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지혜-
dc.contributor.author이정화-
dc.creator이정화-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38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38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2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29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86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의 제재와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양상을 살펴보고, 상호텍스트성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매체가 발전하면서 다양한 텍스트가 만들어지고 있는 만큼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이러한 여러 매체 텍스트를 활용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6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다양한 상호텍스트를 교과서와 교수·학습방법에서 활용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러나 상호텍스트성 교육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는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의 상호텍스트를 살펴보는 연구가 진행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교과서를 중심으로 하여 현대소설에서 상호텍스트성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통시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을 살펴보기에 앞서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상호텍스트성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호텍스트성의 용어는 다성성의 개념에서 시작되어 정립되었다. 이는 대화성이 두드러지는 현대소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 작품 속 인물의 다양한 목소리에서부터 출발한 상호텍스트성의 개념은 현재 좁은 의미의 단순한 텍스트 간 인용에서부터 넓은 의미의 지식, 기호, 문화의 연관성까지 해당한다. 또한, 상호텍스트성의 유형은 선행텍스트와 상호텍스트의 관계를 유형화한 것으로 동질적, 이질적, 모방적 등 그 관계 역시 다양하다.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의 개념과 유형을 바탕으로 2011, 2015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현대소설에 대한 상호텍스트의 종류와 관계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위해 먼저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담화, 글, 작품, 매체 등을 활용할 것을 강조하고 있어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 2011 ‘국어’ 교과서와 2015 ‘국어’ 교과서 속 현대소설 단원에서 상호텍스트로 사용된 문학 텍스트와 비문학 텍스트의 수록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상호텍스트성 유형을 상호텍스트가 선행텍스트를 보충하는 관계인 보완 텍스트 유형과 반대로 대립적인 관계인 분열 텍스트 유형으로 나누어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텍스트 이해 활동 측면과 심층적 사고 활동 측면으로 하위분류하여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밝힌 의의와 한계를 바탕으로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 역량을 바탕으로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목표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비판적 사고 형성’, ‘타자에 대한 이해’, ‘창의적 문학 수용 및 생산’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 목표를 제안하였다. 또한, 앞으로의 교과서에서 상호텍스트 제재를 선정할 때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육 목표와 제재 선정의 방향성을 연관 지어 학습활동에 중점을 둔 상호텍스트성 교육 방안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소설에 초점을 두고 이에 따른 상호텍스트의 종류와 상호텍스트성 교육 활동의 양상을 통시적으로 상세하게 고찰하였으며,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 방안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상호텍스트성은 현대소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현대소설과 상호텍스트의 결합을 통한 교육은 학습자가 다양한 역량을 함양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앞으로의 교과서 및 실제 현대소설 교수·학습 현장에서 상호텍스트성 교육을 활용한 더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bject matters of intertext and aspect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in modern novel education, and to look for an education plan of intertextuality. As the medium evolves, various texts are being created, so the actual classroom uses these various media texts. Also,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various intertexts have been suggested to be used in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rom the 6th curriculum, and the current curriculum emphasizes this more. Thu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is increasing. However, in the existing studies on intertextuality education, there was no study to examine the intertext of the works in the textboo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iachronically focusing on textbooks how intertextuality education in modern novel is conducted. Before examining the intertextuality education in modern novel education,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ncept and type of intertextuality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term of intertextuality has begun and been established from the concept of polyphony. This is closely related to modern novel with remarkable dialogue. The concept of intertextuality that originates from the various voices of a person in a work ranges from quoting between simple texts in the narrow sense to broad knowledge, symbols, and relevance of cultures. In addition, the type of intertextuality is typified of the relation between the preceding text and the intertext, it is also a diverse relation, such as homogeneous, heterogeneous, and imitative. Based on this concept and type of intertextuality, this paper classified and analyzed the kind and relation of intertext related to modern novel in 2011 and 2015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In order to analyze the textbooks, this paper first looked at the goal of education, achievement standards, and aspect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Because the use of various discourses, writings, works, and media in the curriculum was emphasized, this paper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ntained aspects of the literary texts and non-literary texts used as intertext in the chapter of modern novel in th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of 2011 and 2015. A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learning activities by dividing the intertextuality type into the complementary text type, in which the intertext supplements the preceding text, contrary the split text type, which is the opposing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learning activities in terms of text understanding activity side and in-depth thinking activity side by sub-category. Based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revealed by the analysis, this study searched for an education plan of intertextuality in modern novel education. Based on the fiv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researcher proposed the goal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Specifically, the researcher proposed educational goals focusing on‘critical thinking formation', ‘understanding of others', ‘creative literary acceptance and production.'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ed three directions for the selection of intertext subjects in future textbooks. This study constituted a plan for intertextuality education that focuses on learning activities by linking these educational goals and direction of subjects selection. This study focuses on modern novels and examines diachronically in detail the type of intertext and the aspect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activities, and it has significance to present systematically the method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in modern novel education.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intertextuality education are getting bigger. Since intertextuality is closely related to modern novel, educa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modern novel and intertext will play a great role in cultivating various competencies of learners. Therefore, the researcher hopes that further discussion will be conducted using textbooks in future textbooks and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of modern nove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4 1. 문학에서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4 2. 문학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6 C. 연구 대상 및 방법 13 Ⅱ. 상호텍스트성 교육을 위한 이론적 배경 16 A. 상호텍스트성의 개념 및 유형 16 1. 상호텍스트성의 개념 16 2. 상호텍스트성의 유형 23 B. 문학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양상 및 의의 28 1. 국어과 교육과정의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양상 28 2.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의의 31 Ⅲ.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 양상 분석 33 A. 국어과 교육과정 및 성취기준 분석 33 1. 상호텍스트성 교육에 관한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시적 고찰 33 2. 2011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41 B. 국어 교과서의 상호텍스트 수록 양상 분석 47 1. 2011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47 2.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51 C. 국어 교과서의 학습활동 분석 53 1. 2011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58 2.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78 D. 국어 교과서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의의 및 한계 92 1. 국어 교과서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의의 92 2. 국어 교과서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한계 93 Ⅳ.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 방안 96 A.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의 목표 96 1. 비판적 사고 및 문제 해결 능력 증진 98 2. 타자에 대한 이해 및 자아정체성 형성 100 3. 창의융합적 문학 수용 및 생산 101 B. 상호텍스트 제재 선정의 방향 103 1. 선행텍스트와 상호텍스트의 응집성 강화 103 2. 상호텍스트 종류의 다양화 104 3. 동시대적 매체 변화의 흐름 고려 106 C.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 방안 108 1. 구체적 단계 설정과 연계성 강화를 통한 비평적 사고의 다양화 109 2. 다른 관점의 상호텍스트를 통한 타자의 다양성 이해 116 3. 다매체 텍스트를 통한 서사 문학의 창의적 수용 및 생산 120 Ⅴ. 결론 126 참고문헌 129 ABSTRACT 1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117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교육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ducation Plan of Intertextuality in Modern Novel Education-
dc.creator.othernameLee, JungHwa-
dc.format.pagevi, 13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