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3 Download: 0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연어 교육 연구

Title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연어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 of Collocation Targeting Japanese Learners Studying Korean Language: Based on ‘Noun+Postposition+Predicate’type Collocation
Authors
이유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급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체언+조사+용언’형 연어 사용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원인과 유형을 분석하고,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학습자들의 연어 사용 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중급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연어 사용 오류의 원인과 유형은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중급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연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급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연어 시험을 실시하였고, 시험 결과에 대해 빈도 분석 및 오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의 연어 사용 오류는 한국어와 일본어 연어가 일대일로 대응되는 연어보다 대응되지 않는 연어의 사용에서 많이 발생했다. 이를 통해 한국어와 일본어 연어가 대응되지 않는 연어를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오류의 원인은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 학습 과정상의 오류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중급 학습자의 경우 모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어휘량이 증가하면서 목표어의 영향도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어의 의미를 알지 못하는 경우, 교육 과정상의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류의 위치는 주로 용언에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동사의 사용에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사 중에서도 특히 한국어와 일본어의 연어 구성에 있어 차이가 나는 동사, 일본어와 한국어가 일대다로 대응되는 동사의 사용에서 오류가 많이 발생하였고, 비슷한 의미를 가지는 동사가 있을 경우 그 사용을 정확하게 구별하지 못해 발생하는 오류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이러한 동사들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본인 학습자가 연어를 다양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같은 의미를 가지는 여러 개의 연어가 있을 경우 학습자들은 주로 하나의 연어만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로 인해 학습자가 알고 있는 연어와 같은 의미를 가진 새로운 연어가 나왔을 때 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같은 의미를 가지는 연어를 다양하게 교육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연어 사용 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어 교육을 인식 단계, 이해 단계, 사용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 맞는 구체적인 연어 교육 활동을 제안하였다. 인식 단계에서는 신문 기사나 노래를 활용하여 연어를 인식하는 활동과 영화나 TV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어의 차이를 인식시키는 활동을 제안하였고, 이해 단계에서는 게임을 활용한 교육 활동과 텍스트 및 시각자료를 활용한 교육 활동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 단계에서는 말하기, 쓰기 기능과 연계한 교육 활동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 수준을 중급으로 한정하여 다양한 학습 수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과 연구 대상으로 삼은 학습자 수가 적어 오류 양상을 중급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일반적인 양상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을 제한점으로 꼽을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사전이나 학습 자료가 많이 연구되기를 기대하고,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어 연구가 다양한 학습 수준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져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 and the types of errors shown in the use of ‘noun+postposition+predicate’ type collocation of Japanese people learning intermediate-level Korean language, and to suggest a methodology for effective study of Korean language that leads to the reduction of errors regarding colloc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problems of the study are set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s the cause and the types of the errors. Second, the study suggests efficient methodology for the Japanese learners. The study has conducted collocation test targeting 20 Japanese people studying intermediate-level Korean language, and has done frequency analysis and error analysis on the test result. Test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errors of the learners frequently occurred at the use of collocation where Korean collocation and Japanese collocation do not match 1 on 1 compared to the ones that correspond. The study was able to confirm that education has to be done in a way that focuses on collocation where Korean collocation and Japanese collocation do not match 1 on 1. Second, the causes of error varied,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influence of native language, influence of target language, and errors from learning process and others. In case of learnings who are in intermediate level, they were highly affected from their native language. However, the study was able to confirm that they are also being affected from native language with the improvement of vocabulary. Also, the study found out that errors from learning process frequently occurs when they do not know the meaning of collocation. Third, they study confirmed that the location of errors are usually from predicate, and found out that learners feel difficulty with the use of verb. Regarding verb, errors frequently occurred when the Korean verb and the Japanese verb have different collocation structure, and at the use of Korean and Japanese verbs that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study also found out that there were errors that occur when the learners could not differentiate the use of verb that have similar meaning. Thus, the study was able to acknowledge that education has to be done in a way that focuses on such verbs. Lastly, the study found out that Japanese learners cannot use collocation in various ways. If there are multiple collocations that share the same meaning, learners were usually using one particular collocation. Thus, the learners weren’t 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new collocation that share the same meaning with the collocation he or she already knows, and couldn’t use the collocation appropriately. The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educating collocations that share same meaning. Based on the result, the study suggested specific methodology to reduce the errors regarding the use of collocation by Japanese learners studying Korean language. The study suggested a methodology that classifies collocation education into recognition stage, understanding stage, and use stage, and provided detailed collocation education activities that suit well with each stage. The study suggested an activity that makes learners recognize the difference of collocation through activities that brings collocation recognition by utilizing news articles or songs or by utilizing movies or television programs for recognition stage. For understanding stage, the study suggested an educational activity that utilizes games and educational activity that utilizes texts and visualized materials. Lastly, the study suggested educational activity that connects speaking and writing function for the use stage. The study limited the level of education to intermediate level, and did not consider various learning levels. Also, the number of learners targeted for the study was relatively small, resulting in the difficulty of generalizing the data. The study expects future studies to focus more on collocation dictionary or learning materials for Japanese learners studying Korean language. Furthermore, the study hopes that the learner’ communication ability would improve further with the expansion of collocation researches on various learning levels targeting Japanese learners studying Korean langu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