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0 Download: 0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고등학교 과학 교과 어휘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안

Title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고등학교 과학 교과 어휘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for High School Science Subject Vocabulary for Immigrated Adolescents
Authors
박나래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논문은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한국어 학습을 돕기 위한 고등학교 과학 교과 어휘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차 산업혁명에 주목하고 있는 요즘 시대에 모바일기기 없이는 살아가기 힘든 현실이다. 일상생활과 관련된 모든 것은 모바일기기와 연관되어있는 만큼 한국어 교육 분야를 포함한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모바일 기반 학습 콘텐츠에 주목하고 있다. 이동성이 편하고 스스로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학습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한국어 어휘 학습에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을 통해 어휘 학습의 중요성과 어휘 학습에 효과적인 교수법으로 알려져 있는 내용 중심 접근법(CBI)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어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대상인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 학문 목적 어휘 교육, 그리고 한국어 교육에 적용한 애플리케이션의 현황을 알 수 있었다. 생활한국어와는 다른, 학습한국어에 대해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많은 혼란을 겪고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 속에서 한국어 교육에서는 한국어 어휘 학습을 위한 모바일 콘텐츠를 내놓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상 모바일 콘텐츠는 어휘 학습에 가장 적합하며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어휘 학습은 가장 핅수적이기 때문이다. 애플리케이션을 과학 교과 어휘 학습에 적용하기 위해 단계별로 수정과 보완이 가능한 안재린(2013)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모형을 따랐고 이지선, 최재혁(2012)의 교수 설계 방향을 기초로 하여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이 제공되는 전체적인 학습 흐름도를 제시하였다. 어휘 선정에 있어서는 최은혜(2016)의 자연과학계열 빈도순 기본 어휘 목록과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를 가지고 어휘 학습과 어휘 학습 활동에 적용하였다. 최은혜는 5년간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문제지와 편수 자료, 사고도구어를 비교하여 과학 과목별(물리, 화학, 생명과학) 어휘 목록을 추출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중등 6년 과정의 학습을 평가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중도입국 청소년이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어휘들이다. 특히, 중등 교과과정과 연계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었다. 과학 교과 어휘 학습용 애플리케이션의 전체적인 구성은 학습 흐름도에 따랐고, 내용 중심 접근법을 적용한 어휘 학습, 어휘 학습에 효과적인 활동들(의미 고르기, 숨은 어휘 찾기, 연관어 찾기, 빈칸 채우기)을 중심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전체적인 예시를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application development to give aid to immigrated adolescents(Korean as a Second Language learners) who attend Korean high school, learning science subject terminology. It is a reality that it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to survive without mobile devices living in the current tid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everything related to daily life is related to mobile devices, mobile learning contents are also focusing on the fields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including Korean education. Due to the benefits of mobile which is user-friendly and offers self-learning function, mobile application for learning was applied to learning Korean vocabulary.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identified the Content-Based Instruction(CBI) which is the basis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vocabulary learning. By examining the preceding research, Korean education for immigrated adolescents, who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vocabulary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have been identified.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application which applied Korean education has been examined.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came to Korea following their parents learn practical Korean language in Korea and then enter Korean school. However, since the classes taught in academic Korean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in practical Korean, learners are likely to experience many confusion and difficulties in school lif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number of studies are currently launching mobile contents for learning Korean vocabulary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application, mobile content is best suited to vocabulary learning, and vocabulary learning is most essential when it comes to learning foreign language. The application follows a development model which can be revised and complemented step by step. Based on the instructional design directions of Lee Ji-Seon and Choi Jae-Hyuk(2012), it also offered a learning flow chart which cultivates self-directed learning and offers instantaneous feedback. Scientific vocabulary utilized to application for learning science subject vocabulary referred to the list of frequency-based basic vocabulary by Choi Eun-Hye(2016) and the high school integrated science textbook. Learning contents involve effective examples of vocabulary learning by enabling students to effectively learn vocabulary through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finding meaning, hidden vocabulary, finding related vocabulary, and filling in the blanks) and vocabulary learning which applied content-oriented instruction, showing a number of specific exampl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