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4 Download: 0

한국어 초급 말하기 교재의 시각적 요소 분석

Title
한국어 초급 말하기 교재의 시각적 요소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Visual Elements in Korean Speaking Textbooks for Beginners: Focused on Illustration, Typography, and Layout
Authors
백수미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초급 말하기 교재의 시각적 요소 분석을 통해 초급 말하기 교재의 특징과 개선점을 알아보는 데 있다. 말하기는 의사소통이 목적인 한국어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이며 학습자들의 학습 욕구도 매우 높다. 말하기 교육을 할 때 그림이나 사진 같은 다양한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면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는 물론 장기 기억에도 도움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초급 말하기 교재에서 시각적 요소들이 학습 내용의 이해를 돕고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자료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그동안 주를 이뤄 온 삽화 중심에서 벗어나 타이포그래피와 레이아웃까지 포함하여 한국어 초급 말하기 교재의 시각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I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교재의 시각적 요소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를 검토한 결과, 삽화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 분석과 기호학적 관점에 따른 시각 디자인 중심의 분석이 주를 이루었다. 그리고 통합 교재를 대상으로 언어의 네 영역을 광범위하게 분석하고 있어서 언어의 각 영역에 대한 집중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II장에서는 기존의 여러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외국어 교재에서 시각적 요소의 개념과 범위, 표현 양식, 기능,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의사소통 중심의 말하기 교재에서 시각적 요소들을 어떻게 배치하고 설계해야 하는지, 한국어 교육에서 말하기 교재와 시각적 요소의 기능은 무엇인지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어 초급 말하기 교재의 시각적 요소 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III장에서는 한국어 초급 말하기 교재의 시각적 요소의 분석 대상과 분석 기준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분석 대상은 최근 5년 이내에 출간된 한국어 초급 말하기 교재 중에서 기능과 난이도를 명확하게 제시한 총 3종 6권으로 하였다. 그리고 분석 기준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나누었다. 형식적 측면에 따른 분석은 삽화의 형태, 표현 양식, 기능의 사용 빈도와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의 사용 양상을 기준으로 삼았고, 내용적 측면에 따른 분석은 의사소통 중심 말하기 교재에서 시각적 요소의 역할 등을 학습 내용과 연결하여 분석 기준을 세웠다. IV장에서는 한국어 초급 말하기 교재의 시각적 요소를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적 요소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본 후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삽화는 초급 말하기 교재에서 교육의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표현 기능과 장식 기능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하지만 호기심과 흥미를 끌 만한 삽화가 많지 않았고 의미가 모호하거나 대화 주제 등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삽화도 다수 있었다. 타이포그래피와 레이아웃도 주목성 측면에서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새로운 접근과 시도가 필요해 보였다. 이에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생생한 현실성과 화제성이 있고 지적 호기심도 자극할 수 있는 삽화를 사용해야 한다. 둘째, 학습 내용의 명확하고 명료한 전달을 위해 핵심 내용만을 간결하게 삽화에 담아야 하며 삽화의 크기도 적절하게 유지해야 한다. 셋째, 삽화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상상력을 자극하고 추론을 유도하는 말하기 도구로 활용되어야 한다. 넷째, 타이포그래피와 레이아웃에는 가독성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변화와 강조를 통해 리듬감과 생명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이상의 연구는 한국어 초급 말하기 교재의 시각적 요소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초급 말하기 교재의 시각적 요소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는 향후 말하기 교재 개발 과정에서 고려할 점이 무엇인지를 알려 주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시각적 요소의 급별 차이나 언어 영역별 특징 등을 밝히는 후속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s in Korean speaking textbooks for beginners through an analysis of visual elements in the teaching materials of the Korean language. Speaking is the most important area in learning Korean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and is also the most important aspect when the learner is very eager to learn the language. Various visual elements, such as pictures and photographs, in speaking textbooks can be helpful for long-term memory and understanding the content. In this study, the visual elements in Korean speaking textbooks for beginners are examined to see if they are composed of materials that help learners understand what they are learning and have an interest in them. In addition, visual elements like typography and layout are analyzed, apart from illustration which is mainly used in the said textbooks. In Chapter I,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is clarified, and previous researches on the visual elements of textbooks are examined. As a result of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the analysis on the function of the illustr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visual design based on the semiotic perspective are of main importance. The four areas of language for integrated textbooks are extensively analyzed and the need for an intensive and in-depth study of each area of language is raised. In Chapter II, the concept, scope, expression style, function, typography, and layout of visual elements in foreign language textbooks are discussed based on various existing discussions. Arranging and designing visual elements in communication-oriented speaking materials, and the functions of speaking materials and visual elem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also analyzed. This provides the theoretical basis for analyzing the visual elements in Korean speaking textbooks for beginners. In Chapter III, the subjects for the analysis of visual elements in Korean speaking textbooks for beginners and the criteria for analysis are described in detail.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 of a total of 3 types of six Korean speaking textbooks for beginners that clearly state its function and difficulty level, and published within the last five years. The analysis criteria are then divided into formal and contextual aspects based on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analysis based on the formal aspect is based on frequency of use of types, expression styles, and functions of illustration, and usage patterns of typography and layout. The analysis based on the contextual aspect is established by linking the roles of visual elements in communication-oriented speaking materials with the learning content. In Chapter IV, the visual elements in Korean speaking textbooks for beginners a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formal and contextual asp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visual elements are discussed and improvement measures are proposed. Illustrations are used as a useful tool for education in speaking materials for beginners and have the highest proportion of expressive and decorative features. However, there were not many illustrations that could attract curiosity and interest, and some were vague in meaning or failed to properly express the topic of conversation. In terms of typography and layout, new approaches and attempts seem necessary because they did not perform well in terms of attention. Therefore, the following approaches should be done. First, illustrations with vivid reality and topics should be used to stimulate the curiosity and interest of learners. Second, only the core contents should be concise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the artwork should be maintained appropriately for clarity of the contents. Third, illustrations should be used as speech tools to stimulate imagination and induce reasoning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Fourth, in typography and layout, rhythm and vitality should be infused through change and emphasis on the lin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readability.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visual elements in Korean speaking textbooks for beginners. It is necessary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visual elements in Korean speaking textbooks for beginners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Korean learner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show what points to consider in the development of speech materials in the future.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for a follow-up study which reveals the grade differences in visual ele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areas of visual ele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