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현정-
dc.contributor.author이가영-
dc.creator이가영-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01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0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1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18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98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계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제공하고, 이 프로그램이 진로 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 대상 선정,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구성, 사전검사, 프로그램 처치, 사후검사, 자료 분석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상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중 임의표집에 따라 실험 집단 1학급(11명과 통제집단 1학급(11명을 선정하여 총 2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실험집단에게는 2개월 간 주 1~2회, 총 12 회기의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전환기 진로지도 프로그램-J〉을 바탕으로 교육심리 전공 교수의 자문과 지도를 받아 학생들의 관심과 수준을 고려하여 내용을 선정, 재구성하여 구성하였다. 측정 도구인 진로성숙도 검사는 진로 능력, 진로 태도, 진로 행동 등 세 개의 하위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진로성숙도 검사를 모든 연구 대상에게 사전, 사후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두 집단 간 사전 점수의 차이를 통제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지도 프로그램〉 이 학생들의 진로성숙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 태도 총점과 그 하위 영역 중 ‘계획성’ 영역에서 프로그램 전과 후 검사의 평균점수 상승은 확인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둘째,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성숙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 능력 총점과 하위 영역 중 ‘희망 직업에 대한 직업 지식’, ‘정보탐색’ 영역에서 실험 집단의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 검사에 비해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내지 못하였다. 셋째,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성숙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영역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전과 후 검사의 평균점수가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및 상담 실제를 위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 선정 시 무선 표집이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를 지닌다. 후속 연구에서는 1학년 신입생 전체를 모집단으로 하여 무선 표집으로 선정된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성숙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이 실시된 기간 동안 통제 집단에 대한 프로그램의 간접 효과를 완벽하게 통제하지 못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기간 중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통제 집단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의 종속 변수와 관련하여 통제 집단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이 한정된 기간 중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회기수가 부족하여 효과를 검증하기에 부족하였다. 이는 2개월의 짧은 시간동안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우며 고등학교 입학 후 1학년 재학 기간 중 장기간에 걸쳐 꾸준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조금 더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전문 교과 수업과정 중 지속적인 활동이 요구되며 이에 어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provide career guidance programs to first-year students of commerci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to verify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career maturity. To identify research problem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of selection of subjects, composition of experiment groups and control groups, pre-examination, program treatment, post-examination, and data analysis. The researchers selected one class(11) of a experimental group and one class(11) of a control group in the 1st grade of a specialized high school in Seoul, and 22 students were studied.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career guidance program once or twice a week for two months ; a total of 12 times. The career guidance program was selected and reorganized with the education psychology professor based on the 〈Transitional Career Guidance Program-J〉of the Korea Education Ministry and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measurement tool, Career Maturity Test, consists of three sub-categories : career capability, career attitude, and career behavior. Pre and post-examination was conducted to all subjects of the study. The co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fter controlling the difference in prior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turns out that 〈Career Guidance program〉 doesn't really affect the students' attitude. The elevation of the average score of post-program examinations were confirmed in the total score of career maturity attitudes and sub-categories, but did not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career guidance program does’t affect students' career maturity ability. In the total score and sub-categories, 'Professional Knowledge of Hope Jobs' and 'Information Search', of career maturity, the experimental group's post-examination score rose compared to the pre-examination, but did not mak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t turns out that the career guidance program does’t significantly affect students' career mature behavior. As with the preceding sub-categories, the average score of post-program examinations increased, but did’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consultation practice. First, the generalization of the study results is limited by the fact that random sampling is not conducted in the selection of the study subjects. Subsequent studies require the development of a career improvement program for students selected by random sampling, with the entire students of 1st grade. Next, the indirect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n the control group were not fully controlled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program was conducted. During the program's implementation,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may have affected the career maturity of the control group. Consequently, subsequent studies need to consider and apply measures to effectively control the control group for dependent variables in the study. Finally, due to the limited duration of the program and the lack of implementation, It was not enough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ect significant changes in students' career maturity in a short period of two months,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some progress if there is a long, steady career guidance program during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Therefore, development of effective career guidance programs and continuous utilization of the curriculum are required, and Research is needed to find out what effects can be achiev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특성화고등학교 5 1. 설립목적과 교육과정의 특성 5 2. 특성화고 재학생 대상 진로교육 관련 선행연구 7 B. 진로성숙도 10 1. 진로성숙의 개념 및 하위요소 10 2. 진로성숙 향상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14 3.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숙 관련 선행연구 17 Ⅲ. 연구방법 20 A. 연구 대상 20 B.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21 1. 연구절차 21 2. 효과 검증방법 25 C. 연구 설계 28 D. 연구 도구 : 프로그램 구안 29 1. 구안 방향 28 2. 구안 과정 30 3. 최종 프로그램 37 Ⅳ. 연구 결과 39 A. 검사 시기에 따른 종속변인별 평균과 표준편차 39 B. 특성화고 신입생 진로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42 C. 집단원의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및 참여 소감문 46 Ⅴ. 결론 및 논의 50 A. 요약 및 의의 50 B. 논의 52 C.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54 참고문헌 56 부록 66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24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상업계 특성화고등학교 신입생을 위한 진로성숙도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rogram to enhance Career Maturity for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Specialized high school freshman-
dc.creator.othernameLee, Ga Young-
dc.format.pagevi,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