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3 Download: 0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저널쓰기를 바탕으로 현직음악교사의 반성적 사고 과정 탐색

Title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저널쓰기를 바탕으로 현직음악교사의 반성적 사고 과정 탐색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Music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Through Journal Writing
Authors
이솔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저널쓰기를 바탕으로 현직음악교사의 반성적 사고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반성적 사고를 통해 어떠한 과정을 보이고 있는가? 둘째, 반성적 저널쓰기와 교사 공동체 모임은 반성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이를 위하여 2018년 5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약 5개월간에 걸쳐 현직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사례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교사들에게 주기적으로 저널을 받았으며 반성적 사고를 자극하기 위해 공동체 모임의 장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널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반성은 주로 교수활동에 초점을 둔 반성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학습자에 초점을 둔 반성, 교사 자신에 초점을 둔 반성, 외부 환경에 초점을 둔 반성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에게 나타난 가장 두드러진 반성적 사고의 특징은 교사들이 교직에 근무하면서 들었던 다양한 고민들을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촉진하였다는 것이다. 교사들은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과거의 습관적인 행동을 개선해나갔으며 바쁜 교직 생활 속에서도 스스로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었다. 둘째, 저널쓰기와 교사 공동체 모임은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반성적 저널쓰기를 지속하면서 교사로서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보았고, 공동체 모임에서 동료들과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 반성적 사고의 부담을 덜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동료들과 교직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면서 반성적 사고의 폭을 확장시켰다. 이는 공동체 모임처럼 교사가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상황과 여건의 마련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전문적인 성장을 위해 반성적 사고가 가지는 의미와 가치가 전달되고, 향후 현직교사나 예비교사들의 교사교육에서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저널쓰기와 교사 공동체 모임이 교사로서 전문적인 성장을 해 나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으로 제공되길 바란다. ;This case study aims to explore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of in-service music teache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ir reflective journals. The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two questions: (1) What are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teachers show? and (2) What impact reflective journals and a teachers’ meeting have on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he case study was carried out on in-service music teachers for about five months from May 2018 to September 2018. In the present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participant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arranged a teachers’ meeting to promote their reflective thinking. There are two findings of the research. First,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was mostly focused on their teaching activities, followed by learners, teachers themselves,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most noteworthy feature of their reflective thinking was that they actually took actions to overcome the challenges they were facing as a teacher, rather than solely thinking or talking about them. This suggests that writing reflective journals gave them the opportunity to reflect themselves and to break their bad habits and 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Second, keeping reflective journals and participating in the teachers’ meeting promoted the music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The participants could view themselves objectively by writing reflective journals. And having conversations with other teachers made it easier for them to reflect on their teaching experiences. Also, they could expand their capacity for deep reflective thinking by sharing their experiences in the meeting. This indicates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teachers with such opportunities as a teachers’ meeting to improve their reflective think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keeping reflective journals helps teachers to achieve professional growth. Hopefully,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using reflective journals and a teachers’ meeting as a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 training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