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이현진-
dc.creator이현진-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03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03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6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67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998-
dc.description.abstract또래괴롭힘은 괴롭힘을 겪은 학생들에게 트라우마 경험 뿐 아니라 낮은 자아존중감 형성, 사회적 불안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국내외 학교현장에서 극복해야 할 중요한 문제로 연구되었다. 또래괴롭힘을 해결하기 위한 초기 연구들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특성과 영향요인에만 초점을 두었으나 점차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가해자, 피해자 뿐만 아니라 주변 또래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시되었다(Salmivalli, 1996). 이에 따라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bystander)의 행동에 따라 또래괴롭힘이 중단될수도 있으며 심화될 수도 있다는 점이 여러 연구를 통해 증명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변인을 연구의 주요변인으로 설정하고 주변인 역할을 Salmivalli의 분류체계에 따라 주변인을 동조자(assistant), 방관자(outsider), 방어자(defender)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 개인의 심리적 변인, 상황적 변인과 관련한 다양한 요인들이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고 또래괴롭힘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Seligman(2002)은 인간이 행복하고 의미 있는 충만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부정적 심리 상태가 아니라 긍정적 정서에 대하여 연구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이 청소년의 행복과 발달 측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격강점과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학생들의 성격강점 계발을 위해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개입하여 또래괴롭힘 상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의미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지닐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성격강점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과 성격강점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으로 지각된 학급규준을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동조자, 방관자, 방어자)에 따라 성격강점(인간애, 정의, 용기)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둘째, 성격강점이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 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급규준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 소재의 5개 중학교에 재학중인 1,2,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일원분산분석(ANOVA), 경로분석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괴롭힘 주변인(동조자, 방관자, 방어자) 역할에 따라 성격강점(인간애, 정의, 용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동조자와 방관자는 인간애와 정의에서 방어자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동조자는 용기에서 방관자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방어자는 인간애, 정의, 용기 모두에서 제일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인간애, 정의, 용기는 유의미하게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 행동을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정의에서 지각된 학급규준으로의 경로와 지각된 학급규준에서 동조자, 방관자, 방어라도 가는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의와 방관자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급규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에 따라 성격강점에 차이가 존재하며 성격강점 중 정의와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급규준이 관계를 매개하거나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성격강점을 계발하도록 돕는 것이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학생들이 동조자나 방관자 대신 방어자의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의미있는 개입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Bullying has been studied as an important issue to overcome in the field of domestic and foreign schools because it can cause various problems such as a trauma experience, a low self-esteem and social unrest. Early studies to address bullying focused only on the offender, the victim's characteristics and factors. But gradually, the claim was presented that in bullying situations, the role of the bystander is also important (Salmivalli, 1996). As a result,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bullying could be disrupted or intensified depending on bystander’s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sets the bystander as the main variable and divided the role of bystander into assistant, outsider and defender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Salmivalli. In leading research related to the role of bullying, It has been confirmed that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factors and situational variables react upon each other, as well as influencing the role of bullying around them. For this reason, the study of the interaction of these various factors is necessa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herent role of bullying and to derive measures to overcome bullying. On the other hand, Seligman (2002) argued that in order to live a happy, meaningful and fulfilling life, human beings should study positive emotions, not negative psychological conditions. In this way,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strengths and the role of bullying,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happiness and development aspects of youth, has meaningful educational implication that teachers can intervene with students to develop strengths and reduce their bullying situ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set the strengths as a factor influencing the role of bullying and set the perceived group norms as an environmental factor that could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of bullying and the strength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earch issu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bystander(assistant, outsider, defender) h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character strengths (humanity, justice, courage). Second, the study identified the perceived group norms have a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the role of bystander’s. To identify research issues, 1st, 2nd and 3rd year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ing survey in 5 middle schools in Seoul.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OVA and path analysis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racter strengths(humanity, justice, courage) by bystander roles(assistant, outsider, defender). Assistant and outsider showed a lower level than defenders in humanity and justice, but assistant looked higher than outsider in courage. And the defender showed the highest level in both humanity, justice, and courage. Secondly, the humanity, justice, and courage have been identified to explain the bystander’s behaviors. The path to the perceived group norms from justice and the path to assistant, outsider, defender from justic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and outsider, the perceived group norms has been identified as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character strengths by the role of bullying, and the perceived group norms has partial mediation effect or indirec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and bystander roles. Therefore, this study gives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helping develop character strengths for students in school can be the meaningful interven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7 Ⅱ. 이론적 배경 9 A. 또래괴롭힘 주변인 9 1. 또래괴롭힘의 개념 9 2. 또래괴롭힘 주변인의 역할 유형 및 특징 10 B. 성격강점 13 1. 성격강점의 개념 13 2. 성격강점의 분류 체계 14 3. 성격강점과 또래괴롭힘 주변인의 역할의 관계 17 C. 지각된 학급규준 18 1. 지각된 학급규준의 개념 18 2. 지각된 학급규준과 또래괴롭힘 주변인의 역할의 관계 20 3. 지각된 학급규준과 성격강점과의 관계 21 Ⅲ. 연구방법 23 A. 연구대상 23 B. 연구도구 23 1.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 척도(PRQ) 23 2. 청소년용 성격강점 검사(CST-A) 24 3. 지각된 학급규준 25 C. 연구절차 25 D. 자료 분석 26 Ⅳ. 연구결과 27 A.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27 1. 측정변인의 기술통계분석 27 2. 측정변인 간의 상관분석 28 B. 주변인 역할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검증 29 C. 주변인 역할에 따른 지각된 학급규준의 매개효과 29 1. 동조자 집단의 경로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 30 2. 방관자 집단의 경로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 32 3. 방어자 집단의 경로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 35 V. 논의 및 결론 38 A. 연구 결과의 요약 및 논의 38 1. 주변인 역할에 따른 성격강점의 차이 39 2. 성격강점과 동조자와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급규준의 매개효과 40 3. 성격강점과 방관자와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급규준의 매개효과 41 4. 성격강점과 방어자와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급규준의 매개효과 44 B. 연구의 의의 45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7 참고문헌 48 부록(설문지) 53 ABSTRACT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36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과 성격강점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급규준의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