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15 Download: 0

교사가 경험한 영아 배변학습의 이해

Title
교사가 경험한 영아 배변학습의 이해
Other Titles
Understanding of Toilet Learning for Toddlers That Teachers Experienced
Authors
전현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순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교사가 경험한 영아 배변학습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고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종일제 보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영아 배변학습에 있어서 영아와 교사를 중심으로 그들이 함께 경험해 가는 배변학습의 과정 및 단계와 이를 통해 영아를 돕고 지원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 및 노력, 지도 과정의 어려움, 교사로서의 성장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가 인식한 영아 배변학습의 과정은 어떠한가? 2. 교사가 인식한 영아 배변학습 지도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3. 교사가 경험한 영아 배변학습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사립대학 부속 직장어린이집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교사 5명과 영아 23명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9월 21일부터 10월 19일에 걸쳐서 연구참여 교사를 대상으로 한 총 15회의 심층면담, 교사저널, 영아관찰, 연구자저널, 현장노트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심층면담 내용의 전사본을 만들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현장텍스트를 읽어나가면서 이야기 패턴, 줄거리, 소주제 등을 찾아내어 연구텍스트로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타당성을 얻기 위해 구성원 검토 작업과 삼각측정, 전문가의 조언을 거쳤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변학습은 영아의 자발적 의지를 존중하며, 영아의 신체적·언어적·정서적 준비도 및 영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이 때 교사의 주의깊은 관찰과 민감한 반응이 요구되었으며, 배변학습은 세분화된 단계에 걸쳐서 영아중심적이고 점진적이며 유연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교사는 영아의 감정을 고려하며 영아에게 자율성과 주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교사의 역할을 다했다. 둘째, 교사는 배변학습을 지도함에 있어 집단생활에서의 어려움을 인식했으며, 교수용 자료나 정보의 부족, 부모와의 협의과정 등에서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동료교사로부터 구체적인 조언이나 정보를 구했으며, 동료교사의 모델링, 파트너 교사와 의견나누기 등을 통해 실제에 필요한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교사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교사는 배변학습을 경험하게 되면서 배변학습의 중요성과 가치, 의미를 새로이 인식하게 되었다. 배변학습 과정의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배변학습에 관한 인식이 점차 변화되었다. 그리고 교사들은 배변학습 과정에서 자신과 타인의 경험을 거울삼아 교수 과정에서 보다 나은 선택을 하기 위해 노력했고, 반성적 사고를 통해서 끊임없이 배워나가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교사로서 성장해 나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종일제 보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영아 배변학습을 살펴보았다. 영아 배변학습을 할 때에는 배변학습의 주체인 영아의 준비도를 고려해야 하고, 교사의 주의깊은 관찰과 민감한 반응, 영아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었으며, 점진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교사는 영아를 돕고 지원하기 위해 교사의 역할을 다했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기도 하였는데, 주변 교사들의 도움을 받아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리고 교사는 영아 배변학습 경험을 하면서 이것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을 새로이 인식하기도 했으며, 반성적 사고 과정을 통해서 교사로서 지속적으로 성장해 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fter hearing of stories about toilet learning for toddlers that teachers have experienc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m. Therefore, in the toilet learning for toddlers performed at the fulltime child-care center, I analyzed the process and stages of the toilet learning that toddlers and teachers have experienced together focusing on toddlers and teachers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teachers' role and efforts for helping and supporting toddlers, difficulties in the guiding process and a success as a teacher.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How is the process of toilet learning for toddlers of which teachers are aware? 2. What difficulties are teachers aware of when teaching toddlers to use a toilet? 3. What does the toilet learning mean that teachers experienced?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at the workplace child-care center attached to a private university located at Seoul.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5 teachers and 23 toddler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for the study was from the 21st day of September to the 19th day of October. The study has performed through 15 tim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who are subjects of the study, teachers’journal, toddlers observation, researcher journal and field notes. This researcher made the whole copies of contents of such in-depth interviews.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was made in the ways that found out story patterns, storylines and small subject etc. While reading the field texts and then they were reorganized as a study text. This stud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reviewed by member checks, triangulation of data source and professional advice to acquire the validity of the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ilet learning wa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oddlers’ physiological, linguistic and emotional readiness and toddlers’ temperament while toddlers’ willingness were fully respected. At this time, a teacher’s careful observation and sensitive response were required. The toilet learning went through segmentalized steps and was done in a toddler-centered, gradual, and flexible approach. The teachers did their best to play a teacher’s role so as to give toddlers autonomy and initiative in consideration of the toddlers’ emotions. Second, the teachers were aware of limitations of an child-care center in guiding the toilet learning and they felt difficulties realistically due to the absences of resources or information for teaching and in the process of consultation with parents etc. In addition to that, a teacher sought for some advices or information of colleague teachers to solve it. The teacher was able to gain actual and necessary knowledge through colleague teachers’ modeling and sharing opinions with a partner teacher. Third, on the teachers’ side, teachers became freshly aware of the importance, value and meaning of the toilet learning while they were guiding the toilet learning. According to cumulating experiences of toilet learning process, they changed gradually their awareness of toilet learning. Teachers made efforts to make a better choice in the teaching process by reflecting their experiences and have grown as teachers going through constantly leaning process through reflective thinking. In this study, the toilet learning for toddlers were performed at the fulltime child-care center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When doing the toilet learning for toddlers, teachers should consider the readiness of toddlers who are the subjects of the toilet learning, which required a teachers’ careful observation and sensitive response and understanding of toddlers and was performed in the gradual and flexible approach. For the purpose of this, teachers did their best to play a teacher’s role to help and assist toddlers. Although teachers felt difficulties realistically in this process, they received helps from colleague teachers and made efforts to cope with such difficulties. And teachers became freshly aware of various meanings and importance of the toilet learning while they experienced the toilet learning and has grown constantly as a teacher through reflective think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