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9 Download: 0

『세종한국어』 듣기 자료의 간접화행 실현 양상 연구

Title
『세종한국어』 듣기 자료의 간접화행 실현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atterns of Realization in the Indirect Speech Acts on Listening Materials of Sejong Korean : Focused on Responsive Speech Acts
Authors
배지홍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논문은 국외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실제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담화 상황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요인을 모색하던 중, 듣기 자료를 통하여 습득할 수 있는 화행 능력에 주목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전 세계 ‘세종학당’의 주 교재인 『세종한국어』의 듣기 자료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한국어의 담화 화용 요소 중, 『세종한국어』전권의 듣기 자료를 분석하여 간접화행의 실현 양상을 분석한 연구이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화행 전략의 사용과 그 빈도를 분석함으로 현재 국외에서 『세종한국어』를 교재로 사용하는 교원과 학습자에게는 화행 교육의 교수와 학습의 방향성을 제시해주며, 더 나아가 앞으로의 교재 개발에 본 연구의 분석이 유의미한 근거 자료로 사용되고자 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Ⅱ장은 본 연구를 실행하기에 앞서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선행된 연구들을 고찰하고,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서 언어 교육에서의 진정성이 있는 실제적 듣기 자료의 중요성과 더불어 화행의 정의와 간접화행의 정의, 응대화행의 정의를 정리하였다. 선행 연구로는 두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그 첫 번째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화행 연구와 간접화행 연구, 응대화행의 선행된 연구들이며, 다음으로는 ‘세종학당’과 『세종한국어』의 연구 현황을 고찰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의 이해를 돕기 위해‘세종학당’의 설립 배경과 『세종한국어』의 구성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 『세종한국어』 듣기 자료 중, 담화의 응대화행에서 사용하는 사용 전략을 분석하여 응대화행 전략에 따른 간접화행의 실현 양상을 첫 번째 연구 문제로 도출하였다. 또한 세 가지 상황 변인과 세 가지 발화자 변인에 따른 응대화행 전략과 그에 따른 전략 사용 및 간접화행 양상을 두 번째 연구 문제로 도출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선정과 함께 연구의 설계와 절차 과정을 순차적으로 기술하고, 분석하는 대상의 자료와 대상 자료 선정 기준 및 분석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분석 대상 교재는 ‘세종학당’의 주 교재인 『세종한국어』전권이며, 분석 대상 자료는 『세종한국어』듣기 자료 중 최소 5개 이상의 대화쌍이 있어 대화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듣기 자료의 담화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대상 담화에서 담화의 대화쌍을 발화 문장으로 세분화하여 응대화행 발화 문장의 전략 분석과 전략에 따른 간접화행 실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선별된 간접 응대화행 발화 문장은 한국어 교육 전공자와 한국어 교원 3명과 함께 논의하여 추출하였다. 응대화행 전략 분석의 기준은 반응요구화행과 전달목적화행으로 축소시킨 자극화행에 따른 응대화행을 16가지의 전략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변인에 따른 분석의 기준을 상황 변인과 발화자 변인으로 나누었으며, 그 기준으로 출현 된 전략과 간접화행 양상을 분석하였다. 세 가지 상황 변인은 격식성(격식/비격식), 힘의 차이(S < H, S = H, S > H), 친밀도(소원/친밀)이며, 발화자 변인은 성별(남/녀), 모어 화자와 비모어 화자(L1/L2), 존댓말과 반말이다. Ⅳ장에서는 연구 분석의 결과로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응대화행에서 사용된 전략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간접화행의 분석 결과를 전체분석과 교재별 분석, 초급과 중급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고, 두 번째 연구 문제인 변인에 따른 응대화행의 전략 사용과 함께, 간접화행의 양상을 상황 변인과 발화자 변인에 따라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연구자의 논의로 마무리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전체적인 결론을 내리면서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 제한점과 제안점, 그리고 앞으로 이어질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This study start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ability of pragmatic competence of listening materials while I was searching how Korean learners in other countries communicate smoothly with Korean native spea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ality actualization of indirect speech acts of listening materials of the complete set of Sejong Korean, the main textbook of King Sejong Institute around the world. The construc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n chapter Ⅰ,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research were written. By analyzing the use and frequency of speech acts strategies, it presents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s for speech acts education to teachers and learners who use Sejong Korean as textbooks.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the analysis of this study as a meaningful material to development of textbook in the future.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and the preceding studies were examined before the study.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problem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was derived. First of all, the definition of speech acts, indirect speech acts, and responsive speech acts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authentic listening materials in language education is summariz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evious study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is the precedent study of the speech acts, indirect speech acts, and response speech ac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ext, the research status of King Sejong Institute and Sejong Korean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King Sejong Institute and the composition of Sejong Korean were examined together to help comprehend this study.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s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research, the usage strategy used in responsive speech acts among the listening materials of Sejong Korean was analyzed and the realization pattern of the indirect speech acts according to the strategy of responsive speech acts was found as the first research subject. Also, the strategy of responsive speech acts, the use of this strategy and the modality of indirect speech acts according to three contextual variables and three speaking variables were derived as the second research subject. Chapter III described the study method. The design and procedure of the study with the selection of the subject were described sequentially. The target data to be analyzed, selection criteria of it, and analysis method were described. The texts to be analyzed are belong to the complete set of Sejong Korean, which are the main textbooks of King Sejong Institute, and the concrete data are conversations in the listening materials of Sejong Korean which have at least five dialogues to be easy to comprehend the conversational situation. In the target conversations to be analyzed, the dialogue pairs of the conversations were divided into the utterance sentences and analyzed by the strategic analysis of the utterance sentence of responsive speech acts and the modality of indirect speech a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Selected utterance sentences of indirect responsive speech acts were extracted through discussions with thre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s or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responsive speech acts according to stimulative speech acts reduced to responsive requiring speech acts and presentation purpose speech acts were classified into sixteen strategies as criteria for analysis of responsive speech acts strategies.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variables was based on the situation variables and the speaker variables, and its strategy and modality of indirect speech acts were analyzed. The three kinds of situation variables are the formality (formal or informal), difference of power (SH) and intimacy (estranged or familiar), and the speaker variables are gender (masculine or feminine), native vs. non-native speakers (L1 or L2) and polite and impolite language. In Chapter IV, as a result of analysis, the strategy used in responsive speech acts, the first subject of the study,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ndirect language were presented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whole analysis and textbook analysis, and between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 The second research subject, the use of the strategi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atterns of the indirect speech acts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the situation and the speakers, were summarized and concluded with the discussion of the researchers. Finally, in Chapter Ⅴ, coming to the overall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nd the proposal for future studies were describ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