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0 Download: 0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만 4세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신체활동 즐거움 변화의 차이

Title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만 4세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신체활동 즐거움 변화의 차이
Other Titles
Difference of Changes in Everyday Stress and Physical Activity Enjoyment of 4-Year-Old Children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Authors
김보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신체활동 즐거움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유아가 경험하는 일상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신체활동 즐거움을 충분히 누릴 수 있도록 유아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만 4세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변화에 차이가 있는가? 2.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만 4세반 유아의 신체활동 즐거움 변화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만 4세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신체활동 즐거움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된 실험연구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K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만 4세반 유아 24명과 H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만 4세반 유아 24명으로 총 48명이었다. 이 중에서 K초등학교병설유치원을 실험집단, H초등학교병설유치원을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처치는 2018년 9월 3일부터 10월 26일까지 총 7주에 걸쳐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은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기존의 방식대로 일반적인 신체활동을 실시하였다.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은 전래놀이와 관련된 문헌들(김종만, 2007; 이상호, 2011)을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염현경(1998)이 개발한 ‘한국형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신체활동 즐거움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박순이(2001)가 개발한 ‘아동 신체활동 즐거움 검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의 참여 여부에 따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전체와 ‘자존심 상함’ 요인을 제외한 하위요인(비난 ‧ 공격적 상황에 접함, 불안 ‧ 좌절감 경험함)의 평균 변화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유아가 협동적 요소가 포함된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에 즐겁게 참여함으로써 비난 ‧ 공격적 상황에 접하는 것과 불안 ‧ 좌절감을 경험하는 것에 대한 일상적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을 의미한다. 즉,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의 참여 여부에 따라 유아의 신체활동 즐거움 전체와 ‘건강 유지’ 요인을 제외한 하위요인(자신감, 재미, 협동심)의 평균 변화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유아가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보다 유아주도적인 방법으로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에 반복 참여함으로써 자신감, 재미, 협동심이 증가된 것을 의미한다. 즉,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은 유아의 신체활동 즐거움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와 신체활동 즐거움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보다 정기적으로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을 실시함으로써 그 효과를 더할 수 있으며,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에게 실제적인 방법으로 연수를 제공함으로써 그 가치를 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changes in everyday stress and physical activity enjoyment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This study gives significance in providing kindergarten teachers methods that support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in order for young children to minimize everyday stress they experience and fully enjoy their physical activities. In this connection, study questions established are described below. 1. Doe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cause a difference in the change of everyday stress of 4-year-old children? 2. Doe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cause a difference in the change of physical activity enjoyment of 4-year-old children?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changes in everyday stress and physical activity enjoyment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A total of 48 children (twenty four 4-year-old children at a kindergarten attached to K elementary school and another twenty four 4-year–old children at a kindergarten attached to H elementary school, both of which are in Seo-gu, Incheon) participated in the study. Of them, children at a kindergarten attached to K elementary school and a kindergarten attached to H elementary school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manipulation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7 weeks, Sept. 3, 2018 to Oct. 26, 2018; the experimental group did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and the comparison group did physical activities commonly found in the conventional method.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were consisted by referring to references (Kim Jong-Man, 2007; Lee Sang-Ho, 2011) relating to the traditional play.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Youm Hyun-Kyung, 1998) was revised and used to measure everyday stress of young children, and “Enjoyment Scale for Children’s Physical Activity”(Park Soon-Yee, 2001) was revised and used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enjoyment of young children.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test.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described be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mean change of young children’s everyday stress and subfactors (Taking criticism and attacks; Experiencing anxiety and frustration), except the factor “pride-hurting”,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It means that young children’s joyful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including cooperative factor decreased their everyday stress toward criticism, attacks, anxiety, and frustration. In other words,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are effective in decreasing everyday stress of young childre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mean change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y enjoyment and subfactors (confidence, fun, cooperation), except the factor “health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It means that young children’s repeated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in the more child-initiated method with common goal led to an increase in the confidence, fun, and cooperation. In other words,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are effective in enhancing physical activity enjoyment of young children. In the conclusion,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have a positive effect on decreasing young children’s everyday stress and enhancing physical activity enjoyment. The results indicates that allowing young children to do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play on a regular basis rather than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helps to heighten the effect, and that its value would be added by providing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raining in a practical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