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LE BAO QUYNH THO-
dc.creatorLE BAO QUYNH THO-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12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12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1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19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719-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thesis, a survey of Vietnam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ith teaching communication took a place. The survey concerns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the spoken language. Human beings cannot live with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cannot be disregarded. Communication is the tool that enables us to connect with one another. It helps us to possess, as social beings, a wide view of the world. Disabled students that possess a limited communication can incur the loss of educational benefits and have fewer opportunities for community or leisure activities. In addition, that they face difficulties while interacting with oth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support and use diverse communication systems which will enable to express their thoughts, feelings, and requests effectively. At present, there is an absence of literature or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s communi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Vietnam. We need to carry out a research to identify the methods of special education for teachers in Vietnam on how to use and perceive them.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n teacher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the south of Vietnam. We followed the status and the perception of the AAC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n, we designed and modified the survey questions to suit the conditions in Vietnam. We applied the survey on eight special educational schools and one class from the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at the college. After analyzing the data, we amassed through the SPSS program, we suggested som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urvey. First, teachers used unaided methods, such as gestures, body language, facial expressions and aided methods, such as pictures cards or communication boards to teach communica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use of the two methods appeared at a similar rate. The major methods that the teachers implemented through communication instruction were the expressions of needs such as greetings, expression of personal needs which are required in daily life. The classroom activity time was the most common environment that is applied for communication instruction. In addition, there is a relatively high level of teaching time attained by utilizing break time during the school day, naturally occurring communication, or in the preparation of separate communication time. The most difficult factors in communication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the short concentration time and the diversity of the students in the class (i.e. number of students, types of disabilities, cognitive ability and communicative ability). The most significant achievements after teaching communication were the improvements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class, expressing demands and emotional expression. Second, Vietnam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it is vital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questions and answers sessions. They recognized that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for social expression (e.g. greetings) is important when it comes to communication skills that are necessary for students to achieve the highest level of performance. They think that it is more important for teachers to teach students to communicate using aided methods, such as pictures, photographs, and communication boards, rather than unaided methods. However, when comparing the recognition level and the performance level, it can be seen that the level of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guidance using unaided method is higher than their perception of its importance. On the other hand, in the situation of communication guidance, teachers recognized that instrumental communication instruction is important, but it there is a low level of utiliz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o promote cooperation with parents,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use a consistent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ir parents and their children at home. That can be by demonstrating a successful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school, but this also shows some difficulties in practice. Teachers demonstrated a difficulty in practicing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recognizing the cooperation with parents. Finally, in order to effectively tea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ve communicating difficulty with the spoken language, there is a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raining, but the actual participation was low. Third, it was found that, only in the area of communication function educati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awareness and the practice of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 with concern to the special education major of the teacher. However, providing communicating opportunities to the students in general communication guidance, important communication function or communication style to use, cooperation with parents, participation in communication training are same in both special education major teachers and those that are not. The results show that Vietnam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munication that teaching communication that teaching communication despite the difficulties.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the process of training special teachers in Vietna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a systematic instructional communication method for professional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인간은 의사소통 없이는 살 수 없는 존재이며, 일상 속 의사소통을 통해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거나 사회적 인간으로 성장하는 등 세상을 바라보는 넓은 시야를 갖게 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은 결코 간과될 수 없다. 그러나 의사소통에 제한이 있는 장애학생들은 교육혜택에서 소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활동과 여가활동에 제한이 있으며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교사는 장애학생들이 다양한 의사소통 체계를 활용하여 자신의 사고, 감정이나 요구 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베트남 특수교육 현장에서는 장애학생 의사소통 지도에 관한 실태조사와 같은 선행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베트남 특수교사들이 장애학생들에게 어떤 의사소통 지도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지, 그 방법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에 대하여 상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에서 구어로 의사를 표현하기 어려운 장애학생들을 지도해본 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베트남 남부 지역에 위치한 장애학생 교육 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한국 및 외국에서 실행된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실태 및 인식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질문 내용을 연구목적에 맞도록 수정 및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베트남의 8개 특수학교 및 사범대학 특수교육학과의 수업시간을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하여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설문 결과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문항 빈도와 백분율, 평균값, 독립표본 t검정을 산출하였다. 교사의 현황, 장애학생 의사소통 지도에 대한 실천 및 인식 관련 설문 결과를 분석한 후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어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장애 학생에 대한 베트남 특수교육기관 교사의 의사소통 교육 경험을 교사가 실시한 교수방법, 교수내용, 교수환경, 교수실시과정에서의 어려움 및 의사소통 교육의 효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을 때, 교사는 학생에게 의사소통을 지도하기 위해 주로 제스처나 손짓, 얼굴 표정과 같은 비도구적 방식과 그림카드, 의사소통 판과 같은 도구적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 두 가지 방식의 활용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 지도를 통해 교사가 가르치고자 하는 주된 내용으로는 주요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요구 표현(예, 인사하기, 개인적 요구 표현하기 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의사소통 지도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환경으로는 학급활동 시간으로 나타났고, 그 밖에 교내 일과 중 쉬는 시간을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지도하거나 별도의 의사소통 시간을 마련하여 교수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구어로 의사를 표현하기 어려운 장애학생에 대한 의사소통 지도에서 가장 어려움이 되는 요인으로는 학생의 짧은 집중시간이 지적되었으며, 학급 내 학생의 다양성(학생의 수, 장애유형, 인지나 의사소통 수준 등)으로 인한 지도의 어려움도 함께 보고되었다. 의사소통 교육 후 학생들에게 나타난 가장 큰 성과로는 학생의 수업참여, 자기요구 및 감정표현 측면에서의 향상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직 교사가 인식하는 의사소통 교육의 중요도 및 실천 정도에 대해 알아본 결과, 베트남의 현직 교사들은 구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이라도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질문과 대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면서 실제로 많이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의사소통 기능과 관련하여서는 사회성 표현(예, 인사하기)을 위한 의사소통 기능을 학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었으며 실행이 높은 정도로 나타났다. 아울러 교사들은 학생이 비도구적 의사소통 방식보다 그림이나 사진, 의사소통판 등을 활용한 도구적 의사소통 방식을 활용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지도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식도와 실행 정도를 비교할 때 비도구적 상징을 활용한 의사소통 지도의 중요도를 인식하는 수준보다 실제 교육상황에서 몸짓 또는 제스처를 자연스럽게 활용하여 의사소통을 지도하는 정도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의사소통 지도 상황에서 교사들은 도구적 의사소통 지도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면서도 실천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부모와의 협력을 통해 의사소통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반면 이 또한 실천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학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 의사소통 교육 관련 연수나 훈련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나 실제 교사의 연수 참여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특수교육 전공 여부에 따른 의사소통 교육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정도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의사소통 기능 교육에 관하여 감정표현 기능과 사회성표현 기능의 영역에서만 특수교육 전공 교사보다 특수교육 비전공 교사의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공 여부에 따라 전반적인 의사소통 지도 시 학생에게 의사소통 기회를 제공하기, 학생이 사용하는 의사소통 양식과 중요한 의사소통 기능, 효과적인 의사소통 지도에 대해 부모와 협력하기,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나 훈련에 참여하기 등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베트남 특수교사는 구어로 의사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장애학생에게 의사소통을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학급 내 학생들의 다양성과 개별적인 특성으로 인해 의사소통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베트남 특수교사 양성과정을 통해 장애학생에게 의사소통을 지도하기 위한 충분한 전문성을 기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학급 내 장애학생들의 개별적 특성과 요구에 적합한 의사소통 지원이 가능하도록 체계적인 의사소통 지도 방법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교사 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문제 7 C.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9 A. 장애학생의 의사소통 9 1. 장애학생의 의사소통 특징 및 어려움 9 2.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 13 3. 장애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지도 방법 15 B. 베트남의 특수교육 20 1. 장애학생의 교육을 위한 베트남 특수교육 정책 및 법률 20 2. 장애학생 교육 환경 및 교사 양성 25 3. 의사소통 지도 실태 및 교사의 인식 28 Ⅲ. 연구방법 30 A. 연구대상 30 B. 연구도구 34 C. 연구절차 37 Ⅳ. 연구결과 40 A. 베트남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사의 의사소통 교육 경험 40 B. 베트남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사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인식 44 Ⅴ. 논의 및 제언 52 A. 논의 54 1. 베트남 특수교사의 의사소통 교육 경험에 대한 논의 54 2. 구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학생들에 대한 베트남 특수교사의 의사소통 교육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및 실천 정도에 대한 논의 56 3. 베트남 특수교사의 특수교육 전공 여부에 따른 의사소통 교육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정도의 차이에 대한 논의 59 B. 연구의 제한점 60 C. 제언 60 참고문헌 62 부록 72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01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구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학생에 대한 베트남 특수교사의 의사소통 교육 경험 및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urvey of Vietnam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ith teaching communica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the spoken language-
dc.format.pageviii,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