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2 Download: 0

국어과 문학 영역의 자기성찰 역량 교육 연구

Title
국어과 문학 영역의 자기성찰 역량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elf-reflection competency on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 Focusing on the Literature Units of the textbook 〈Korean〉
Authors
강지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오늘날 사회는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뤄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지식암기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가치 판단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선별할 수 있는 감식안을 갖춘 인재, 창의적 사고를 통해 방향을 제시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하는데 교육의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새롭게 핵심 역량을 도입하였으며, 학교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총론에서 설정한 여섯 가지 핵심 역량 중에서 ‘자기관리 역량’에 해당하는 국어과의 ‘자기성찰·계발’ 역량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한 개인이 성장해 나가는 과정에서 인간의 삶을 다룬 문학은 단순히 향유의 대상이 아니라 자신을 비추어보는 거울로 작용하기도 하고, 타인을이해하는 도구가 되기도 하며, 경험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상상의 세계가되어주기도 한다. 따라서 자신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하는 시기에 해당하는 중·고등학교 학습자를 위해 국어과의 문학 영역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수 있는 핵심 역량은 ‘자기성찰·계발’ 역량이며, 특히 그 중에서도 ‘자기성찰’ 역량을 신장시키기에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역량의 범위를 한정하여 국어과 문학 영역에서 ‘자기성찰’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문학 교육의 자기성찰 역량을 통해 청소년 정체성 확립에기여할 수 있는 요소를 설정하였다. 본고에서는 문학에서 이룰 수 있는 자기 성찰적 요소로 ‘자기 이해’, ‘타자 이해’, ‘공동체 이해’ 세 가지를 들어 설명 하였다. 둘째, 자기성찰 역량을 구성하는 이 세 가지 요소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 그구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제재나 학습 활동이 청소년 정체성 확립의 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여 선정, 설계되었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앞서 살펴 본 교과서 구현 양상을 바탕으로, 국어과 문학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청소년 학습자의 자기성찰 역량을 재정의하고, 체계화하며, 위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자기성찰 역량을 강화를 위한 작품과 활동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문학 영역의 자기성찰 역량 교육을 통해, 청소년 학습자들이 문학을 매개로 자신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는 데의의가 있다. 우리는 온전한 ‘나’로 살아갈 때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다. 문학을 통한 자기 성찰, 깊이 있는 자기 응시의 경험은 학습자로 하여금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게 하며, 자신만의 가치관을 구축해 나가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청소년 학습자들은 문학 감상을 통해 타인과 공동체에 대한 이해와 공감의 저변을 넓힐 수 있다. 우리는 문학 속 다양한 인물이나 화자의 모습을 통해 다양한 삶의 모습을 접할 수 있으며, 그들의 감정에 공감하거나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이러한 자기 성찰적 태도는 학습자로 하여금 타인을 이해하는 따뜻한 마음과 ‘나와 다른 삶’에 대한포용력을 갖추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끊임없이 경쟁에 내몰리는 현대 사회에서, 청소년 학습자들이 문학을 통해 자신의 불안정한 정체성에 대해 이해하고, 타인의 처지에 공감하며, 다양한 공동체의 모습을 수용할 수 있는 주체적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As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e fus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rives, the preferred type of intellectual is changed. In educational field,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the knowledge-centered education to a revised education adapted to the current era. The revised education would focus on nurturing intellectuals who possess the insight of selecting the proper information by its own value reasoning and suggest the proper solution by its own creative thinking. The core competencies were adop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hich would allow students to develop the qualities necessary to live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is research has been studied for self-management competency among six core competencies suggest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lf-management competency is specified as self-reflection competency in the ‘Korea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hich defined self-reflection competency as the ability that would manage one’s life through continuous self-questioning on values of societies. Self-reflection competency could be acquired by teaching literature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formation of youth identity. Literature, the story of one’s life, offers readers to have chance of not only having a pleasure but reflecting the self, understanding others, and widening one’s experience. Therefore, teaching literature is particularly instructive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on the phase of developing their own identity. Firstly, this paper reviewed th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effect of learning literature for youth identity, the formation of youth identity through self-reflection, and the way of enhancing self-reflection by reading literature. Secondly, this research re-conceptualized the concepts of self, others and community by analyzing the ‘Korea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literature units in 〈Korean〉 textbook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Lastly, in this research, the term ‘self-reflection competency in literature education’ was redefined and systematized. This paper also suggested literary works and class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youth’s self-reflection competency.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due to the fact that the revised textbooks of Korean for middle school second and third grades and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 are under development. Despite these limitations,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concrete ways of realizing the ‘Korea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lf-reflection competency in the literature education would guide our youth to be an independent person who can establish its identity, sympathize with others, and comprehend various values of commun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