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9 Download: 0

지각된 부모양육방식이 생애목표를 매개로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지각된 부모양육방식이 생애목표를 매개로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yle and self-regulated learning mediated by life goals
Authors
길문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태섭
Abstract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과정에서 초인지적·인지적·동기적·행동적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는 자기조절학습은 최근 10년 사이 우리나라 교육계의 중요한 화두였고, 4차 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지게 되었다. 이에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관련된 다양한 인지적·사회적·심리적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자기조절학습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 중 하나로 생애목표를 들 수 있는데, 생애목표란 인간이 생애동안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말한다. 생애목표는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재의 하위목표들에 대한 동기와 지속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청소년기에 생애목표와 자기조절학습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청소년의 학업적 성장이 중요한 발달과업 중 하나라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질 것이라 사료된다. 생애목표는 연구자마다 다르게 분류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성취지향목표와 삶지향목표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성취지향목표란, 타인과의 경쟁을 통해 획득되는 목표를 일컫는 말로, 명예, 부, 자기성장과 같은 개념을 포함한다. 반면 삶지향목표는 타인과의 경쟁이 아닌, 개인적인 삶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성취하게 되는 목표를 일컫는 말로, 가정의 화목, 대인관계 형성과 같은 개념을 포함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생애목표를 성취지향목표와 삶지향목표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생애목표와 함께 자기조절학습을 예측하는 또 다른 요인 중 하나로 가정환경 변인인 부모의 양육방식을 들 수 있다. 부모양육방식이란 부모 또는 양육자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일반적이고, 보편적으로 나타내는 내적, 외적 행동 및 태도를 일컫는다. 부모의 민주적 양육방식은 자녀의 학습에 대한 노력, 학업시간 관리, 학업성취, 학업적 효능감, 내재적 동기 등을 향상시키는 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부모의 비민주적 양육방식은 자녀의 낮은 학업성취 수준과 학교 부적응, 낮은 학업 노력 등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생애목표,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체적인 관계를 알아보고, 청소년의 생애목표가 부모의 양육방식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에서 실시하여 제공하고 있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의 초등학교 1학년 패널 자료 중, 총 1,957명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중학교 1학년 시기인 제7차년도(2016년) 자료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연구를 위해 SPSS 18.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지각된 부모양육방식과 생애목표,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다음, 각각의 변인들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문항꾸러미를 제작하였다. 설정한 연구문제와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제작한 문항꾸러미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지각된 부모양육방식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계에서 생애목표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민주적 부모양육방식과 비민주적 부모양육방식은 생애목표의 하위요인인 성취지향목표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영향을 주는 물질 만능주의적 사회 분위기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민주적 부모양육방식은 삶지향목표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비민주적 부모양육방식은 삶지향목표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양육방식에 따라 내재적 생애목표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생애목표의 하위요인인 성취지향목표는 자기조절학습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와 다른 양상을 보인 본 연구의 결과는 부와 명예를 추구하는 성취지향 생애목표가 청소년들에게 유인가로 작용함으로써 자기조절학습을 이끌어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생애목표의 하위요인인 삶지향목표 또한 자기조절학습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내재적 생애목표가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선행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셋째, 지각된 민주적 부모양육방식은 자기조절학습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각된 비민주적 부모양육방식에서 자기조절학습으로 가는 직접적인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 개개인의 노력과 함께 자녀에 대한 부모양육방식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취지향목표와 삶지향목표는 지각된 민주적 부모양육방식과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각된 민주적 부모양육방식은 성취지향목표와 삶지향목표를 매개로 자기조절학습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성취지향목표와 삶지향목표는 비민주적 부모양육방식과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민주적 부모양육방식은 성취지향목표를 매개했을 때 자기조절학습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비민주적 부모양육방식이 삶지향목표를 매개했을 때에는 자기조절학습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생애목표가 부모양육방식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계에서 가지는 중요한 역할을 증명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부모양육방식과 생애목표, 자기조절학습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양육방식과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생애목표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청소년들이 추구하는 생애목표와 자기조절학습의 특성을 이해하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생애목표와 관련된 교사와 상담자의 개입과 함께, 생애목표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을 증진시키기 위한 학생 개개인의 노력과 자녀에 대한 부모의 민주적인 양육방식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Self-regulated learning has been an important topic of discussion in Korea's educational system for the last 10 years, and its importance has grown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e of the important variables for predicting self-regulated learning is life goals, which are the goals that one desires to achieve throughout one's lifetime. In that, studying the relation of life goals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adolescence will have important implications. Another factor in predicting self-regulated learning along with life goals is parenting style. Parenting style refers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behaviors and attitudes that parents or caregivers generally represent in raising their children. Democratic parenting style has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performa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internal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non-democratic parenting style predicted low academic level and school maladjust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cific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yle, life goal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figure out whether the life goals of adolescents have mediating effects on parenting style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eventh-year(2016) panel survey data among 1,957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 as part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was analysed.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ing style, life goal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each of the variables to produce item parcel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item parcels for the research model verification. Next, Sobel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goals in relation to perceived parenting style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democratic parenting style and perceived non -democratic parenting style positively influenced achievement-oriented goal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materialistic social atmosphere could affect Korean adolescents to pursue achievement-oriented life goals. In addition, perceived democratic parenting style positively influenced life-oriented goals, while non-democratic parenting style negatively influenced life-oriented goals.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which suggest that the pattern of intrinsic life goals may vary depending on the parenting styles. Second, achievement-oriented life goals positively influenced self-regulated learning. The results, which showed some different aspects from the previous studies, imply that the achievement-oriented life goal of seeking wealth and honor can lead to self-regulated learning with ascribing high valence to goals. Meanwhile, life-oriented goals also positively influenced self-regulated learning. This result supports the previous studies that intrinsic life goals have a positive impact on self-regulated learning. Third, perceived democratic parenting style positively influenced self-regulated learning, while the direct path from perceived non-democratic parenting style to self-regulated learning was not significant. This finding suggests the importance of parenting to children along with individual efforts of students to improve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Finally, achievement-oriented goals and life-oriented goal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democratic parenting style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addition, achievement-oriented goals and life-oriented goals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non-democratic parenting style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is suggests the important role of life goals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yle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s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yle, life goals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addition, it provides basic understandings for the characteristics of life goals and self-regulated learning pursued by the Korean adolescents. Moreover,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and counselors intervene related to students’ life goals, and to emphasize the individual efforts of students and parenting for their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