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8 Download: 0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담당교사의 학교 교육과정 개발 경험에 대한 연구

Title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담당교사의 학교 교육과정 개발 경험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sible in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 on the basis of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Authors
김여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진영
Abstract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은 국가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전달과 실행에 따른 실효성 및 효율성 측면, 교육과정의 지역화에 따른 그 지역의 적절성 측면, 교육과정 전문가로서의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 측면, 학습자를 고려한 학습 내용의 다양성과 적합성 측면 등의 이유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측면이 필요성으로 모두 중요하지만 특히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서 주체가 되는 교사의 역할 측면에서 필요성을 강조하는 학자와 연구의 비율이 높다는 점에서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교사들의 개발 경험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보다 적극적 참여자라 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 담당교사들의 경험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과정을 통해 학교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부딪히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그 동안의 학교 교육과정 개발 경험을 통해 얻게 된 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교사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학교 교육과정의 발전적인 개발을 위한 주요 쟁점과 해결과제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 도입 시점에 맞추어 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의 하나의 절차로서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어떻게 이해하고 반영하는지를 함께 이해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른 연구문제는‘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담당교사들의 학교 교육과정 개발 경험은 무엇인가?’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담당교사들의 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의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질적연구 중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한 학교 교육과정 개발 경험과 그 의미를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해석하고자 하는 연구 목적에 부합되는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 연구 참여자는 2015 개정 교육과정 도입 및 적용 시점을 고려하여 연구 시기인 2017학년도에 1·2학년 담당교사이면서 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실제적 참여자라 할 수 있는 보직교사로서 본 연구와 관련하여 자료를 제공하는데 거부감이 없는 교사 4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7년 10월부터 2018년 5월까지이다. 연구 참여자들과 심층 면담 후 연구자가 작성한 전사자료, 연구 참여자들의 면담에 대한 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동학년회의 및 교육과정위원회 회의 관찰 일지, 연구 참여자들의 학교 교육과정 문서를 연구자료로 수집하였으며, 내러티브 탐구방법의 절차에 따라 분석하고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담당교사들의 학교 교육과정 개발 경험은 무엇인가?’는 대부분 담당자로서 가지고 있는 어려움의 경험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직접적인 담당자로서 보직교사가 되기 전까지는 학교 교육과정에 대해 인식하지 않았으며, 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며 학교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는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담당자로서의 어려움은 개발 과정 곳곳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의견 수합과정에서 참여를 유도하고 조율해야 하는 상황,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에 대한 안내자 역할을 해야 하는 상황, 교육과정의 문서화 작업, 촉박한 일정 등에서 어려움이 나타났다. 담당자로서의 어려움이 이외에 여전히 의사결정과정에서 중요한 학교장 영향력, 학교 현장에 제대로 이해되지 못한 2015 개정 교육과정, 학교 특색을 살리지 못하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경험을 찾을 수 있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반영과 실행에 있어서는 형식적인 교육과정 연수 문제,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반영되지 않는 교사들의 의견 문제,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설계 및 실행 자료 부족의 문제에 대한 경험이 여전히 나타나고 있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담당교사들의 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의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는 연구 참여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오는 경험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에 대한 해석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해마다 반복되는 과정 속에서 어려움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문제의 해결을 위한 교사들의 공동체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었다. 공동체적 접근의 시도에서 협의나 회의는 굉장히 중요한 요소였으며 협의나 회의를 통한 교육과정이나 교육활동에 대한 인식은 그 후의 실행에도 중요한 영향을 주는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가야 할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목소리는 ‘함께 하는 학교 교육과정’으로 나타났다. 교육의 주체자이자 실행자인 교사들의 공감대 형성 즉 플랫폼 형성은 학교 교육과정의 계획 및 설계, 실행, 평가에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현장에서 플랫폼 형성을 실질적으로 어떻게 해나가야 하는 것인가? 에 대한 과제의 해결과 그에 따른 지원이 앞으로 꾸준히 논의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서 플랫폼 형성이 주는 의미를 깨닫고 플랫폼 형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교육공동체의 협의나 회의를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를 활성화하는 노력을 지속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노력을 도와줄 수 있는 민주적 의사결정 방법, 갈등상황 조정 등과 같은 연수 프로그램과 그에 따른 지원체제 등이 연구되고 학교 현장에 보급 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플랫폼 형성을 위한 학교문화의 변화이다. 학교문화에는 관리자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지만 숙의와 학교문화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상호작용을 하는 관계로 생각할 때 활발한 숙의 활동을 통해 학교문화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었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구성원들의 공감대 형성의 장이자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교원학습공동체의 역할을 생각할 필요가 있었다. 실제로 교사들은 동료 교사의 경험에서 배움의 활동이 일어나고 교육활동이 논의되고 공유되고 있음을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에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교원학습공동체 관련 예산 분배 및 행정적 체제를 간소화하고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학교 간, 지역 교육청 간 사이에 계속해서 공유되고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 교육과정과 실행의 장이라 할 수 있는 학년 교육과정의 괴리 문제에서 플랫폼 형성 문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실행은 학급과 학급을 포함하는 학년에서 이루어짐에 반해 설계는 학교의 주 업무를 담당하는 특수부에서 이루어지는 현재의 체제가 ‘함께 하는 학교 교육과정’을 방해하고 있다고 경험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특수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업무분장 체제를 벗어나 교육과정과 수업 중심의 학년 협의체 중심의 분장으로 전환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학년 협의체 중심으로 교사들의 인식의 변화를 위해 관련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변화기에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플랫폼 형성이 되고 있지 않음을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이로 인해 연구 참여자들은 2017학년도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설계와 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모습이 나타났으며, 연수 등의 지원체제에 불만을 표현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현장의 필요에 맞는 강사풀을 구성하고 충분한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통한 플랫폼이 형성될 수 있도록 연수의 시기를 당기는 등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를 통해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가 원하는 ‘함께 하는 학교 교육과정 ’이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There are many reasons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curriculumsuch as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relevance of the region to the regionalisation of the curriculum, the autonomy and expertise of teachers as curriculum specialists, and the diversity and suitability of learners. While all these aspects are important it is meaningful to look at teachers' experience in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especially given the high proportion of research emphasizing the need in terms of the role of teachers, as they are the main actors in the development of school curriculum. Through a process to find outthe experiences of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teachers, who aremore active participants, the study meant to analyze the major issues and challenges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curriculum through teacher narratives. The study included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what has been gained from the experiences of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In particular, it aims to understandhow teachers interpret and reflect the curriculum as a process for developing school curriculum in tim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i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The resulting research questions are, 'What are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eachers' and 'What is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eachers' experience in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pplied the narratives of Clandinin and Connelly during the qualitative study.Narrative inquiry can be described as a study that is consistent with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 encounter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research purpose of interpreting its meaning through their stories. Considering the timing of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selected were four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1st and 2nd graders and who are able to be participants in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curriculum. The data collection period ran from October 2017 to May 2018. The research material was colle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interview between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ers after the in-depth interviews, the peer-to-school meeting and the Curriculum Committee meeting. The school curriculum document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ollected in the study material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From this, they derived conclusions from the study. The first question of the study, 'What are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eachers?' has been found to be a difficult experience most of the time as a manager. The study participants were not aware of the school curriculum until they became the teacher directly in charge, and they showed changes in their recognition of the need for school curriculum as they began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Obstacles for the manager could be found throughout the development process. Difficulties arose in situations in which participation should be encouraged and coordinat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situations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should be served as guides, documenting the curriculum, and pressing schedules. Other than the difficulties of being in charge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e were able to discover the influence of the school principals,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that was not well understood at the school site, and the feeling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at did not add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In the refle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experience was still evident in formal curriculum training, opinion of teachers not reflected in the revision curriculum, and the lack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data on the revised curriculum. What does the second question,'What is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eachers' experience in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mean for the common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An interpretat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a problem based on their experience of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repeating each year, and were attempting a communal approach by teachers to solve the problem. Consultation or meetings were a very important element in any attempt at a communal approach. The awareness of the curriculum or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consultation or meetings indicates a relationship that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subsequent implementation.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the voice for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schools to move forward has been 'A shared school curriculum'. The formation of a consensus among teachers who are the subjects and implementers of education, i.e. platform formation, has been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lanning,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school curriculum. The question remains, how do we actually build these platforms? The resolution of this project and its support should be discussed steadily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realized the meaning of platform formation in the development of school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following in order to form the platform.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research participants consider consulta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n important factor and continue their efforts to activate them. Also, training programs such as methods of democratic decision making to help such efforts, adjustment of conflict situations, and the resulting support system should be studied and disseminated to the school sites. Second, it is a change in school culture for platform formation. Although the influence of managers on the school culture has been shown, it also suggested that when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deliberation and school culture that affect each other, the deliberation could lead to a change in school culture Third,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the role of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s a platform to form consensus among the members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curriculum. In fact, teachers have been able to confirm from the study participants that learning is happening and that education is being discussed and shared from the experience of their peers. To this end, research on how to simplify and revitalize the educational system and budget distribution related to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should continue to be shared among schools and regional education offices. Fourth, there was a need to look at the problem of platform formation in the form of the gap between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school year curriculum, which is the place of implementation. The study participants expressed that while practice was done in the academic year, which included classes, the current system in the special division responsible for the main job of the school was hindering the 'A shared school curriculum'. Therefore, a shift from the current task division system centered on the Ministry of Special Affairs to the curriculum and class-oriented makeup should be attempted. In addition, related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steadily to change teachers' perception based on the academic year consultative body. Finally, it became obvious that the platforms of teachers for the revision curriculum were not being formed at the time of curriculum change. As a result,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found to have difficulty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for 2017 school year, and they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he support systems. To improve this, efforts are needed such as setting up a trainer pool suitable for the needs of the site and pulling the training period so that a platform can be formed through discussion of sufficient curriculum. Through these ongoing research projects and discussions, we hope that the 'A shared school curriculum' that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want will be achiev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