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혜욱-
dc.contributor.author송문영-
dc.creator송문영-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58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58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6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69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97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만 3세 유아들의 공감발달을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지원방안이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3세 유아의 공감발달을 위한 지원방안은 무엇인가? 2. 만 3세 유아의 공감발달을 위한 지원방안이 유아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공립 단설유치원인 자연유치원 만 3세 학급에서 실행하였고 연구대상은 만 3세 사랑반 유아 16명이다. 유아들의 부족한 공감발달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사랑반 유아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과 특정 유아에게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랑반 유아의 부족한 공감발달을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7월 13일부터 2018년 11월 30일까지이며, 유아 공감발달의 문제점 인식, 문제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및 평가,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및 평가, 1·2차 실행 방안 평가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관련 교육활동은 사랑반 담임교사인 연구자가 실행하였고 이를 녹화하고 전사하여 현장노트를 작성하였다. 또한 일일교육계획안, 반성적 저널, 유아 관찰 및 음성 녹음, 일화기록, 현장 약기, 활동 사진 등을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하였고, 분류된 범주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랑반 유아들의 부족한 공감발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1차 실행에서는 유아들의 공감발달을 위해 나와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기, 나의 감정을 표현하기, 나와 타인의 감정을 수용하기 활동으로 전개하였으며 동시에 교사의 상호작용 개선하기도 실행했다. 활동 방안은 사랑반 유아들이 일과 속에서 흥미를 갖는 활동유형을 토대로 하였다. 또한 공감의 구성요소에 기초한 유아 공감 세부 교육내용과 3세 누리과정 관련 교육목표를 통합하여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여 반영함으로써 유아들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유아들은 자신의 감정의 명료화, 의사소통능력, 친사회적 행동, 문제해결사고 등이 증진되며 공감발달과 관련된 능력이 함양되었다. 1차 실행 결과 타인과의 소통 지속하기, 공감발달에 어려움이 있는 개별유아 지원하기, 가정과의 연계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타인과의 소통 지속하기를 지원하기 위해 친구의 입장, 감정을 생각해 보고 공감적 표현하기, 공감을 위한 물리적·심리적 환경구성하기를 실행했다. 또한 공감능력에 어려움이 있는 개별유아를 지원하기 위해 일과 중 놀이짝 활동, 개별적 상호작용 지원을 실행했다. 더불어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부모-교사 간 공감 형성하기, 부모-유아 간 공감 형성하기를 지원했다. 둘째, 공감발달을 위한 지원방안이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유아들의 공감발달이 이루어졌다. 즉 공감적 소통의 시작, 친사회적 행동의 증가, 구성원 사이의 관계가 증진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감적 소통의 시작(예: 타인의 말을 경청하며 인식 반응 보이기, 자신 및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표현하기, 공통의 주제로 대화하기), 친사회적 행동(예: 칭찬하기, 도와주기, 놀잇감 나누기, 협동하기)의 증가, 구성원 사이의 관계(예: 유아-유아 간의 관계, 유아-교사 간의 관계)가 서로를 보완해 주는 돌봄의 관계로 증진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공감발달에 대한 필요성 및 실행연구를 통해 공감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지원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만 3세 유아들도 교육적 지원을 받는다면 공감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유아교육 현장에서 만 3세 유아의 공감발달을 위한 활동을 운영하는데 실질적이고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ways to support develop empathy for three years old infants and how the support plans affect the infa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What are some support systems to help develop the empathy of three years old infants? What influence does the system affect the infants of three years ol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class of three years old infants in a public kindergarten in Seoul, and a total of 16 infants in Sarang Class was the subject for this study.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problems of infants’ empathy development, the common problems shown in the overall students and particular problems shown in certain infant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were used as the foundation to search for the support system to help develop empathy for the infants in Sarang Class.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July 13, 2018, to November 30, 2018. During the perio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order: identification of problems in infants’ empathy; searching for solutions; the firs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second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mplementations. The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the teacher of the class while video recording and note-taking methods were implemented. In addition, daily teaching plan, reflective journal, observation, and audio recording, recording episodes, short note-taking on the site, and activity pictures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systematically. The materials were later analyzed according to the categorized doma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to resolve the problem of lack of empathy in infants, the activities such as recognizing the emotions of self and others, expressing emotions of self, and accepting the emotions of self and others were carried out in the first implementation. In this process, the communication of the teachers was sometimes revised. The activities were led by those that are interested in the infants in their daily kindergarten life. In addition, the detailed educational plan for infants based on the elements of the empathy was integrated with the Nuri Course educational goals to restructured and reflected in the process, so that the infants can participate autonomously and proactively. As a result, the infants’ clarification of the emotions, communication skills, social behaviors, and problem-solving skills were improved along with the skill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empathy. In the first implementation, some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supplementing the plan with encouraging communication with others, supporting individual infants having difficulties with the empathy development, and engaging with homes. In the second implementation, the result of the first implementation was reflected and activities like expressing empathy by thinking other classmates’ emotions and positions and creating a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for empathy development were carried out to encourage infants to communicate with others. In addition, to support infants having difficulties in developing empathy, pairing activities and individual communication support activities were carried out. Furthermore, activities to form the parent-teacher and parent-infant empathy were carried out to engage homes.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support system showed its effectiveness in developing children's empathy. In other words, there were more signs of empathetic communications, social behaviors increased, and the relationships among peers improved. For example, the more signs of empathetic communications (listening carefully and reacting to others, being aware of emotions of self and others and expressing them properly, and conversing under the same topic), the increased social behaviors (giving compliments, helping, sharing toys, and working together), and the improved relationships among peers (infant-infant and infant-teacher relationships) have reinforced each other to improve the quality.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proposed the necessity of the infants’ empathy development through practical research and its possible support system.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study suggested that three years old children can develop their empathy with educational support. I hope this study serves as a practical and basic foundation to help set up activities to develop empathy for three years old infants in the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자 배경 4 Ⅱ. 이론적 배경 6 A. 공감의 개념과 발달 6 B. 유아기 공감교육 15 Ⅲ. 연구방법 20 A. 실행연구 20 B. 연구대상 21 C. 연구절차 25 D. 자료수집 및 분석 33 Ⅳ. 연구결과 35 A. 만 3세 유아의 공감발달을 위한 지원방안 35 B. 만 3세 유아의 공감발달을 위한 지원방안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77 Ⅴ. 논의 및 결론 89 A. 논의 89 B. 결론 및 제언 95 참고문헌 97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38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만 3세 사랑반 유아들의 공감발달을 위한 실행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ction Research for the Empathy Development of Three Year Old Children of Sarang Class-
dc.creator.othernameSong, Mun-Young-
dc.format.pageiv,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