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2 Download: 0

초등 고학년이 인식한 어머니 애착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

Title
초등 고학년이 인식한 어머니 애착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achment Perceived by 5th,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elational Aggress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Covert and Overt Narcissism
Authors
진수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 애착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 및 외현적 자기애의 간접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주요 변인들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주요 변인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설정된 연구모형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다음, 내현적 자기애 및 외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집단 분석을 통해 성별에 따른 경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를 제외하고 주요 변인들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모 애착과 외현적 자기애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지만, 관계적 공격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현적 자기애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모 애착 및 외현적 자기애에서 관계적 공격성으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주요 변인 간 경로가 유의미하였다. 모 애착에서 내현적 자기애 가는 경로는 부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내현적 자기애에서 관계적 공격성으로 가는 경로는 정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반면, 모 애착은 외현적 자기애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나, 외현적 자기애에서 관계적 공격성으로 가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어머니와의 안정 애착이 높을수록 자녀의 외현적 자기애가 높아지나, 높아진 외현적 자기애가 관계적 공격성에 직접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셋째, 모 애착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 및 외현적 자기애의 개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 애착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와의 불안정 애착으로 인해 높아진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관계적 공격성을 높이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반면, 외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자녀의 성별에 따른 구조적 관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적 공격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내현적 자기애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모 애착과 관계적 공격성에 이르는 경로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외현적 자기애의 개별 매개효과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자녀의 올바른 대인관계 형성을 위해 내현적 자기애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및 부모교육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covert and overt narcissism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d relational aggression among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N=423).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major variables except for covert narcissism. Girls’ maternal attachment and overt narcissism were higher than those of boys while boys’ relational aggression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In contrast,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covert narcissism.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s were found from maternal attachment to covert and overt narcissism. Specifically, the higher maternal attachment resulted in lower levels of covert narcissism and higher levels of overt narcissism. While the path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al aggression was positively significant, the path between overt narcissism and relational aggr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results indicated that covert narcissism fu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d relational aggression; overt narcissism did not mediate. According to the multi-group analysis, this mediated model was suitable both to boys and girls. However, the direct effect from covert narcissism to relational aggression was stronger among boys than girls. These results show that to reduce relational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help establish stable maternal attachment and lower covert narcissism. In order to prevent relational aggression of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 programs aimed at reducing covert narcissism and to educate parents whose children show a high level of relational agg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