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94 Download: 0

Korean and Swedish teachers' attitude towards risk and permissiveness of risky play

Title
Korean and Swedish teachers' attitude towards risk and permissiveness of risky play
Other Titles
교사의 위험에 대한 인식과 위험 부담 놀이에 대한 허용도: 한국 및 스웨덴을 중심으로
Authors
Valuga, Carmen Corina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Korean and Swedish teachers perceive risk, how permissive they are towards risky play in the classroom, and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Korean and Swedish teachers’ attitudes towards risk and their degrees of permissiveness towards risky play.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o the Korean teachers perceive risks and how permissive are they towards risky play? 2. How do the Swedish teachers perceive risks and how permissive are they towards risky play? 3.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Swedish teachers’ attitudes towards risk and their degrees of permissiveness towards risky pla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11 teachers of 3, 4, and 5-year-old children in total, 107 Korean teachers from Seoul, and 104 Swedish teachers from Säffle, Åmål and Grums. To identify the teachers’ attitude towards risk and permissiveness of risky play, a questionnaire comprised of two parts was used. The first part is based on the Attitude towards risk questionnaire, first devised by Franken, Gibson, and Rowland (1992), translated and modified by Park and Ohm (2014), and it focuses on the teachers’ attitude towards risks in their daily life. The second part is based on the Playground Behavior Scale, first devised by Henle (2003), translated and modified by Park and Ohm (2014), and it focuses on the extent to which the teacher would allow certain types of risky play in the classroom. For data analysis, mean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and t-tests were performed in order to find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teachers seem to have a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risk, along with a less permissive approach towards risky play in the classroom. They are less inclined to take risks in their daily life or engage in activities that pose a risk for physical injury, and, subsequently, they are more likely to also restrict the children from engaging in risky play. Moreover, their attitudes towards risk and permissiveness of risky play are interrelated, therefore a teacher with a better outlook on risk is likely to be more permissive towards risky play in the classroom. Second, the Swedish teachers have an unexpectedly negative attitude towards risk-taking in their daily life, but a very permissive approach towards risky play. In spite of their own beliefs about risk, Swedish teachers are more likely to overcome them in favor of providing the children with physically challenging activities and allow them to engage in risky play in the classroom. Also, their attitude towards risk and permissiveness of risky play is also related, therefore a teacher with a more positive belief about risk-taking is likely to be more tolerant towards children engaging in risky play in the classroom. Lastly, from all the points of view investigated – such as experience, education, or age group taught – Korean and Swedish teachers show no difference in their beliefs about risk in their daily life. Despite such similar beliefs, Swedish teachers appear to be more permissive towards risky play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s. Therefore, regardless of such factors as the ones aforementioned, culture has a much greater influence on the teachers’ beliefs about risk-taking and, subsequently, on their degree of permissiveness towards risky play. ;본 연구는 한국 및 스웨덴 교사의 위험 부담 놀이에 대한 인식, 교육 현장에서 위험 부담 놀이를 어느 정도에 허용하는지를 알아보고 한국 및 스웨덴 교사들의 인식 및 허용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 교사의 위험에 대한 인식이 어떠하고 교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위험 부담 놀이를 허용하는가? 2. 스웨덴 교사의 위험에 대한 인식이 어떠하고 교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위험 부담 놀이를 허용하는가? 3. 한국 및 스웨덴 교사들의 위험에 대한 인식 및 위험 부담 놀이에 대한 허용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한국 (서울) 및 스웨덴 (세플레, 어몰, 그룸스)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근무하시는 만 3-5세 교사, 한국 교사 107명 및 스웨덴 교사 104명, 총 2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교사의 일상 생활 속의 위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Franken, Gibson과 Rowland (1992)가 개발한 Attitude Towards Risk Questionnaire (위험에 대한 태도 설문지)를 박신영, 엄정애(2013)가 번안 및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의 허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Henle (2003)가 개발한 Playground Behavior Scale (놀이터 행동 척도)를 박신영, 엄정애(2013)기 번안 및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집단 별 평균 및 평균 편차를 산출하였고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t검정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교사의 위험에 대한 인식은 낮으며 신체적인 위험을 포함한 행동 또는 활동을 피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교사의 교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위험 부담 놀이에 대한 허용도가 낮으며 유아의 놀이가 신체적인 위험이 있으면 중단시키거나 금지할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한국 교사의 위험에 대한 인식 및 위험 부담 놀이에 대한 허용도가 상관이 있어 교사의 위험에 대한 인식이 높을 수록 위험 부담 놀이에 대한 허용성도 높을 것이다. 둘째, 스웨덴 교사의 위험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났으며 위험 감수 행동을 좋아하지 않고 신체적 위험이 있는 활동을 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스웨덴 교사의 위험 부담 놀이에 대한 허용도는 훨씬 높았으며 교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유아 놀이 속의 위험 감수 행동을 중단시키지 않거나 위험 감수형 놀이에 참여할 기회를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웨덴 교사는 자신의 위험에 대한 인식을 넘어서 위험 부담 놀이가 효과적이기 때문에 허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웨덴 교사의 위험에 대한 인식 및 위험 부담 놀이에 대한 허용도가 상관이 있기 때문에 위험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 수록 위험 부담 놀이를 허용성도 높다. 셋째, 교사의 학력, 경력, 담당 연령에 따라 한국 및 스웨덴 교사는 위험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없지만 허용성은 차이가 있다. 위험에 대한 인식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스웨덴 교사는 한국 교사 대비 허용도가 훨씬 높았다. 따라서 학력, 경력, 담당 연력 보다 문화는 위험에 대한 인식 및 위험 부담 놀이에 대한 허용성에 더 큰 영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