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이지혜-
dc.creator이지혜-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12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12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3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37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718-
dc.description.abstract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 시기는 물리적 환경과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 학생의 신체적 성장과 심리적・정서적 변화 등 다양한 변화를 수반하는 기간이므로 변화에 민감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부족한 장애학생들은 많은 어려움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현재 우리나라 중학교 통합교육은 1990년대 이후 급속도로 발전해 왔으며 일반 중학교로 진학하는 장애학생의 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애학생의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을 위한 준비와 이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된다고 할 수 있으며, 실제 교육현장에서도 이를 위한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에 대하여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 따라서 장애학생에게 필요한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기술에는 어떠한 주제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더 나아가 이러한 전환기술들이 제대로 교수되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고학년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과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기술에 대한 교수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장애학생들의 일반 중학교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지원하는 교수 실제를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의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장애학생의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과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기술에 대한 교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2018년 3월 기준 서울 지역 213개 초등학교의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최종적으로 62개교에서 수합된 124부의 질문지가 통계처리에 활용되었다.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중학교 전환에 필요한 기술을 알아본 차미영(2003)과 나수현, 박승희(2008)의 연구에서 개발한 질문지를 토대로 장애학생의 전환, 적응기술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중학교 교사와의 면담 내용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자료 처리 및 분석은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분석, 빈도 분석,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 주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중학교로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으로 전환교육 실행 정도, 전환교육에서 교사 간 협력 정도, 전환교육의 시작 시기에 대해 알아본 결과 장애학생의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교육 실행 정도에 대한 평균 점수는 특수교사 2.48점(4점 만점), 통합학급 교사 2.24점(4점 만점)으로 많은 학교에서 아직까지 별도의 전환교육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교육이 시작되어야 하는 시기는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라고 답함으로써 최소한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에는 전환교육이 실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전환교육을 실행한 경우 실행 과정에서의 교사 간 협력 정도를 알아본 결과 교사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이를 통하여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간 협력의 정도가 통합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정도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기술에 대한 교수 실태를 살펴본 결과 6가지 하위 영역 중 특수교사의 교수 실태 평균 점수가 가장 높게 나온 영역은 의사소통 기술이었고, 가장 낮게 나온 영역은 기본생활기술이었다. 반면,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 실태 평균 점수가 가장 높게 나온 영역은 사회성 기술이었고, 가장 낮게 나온 영역은 기초학업기술이었다. 그리고 의사소통 기술과 사회성 기술 영역은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 실태 평균 점수가 3점 이상(4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사소통 기술과 사회성 기술이 장애학생의 통합에 중요한 요소이며, 학령기 이전부터 강조되어 온 기술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현장에서 많이 교수하고 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일반 중학교 환경 적응기술은 10개의 하위 기술 중 특수교사의 경우 6개, 통합학급 교사의 경우 3개의 기술이 ‘학생이 이미 습득하여 교수가 필요하지 않음’에 응답한 비율이 6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67.7%가 경도 장애라고 답한 것과 관련이 있으며, 재학 중인 학교에서 다년간의 반복학습으로 이미 습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 중학교 수업 참여기술에서는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교수 실태 평균 점수가 가장 낮게 나온 기술이 ‘시험보기 기술’이었다. 새로운 기술 습득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장애학생의 특성 상 초등학교에서 전혀 경험하지 못한 OMR카드 작성과 같은 기술은 미리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가 제시되었다. 기본생활기술 영역의 제시된 하위 기술 중에서 ‘교복 입는 방법을 알고 잘 관리하기’는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 실태 평균 점수가 1.5점 이하(4점 만점)로 나타나 초등학교 과정에서 거의 교수되지 않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중학교 환경에서 장애학생의 적응에 필수적인 교복입기 기술은 초등학교에서도 중학교 교사와 협력하여 중학교 방문이나 탐색의 기회를 갖고, 그 과정 속에서 교수가 실행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초학업기술에서 교수 실태 평균 점수가 가장 높은 기술은 ‘자신의 이름 쓰기’(특수교사 M=3.92, 통합학급 교사 M=3.08)였으며, 이 기술은 학생들이 이미 습득하여 교수가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특수교사 80.6%, 통합학급 교사 79.0%)도 높아 초등학교에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기술임을 알 수 있었다.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먼저 6개의 하위 영역에 대한 평균 점수에서 기초학업기술, 의사소통 기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하위 영역에 대한 평균 점수는 모든 영역에서 특수교사의 점수가 통합학급 교사의 점수보다 높았다. 그리고 영역별 하위 기술에 대한 차이에서 기초학업기술 영역은 10개의 하위 기술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즉,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기술 하위 영역 중 기초학업기술 영역이 교사 집단 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교육이 고학년 시기부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 실행 정도는 낮으며, 전환기술의 교수도 특수교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기술 교수를 위해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학부모가 협력하여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전환기술을 선정하여 장기적으로 교수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 특수학급이 있는 초등학교의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장애학생의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환기술교수 실태를 알아본 최초의 연구이며,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계획에서 필요한 교수 영역과 내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교육청과 현장 교사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앞으로 장애학생을 위한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기술 교수가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청 차원의 가이드북 제작과 체계적인 전환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자료와 구체적인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제시될 때 장애학생을 위한 전환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As the transition time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is the period accompanying various changes in terms of physical environment, curriculum and student’s psychology and emotion, so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ace substantial difficulties in this time. Thus, it needs to investigate what transition skil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necessary for a general middle school are required for successful transition to general middle school and whether such transition skills are appropriately taught in school field. Targeting som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transition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eaching realities about the transition skills to general middle school, and to reinforce the teaching practices supporting successful transition to general middle schoo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213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finally utilized total 124 questionnaires being collected from 62 schools in the statistical analysis process. The questionary being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correcting and complementing the questionary of Cha(2003) and Nah and Park(2008) in reference of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ransition and adaptation skills to general middle schoo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interview data with some middle school teachers. The data of this survey were statistically proceeded and analyzed by research question in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the t-test. Results of this study were largely suggested into three finding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m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investigating the current realization level of transition education, the teachers’ cooperation level in transition education, and the start time of transition education concerning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transition education to general middle schoo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was appeared that many elementary schools do not carry out a separate transition education still yet. However, most respondents were perceiving the need of trans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y responding that the transition education should be started i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as the results investigating the teachers’ cooperation level in the practice process of transition education, the differences among teacher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rough this result, it could know that the teachers’ cooperation level being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ifferent from the level perceived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cond, as the results from investigating the most significant area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realities were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lowest ones were basic life skills.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score i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realities were the social skills and the lowest in the basic academic skills. The skills of communication and social were important factors in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were the skills having been emphasized from before attending on the elementary school, so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field were teaching these skills very much. The basic life skill was perceived as a necessary skill during the whole school-year period as well as student’s adaption to middle school, so average score of the teaching realities in that area was high,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 groups. For this skill area, in the mean value of total scores by area, it was appear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more frequently taught this skill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It was reported that for the basic, academic skill, the gap between teacher groups was the largest in the mean value of total scores, and its sub-skill was generally taught more frequently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a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From these results, it could know that the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more frequently done in the special education environment than the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These findings of study implied that though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transition education to general middle schoo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started from the upp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but the transition skill education was rarely given in real school field, and the transition skill teaching was being carried out arou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us, from these findings, the investigator could draw out the conclusion that transition skills to general middle schoo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selected in the cooperation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and such skills should be taught in the long term. This study was the first research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transition education and the teaching realities of transition skill to general middle school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argeting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schools whose special classes were running in Seoul,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uld suggest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transition skill to general middle schoo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Education Offices and teachers in school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A. 장애학생의 중학교 통합교육 8 1. 우리나라 중학교 환경의 특성 8 2. 장애학생의 중학교 통합교육에 대한 어려움 10 3. 장애학생의 중학교 적응에 필요한 기술 11 B.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 15 1.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교육의 필요성 15 2.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 관련 선행연구 16 Ⅲ. 연구 방법 20 A. 연구 참여자 20 B. 연구 도구 24 C.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30 D. 자료 처리 및 분석 31 Ⅳ. 연구 결과 33 A. 중학교 전환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33 1.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교육 실행 정도 33 2.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교육에서 교사 간 협력 정도 34 3.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교육 시작 시기 34 B.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기술 교수 실태 36 1. 특수교사의 교수 실태 36 2.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 실태 42 3.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 실태 차이 48 Ⅴ. 논의 및 제언 56 A. 논의 56 1. 중학교로의 전환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에 관한 논의 56 2.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기술 교수 실태에 관한 논의 58 B.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 64 C. 제언 65 참고문헌 66 부록 73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03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교육 및 전환기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 지역 고학년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및 교수 실태-
dc.title.translatedPerceptions of Transition Education and Teaching of Transition Skills for Elementary to Middle schoo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Lee, Ji-hye-
dc.format.pagex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