom study in Korean entertainment program and a rich understanding of the change of fandom participation in program which can be observed in convergence culture. Ultimately, it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cultural study topography of domestic fandom research by discussing fandom which is an important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of modern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