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12 Download: 0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Title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A study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public education
Authors
이선유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욱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개념과 실태 그리고 발전방향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개념 및 필요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실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발전방향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국(서울, 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 국·공립 유치원과 사립유치원에 근무 중인 유치원 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유치원 교사의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개념 및 필요성은 김춘순(1994), 서병만(1995), 이화향(1992)의 연구,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실태는 김경화(1997), 김춘순(1994), 서병만(1995), 정경화(2003), 최은영(2016)의 연구,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발전방향은 문무경, 박창현, 송기창, 김문정(2017)의 연구물들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직접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결과분석은 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문항별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우리나라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의미를 의무교육화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다. 대부분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로 유아의 발달과 교육 받을 권리를 평등하게 보장하기 위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실태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을 현황과 공교육의 원리(의무성, 무상성, 보편성과 중립성, 국가 운영·관리·감독, 학제)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현재 유아교육의 공교육화는 이루어지지 않은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공교육의 첫 번째 원리인 의무성의 실태로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의무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았는데, 그 이유로 의무교육을 통해 모든 유아가 교육을 받도록 하기 위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교육의 두 번째 원리인 무상성의 실태로 국가의 교육비 지원이 유아들의 공평한 교육기회 보장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유아들의 공평한 교육기회 보장을 위해 현행대로 국가가 가정에게 근무기관유형에 따라 산정된 일정한 교육비를 지원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지원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국가의 유아교육에 대한 예산편성 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하는 항목으로 인건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교육의 세 번째 원리인 보편성과 중립성의 실태로 만3-5세 공통 누리과정은 보편성과 중립성을 가진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다. 공교육의 네 번째 원리인 국가 운영·관리·감독의 실태로는 유아의 교육기회, 학급 운영, 교사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국가의 개입을 통해 우리나라 유아들의 교육기회는 균등하게 보장되고 있는 편이지만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았는데, 개선이 필요하다와 균등하게 보장되지 않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학급 운영 기준(교사 대 유아 비율, 학급크기)을 교육 기회의 균등성 보장을 위한 개선점으로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급 운영 부분으로 유치원 취원 연령은 현재 만3-5세가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고, 학급당 유아 수는 적절하지 않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학급당 유아 수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은 연령별 학급당 적정 유아 수에 대해 각각 만3세 5-10명, 만4세 11-15명, 만5세 16-20명에 응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교사 대 유아 비율의 개선방안으로 유치원의 학급 수 증설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 부분으로 유치원 교사의 자격 취득 방법은 유아교육과 졸업 후 국가고시를 통해 취득해야 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고, 유아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 교사 학력은 4년제 대학 졸업이 가장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다.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유치원 교사의 근무환경과 처우, 복지를 개선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았으며, 대부분은 우리나라 유치원 교사의 처우 및 복지가 적절하지 않다는 인식이 높았다. 그 이유로 과중한 업무로 인해 수업준비 시간과 기본 근무시간을 보장받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처우 및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교원으로서 처우 및 복지에 관한 명확한 법적 명시와 국가적 차원의 관리·감독을 실시하여 개선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다. 공교육의 다섯 번째 원리인 학제의 실태로 학교로서 유치원의 인식과 지위는 높지 않다는 인식이 높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은 우리나라 유아교육 공교육화가 발전하기 위해 가장 먼저 충족되어야 할 원리가 의무성의 원리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유아교육에 대한 균등한 기회 보장, 국·공립 유치원의 양적 확충 등과 같은 보편적 유아교육을 선결되어야 할 과제로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eneral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meaning, present state and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public education. There are three research questions for achieving this purpose as below. 1. How is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n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public education? 2. How is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n the present st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public education? 3. How is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public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e 201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Korea. The researcher produced a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o identify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public education; its meaning and necessity, present state,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 frequency analysis were implemented on each item of the questionnaire to understand th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 tendency of recogni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public education is to be a compulsory education. Most teachers perceiv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public education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 right to education and the positiv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Second, The teachers perceiv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not yet public education to b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ublic education, about the public responsibility as the first element of public education, most of the teachers agreed that the compulsory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required. The reason is that it can help every child in the country to be educated. About the second element, the complimentary education, the teachers opinion of the most efficient way for the equal opportunity is to maintain the current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o the families equally, depending on the types of institutions. To the teachers, personnel expenditure was considered as the most essential one, among the items of the government's compilation of the budget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erms of the third elements of public education, the universality and neutrality in education contents,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NURI curriculum for 3-5 age child which is national-level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ually holds the universality and neutrality. The fourth elements, the government's management, administration, and supervision, are examined by identifying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opportun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 management,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s. Although the education opportunity is assured by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d that an improvement is required, especially in terms of class management. They believe that the kindergarten entry age should be from 3 to 5 like now,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should be 5-10 at the age from 3, 11-15 at the age of 4, and 16-20 at the age of 5. Also, they considered an extension in the number of classes is required to improve the ratio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r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s, most of the teachers agreed that the certification should be earned through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assing a national examination after graduation. They also considered that graduating a four-year-course college is appropriate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s, most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country does not have an appropriate working environment and welfare system for teachers and thus an improvement is required. They argued that they do not have an enough time to prepare for classes, without assuring basic working hours, due to the work overload. To solve this issue, the teachers perceive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 specific legal statement and the government's management and supervision. On the fifth element, the school system,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recognition and status of kindergarten as a school are not respected widely. Third, most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believed that the first thing to do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public education is to satisfy the principle of public responsibility. They considered that the task of realizing universal education(the equal education opportunity and a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public kindergarten etc.) should be solved first to progress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public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