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8 Download: 0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양육경험과 양육행동, 언어통제유형 간의 관계

Title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양육경험과 양육행동, 언어통제유형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father’s family of origin, childhood experience, parenting behavior, and verbal control modes
Authors
서미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순환
Abstract
This study aims at seeing fathers’ parenting behavior in various aspects and helping them to practice desirable fathering by finding ou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health of father’s family of origin, childhood experience, parenting behavior, and language control type,. For this, I establish research issues as follows: 1. What is a general trend in the health of father’s family of origin, childhood experience, parenting behavior, and verbal control modes? 2. What are the relations between the health of father’s family of origin, childhood experience and parenting behavior? 2-1.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health of father’s family of origin and the childhood experience? 2-2.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childhood experience and the parenting behavior? 3. What are the relations between the health of father’s family of origin, childhood experience and verbal control modes? 3-1.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health of father’s family of origin and the verbal control modes? 3-2.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childhood experience and the verbal control mod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4 fathers of young children fully aged 3, 4 and 5 going to 3 kindergartens and workplace child–care centers located at Seoul. To find out the general health of father’s family of origin, I used the examination tools developed to fit the Korean sentiment by CHOI, HYUNMI (1997) on the basis of Family of Origin Scale (FOS) made by Hovestadt and his colleagues (1985) as a research tool. With respect to the study on father’s childhood experience of family of origin, I used JEON, HYUNJIN Scale (1997), who adapted and modified the Mother-Father-Peer Scale (MFPS) by Epstein (1983). To measure father’s parenting behavior, I used and modified the scale tools for fathers,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evaluation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by JO BOKHEE, LEE JINSUK, LEE HONGSUK and KWON HEEKYUNG (1999) based on the model presented by Baumrind (1971). And as a research tool for examining father’s verbal control modes, I used the examination tools of DO HYESUK(1997) based on the precedent study of Bernstein (1971) and Gumperz(1973) after complementing and amending them. After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I used them after deleting the free description items. I performed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Cronbach's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I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viewing a general trend of childhood experience of the family of origin, parenting behavior, and verbal control modes, the health of father’s family of origin was revealed higher than average. Father’s childhood experiences showed higher than average. In the sub–factors of them, acceptance versus rejection showed higher than independence promotion versus overprotection. In the father’s parenting behaviors, benevolent parenting behavior showed higher than controlled parenting behavior. In the father’s verbal control modes, there are in the order of status, personality and then commend verbal control modes. Second, it showed that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health of father’s family of origin and current father’s benevolent parenting behavior. In addition to that, it showed correlations between father’s childhood experience and the benevolent parenting behavior. When look deep into the sub-factors, the sense of closeness that the father experienced in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had a correlation with the benevolent parenting behavior. Both independence promotion and accepting parenting attitude, which are sub-factors of the childhood experience, had a correlation with the benevolent parenting behavior. That is to say, it means that the emotional health and the independent ·accepting parenting experience based on the sense of closeness coming from father’s family of origin is connected with the benevolent parenting behavior that fathers show their children. Third, health of father’s family of origin and childhood experience didn’t show meaningful correlation with father’s verbal control modes statistically. If I suggest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father’s parenting behavior or language control type have focused on children such as infant development, whereas this study focused on the health of family of origin and childhood experiences in the side of development history of fathers, which gives significance to this study. Second, the studies on family of origin have focused on marital relationship or parenting behaviors, wherea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language control type and the health of family of origin and childhood experience, which are more complicated than parenting behavior.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athers. For this reas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ird, at this time when father whose image is benevolent like a friend and who takes active part in rearing a child is emphasized,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lay the foundation for fathers themselves to figure out and analyze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ir parenting behavior an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o help the parenting behavior and role performance as a father by searching other variables other than private development history.;본 연구는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아동기 양육경험과 양육행동, 언어통제유형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보고 바람직한 아버지 역할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아동기 양육경험과 양육행동, 언어통제유형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아동기 양육경험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아버지의 아동기 양육경험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아동기 양육경험과 언어통제유형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과 언어통제유형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아버지의 아동기 양육경험과 언어통제유형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유치원 및 직장어린이집 3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3세, 만 4세, 만 5세 유아 224명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아버지의 전반적인 원가족의 건강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도구로는 Hovestadt와 그의 동료들(1985)이 제작한 Family of Origin Scale(FOS)을 토대로 최현미(1997)가 한국 가족의 정서에 적합하도록 개발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아버지의 원가족 양육경험에 대한 연구는 Epstein(1983)의 부모-또래척도(Mother-Father-Peer Scale: MFPS)를 번안·수정한 전현진(1997)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는Baumrind(1971)가 제시한 모델에 근거하여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1999)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한 측정도구를 아버지로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 검사 도구는 Bernstein(1971)와 Gumperz(1973)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도혜숙(1997)이 보완·수정하여 사용한 검사 도구를 예비조사 후에 자유기술 문항을 삭제하고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ronbach’s α,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 및 양육행동과 언어통제유형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하위요인은 친밀감이 자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아동기 양육경험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하위요인은 독립성 조장 대 과잉보호보다 수용 대 거부가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온정적 양육행동이 통제적 양육행동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은 지위적 언어통제유형, 인성적 언어통제유형, 명령적 언어통제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과 현재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 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아버지의 아동기 양육경험과 온정적인 양육행동 간에도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아버지의 원가족에서 경험한 친밀감이 온정적 양육행동과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아동기 양육경험의 하위요인인 독립성 조장과 수용적 양육태도 모두 온정적 양육행동과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아버지가 자신의 원가족에서 친밀감을 바탕으로 형성한 정서적 건강성과 독립적·수용적 양육경험은 현재 자녀에게 보이는 온정적 양육행동과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아동기 양육경험은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의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아버지의 양육행동이나 언어통제유형과 관련한 연구는 유아의 발달과 같이 자녀에게 초점을 맞춘데 비하여, 본 연구는 아버지 발달사 측면에서 원가족의 건강성과 아동기의 양육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그동안의 원가족 연구는 부부관계나 부모의 양육행동에만 초점을 맞춘데 비하여, 본 연구는 양육행동의 보다 복잡한 관점인 언어통제유형과 원가족의 건강성, 아동기의 양육경험과의 관계를 살펴본 것과,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에 최근 들어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상한 친구 같은 아버지상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아버지들이 자신의 양육행동을 스스로 분석하고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 아버지로서의 양육행동 및 역할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