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태섭-
dc.contributor.author송온유-
dc.creator송온유-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02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02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5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57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991-
dc.description.abstract혁신학교란 인간적 삶과 생태, 사회공동체적 가치를 실현하고, 개성과 지식 및 실천이 통합되는 교육을 지향하는 학교라고 정의할 수 있다. 혁신학교는 2009년 주민직선에 의한 경기도교육감의 선출과 함께 등장하였고 이는 한국 교육사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 즉, 우리나라 공교육 개혁의 새로운 관점과 학교혁신의 모델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꾸준히 그 양적 확산과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도 혁신학교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혁신학교의 성과에 대한 엄밀한 검증과 연구와 다양한 고찰과 입증이 필요함에 따라 혁신학교의 인지적 영역의 성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의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비혁신학교와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에서 혁신학교와 비혁신학교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습자 중심 수업,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혁신학교 여부에 따라 학습자 중심 수업,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경기교육종단연구(GEPS) 2013」의 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고등학교 2학년 대상자 4,242명 중 학습자 중심 수업, 학업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결측값이 없는 311명을 제외한 3,93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혁신학교와 비혁신학교 간 학습자 중심 수업,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또한 혁신학교 여부에 따른 학습자 중심 수업,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교과목의 평균 비교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혁신학교 여부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습자 중심 수업 지각 수준은 모든 교과목에서 혁신학교가 비혁신학교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업성취도는 비혁신학교가 혁신학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혁신학교의 변수 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가구소득은 영어와 수학 학습자 중심 수업,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국어 학습자 중심 수업은 국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영어와 수학 교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비혁신학교 변인 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가구소득은 국어 학습자 중심 수업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세 교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국어 학습자 중심 수업을 제외하고 영어와 수학 교과에서는 학습자 중심 수업과 학업성취도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어, 영어, 수학 세 교과 모두 가구소득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혁신학교 여부와 학습자 중심 수업은 학업성취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즉 소득이 높을수록, 비혁신학교가 혁신학교 보다 학습자 중심 수업 수준이 낮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교과의 학업성취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 되었다. 상호작용 변인 확인 결과, 국어 교과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혁신학교 여부 간 상호작용 변인은 유의하지 않은 반면, 학습자 중심 수업과 혁신학교 간 상호작용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학습자 중심 수업이 국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이 혁신학교인 경우 상대적으로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영어 교과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혁신학교 여부 상호작용 변인이 부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학습자 중심 수업과 혁신학교 간 상호작용 변인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영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혁신학교인 경우 낮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학 교과에서는 학습자 중심 수업과 혁신학교 여부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혁신학교 간 상호작용 변인이 부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은 혁신학교인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국어, 영어, 수학 교과 모두 혁신학교 여부와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 결과는 고등학생에 대한 연구로서 학습자들이 입시에 대한 부담이 가중된 상태임을 배제할 수 없기에 당연한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혁신학교의 학습자 중심 수업이 추구하는 교육의 강조점과 비혁신학교의 강조점이 다르기에, 또한 학년의 급이 올라갈수록 세 교과 모두 교과내용과 과제의 난이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학생들의 부담감과 불안이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혁신학교일수록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낮다는 결과를 볼 때, 혁신학교의 민주적인 분위기와 공동체를 강조하는 학생 중심 수업의 분위기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혁신학교 성과와 관련된 연구로 학습자의 교육적 성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미흡한 가운데 학습자를 중심으로 연구를 했다. 특히 혁신학교 여부에 따른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혁신학교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를 이해할 수 있는 통계적 결과를 정교한 표집 방법을 사용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일반화 가능성을 높였다. 더 나아가 국어, 영어, 수학 교과별 학업성취도에 대해 혁신학교 여부, 지각된 학습자 중심 수업 수준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그 차이를 밝힘으로 인해 수업 방법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novation school can be defined as school to aim for realizing the human life and ecology, and social and communal values as well as for the education that the personality, knowledge and practice can be integrated. In the year 2009, the innovation school was implemented with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 Geyonggi Province by the direct election by residence, and it became a new turning point of Korean educational history. That is, it served as a momentum to suggest the model of new perspective and school innovation for the public educational reform in Korea, and the research on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effectiveness is still in progress up to dat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er-centered class of innovation school on the learning achievement mediated by academic self-efficacy and examine its difference from the non-innovation school. To conduct this research,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innovation school and non-innovation school in terms of learner-centered class,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And, this study was to check what the learner-centered class,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high schools affected the learning achievement.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whether it might appear in a different learning achievement by the learner-centered class and academic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innovation school. To achieve this,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ata by using the 2nd year data by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2013」 and the data for 3,931 students except for 311 students without missing values out of 4,242 high school students as research object for the learner-centered class,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To begin with,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in order to compare the levels of learner-centered class,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the innovation school and non-innovation school.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learner-centered class and academic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innovation school on the learning achievement.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er-centered class and learning achievement of all subjects. As a result of mean comparison,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innovation school.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learner-centered class of innovation school for all subjects was higher than that of non-innovation school, and that the learning achievement of innovation school was higher than that of innovation school.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of innovation school, this study has shown that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subject ha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er-centered class and academic self-efficacy. Lastly,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of non-innovation school, the English and mathematics subject except for Korean subjec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re wa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mong the learner-centered class and academic self-efficacy, learner-centered class and learning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Thir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family income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three subjects like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had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achievement, but the existence of innovation school and learner-centered class had negative effect on the learning achievement.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he higher the income, the lower the level of learner-centered class in the non-innovation school than in the innovation school, and the higher the academic self-efficacy was, the higher the learning achievement of subjects wa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interaction-related variables, in case of the Korean subjec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related variables betwee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existence of innovation school. In contras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centered class and innovation school was positively significant. That is, when the learner-centered class had negative effect on the Korean learning achievement, it could be judged as relatively low in case of innovation school. In case of English subjec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interaction-related variables betwee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existence of innovation school were negatively significant. In contras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centered class and innovation school-related variables was positively significant. When the academic self-efficacy had positive effect on the English learning achievement, it could be judged as relatively low in case of innovation school. Lastly, in case of mathematics subjec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er-centered class and existence of innovation school. In contras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interaction-related variables betwee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innovation school were negatively significant. That is, when the academic self-efficacy had positive effect on th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 it could be judged as relatively low in case of innovation school. When all the studies were combined, for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subject, the existence of innovation school and learner-centered class had negative effect. Such results about the research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uld not been excluded that the learners grew heavier in the burden on the entrance exams, so it could be judged as a necessary result. It differed from the emphasis on the education pursued by the learner-centered class in case of innovation school and the emphasis it in case of non-innovation school. The higher the class of the grade, and the higher the contents of class and difficulty level of subject for all three subjects were, the higher the students’ burden and anxiety were. Taking a look at the research findings above, in case of innovation school, the learner-centered class was negatively low effect on the learning achievement. To conclude,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atmosphere in the student-centered class which has emphasized the democratic atmosphere and community in the innovation school could be positively applied to th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t centered on the learners in the midst of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educational outcomes for the learners as research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innovation school. In particular,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the innovation school.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istical results and rais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by utilizing the data in which the delicat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underst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innovation school. And furthermore, this implies that the instructional method can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by force of reveal differences as well as by analysis on the learning achievement by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subject, depending on innovation school, and the level of perceived learner-centered class and moderating effect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8 Ⅱ. 이론적 배경 9 A. 혁신학교 9 1. 혁신학교의 개념 9 2. 혁신학교의 핵심 운영원리 10 3. 혁신학교의 선정 기준 12 4. 혁신학교의 효과성에 대한 선행연구 13 B. 학습자 중심 수업 16 1. 학습자 중심 수업의 개념 16 2. 학습자 중심 수업의 유형 18 3. 교수자 중심 수업과 학습자 중심 수업 19 C. 자기효능감 21 1. 자기효능감의 개념 21 2.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개념 21 3.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23 D. 학업성취도 25 1. 학업성취도의 개념 25 2. 학업성취도의 영향 변인 26 E. 학습자 중심 수업,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29 1. 학습자 중심 수업과 자기효능감 29 2. 학습자 중심 수업과 학업성취도 31 3.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33 Ⅲ. 연구방법 35 A. 연구대상 35 B. 측정도구 36 1. 월평균 가구소득 36 2. 혁신학교 여부 37 3. 지각된 학습자 중심 수업 수준 척도 37 4.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38 5. 학업성취도 척도 39 C. 분석방법 41 Ⅳ. 연구결과 42 A. 기술통계 42 B. 혁신학교와 비혁신학교 비교 43 C. 혁신학교와 비혁신학교의 변수 간 상관관계 44 D. 혁신학교 여부에 따른 학습자 중심 수업,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47 1. 국어 교과 50 2. 영어 교과 53 3. 수학 교과 56 Ⅴ. 결론 및 논의 59 A. 요약 및 논의 59 B. 시사점 및 제한점 68 참고문헌 71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16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혁신학교의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비혁신학교 학생과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ffect of Learner-Centered Class of Innovation School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by Academic Self-Efficacy : Focused on Comparison with Students in Non-Innovation School-
dc.creator.othernameSong, On You-
dc.format.pagevi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