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지은-
dc.contributor.author정은이-
dc.creator정은이-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30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30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4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47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19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및 휴학 중인 대학생 33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오프라인 및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 및 극단 값을 제외한 323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각 변인들 간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검증을 통해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 유능성, 내현적 자기애 성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상관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대인관계 유능성, 지각된 사회적 지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반면, 대학생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대인관계 유능성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사용을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부정정서에 대한 대처방식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사용에 영향을 미쳐 부정정서를 심화시키고, 이는 대인관계 상황에서 유능성을 발휘하게 하는데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사회적 지지의 지각 수준을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진 대학생들이 자신이 받고 있는 사회적 지지를 정확하게 지각하지 못하고 왜곡하게 하여 부정적인 자기평가를 내리게 함으로써 대인관계 상황에서 유능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회피하거나 미성숙한 형태로 반응하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를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는 모형을 설정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사회적 지지를 낮게 지각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주어진 상황에 대해 유연하게 받아들이고 대처할 수 있는 인지적 기제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사용 가능성을 줄어들게 하여 대인관계 상황에서 경직된 방식으로 행동하게 함으로써 유능성을 발휘할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성격적 특성이 적응적인 자기발전의 원동력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사회적 지지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라는 긍정적 인지 변인을 바탕으로 통합적인 검증을 하였다는 것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삶의 전환기에 있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사회문화적 자원을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작업이 인지적 개입에 선행하였을 때 보다 용이한 개입이 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진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상담 및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self-report offline and online survey were conducted with 338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in Korea.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total of 323 data, excluding the unreliable response and extreme values. Thereafter,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four variables were analyzed via bootstrapping verification with SPSS PROCESS macro.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four key variables. As a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inte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covert narcissism,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pecifically, covert narcissism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verified. This means that covert narcissism affects the use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hich is coping method for negative emotions, and deepens negative emotions. Then it may act as a risk factor in the performanc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Thir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verified. This means that university students with covert narcissism may not perceive their social support accurately, furthermore distort of it. And this can cause negative self-evaluation of themselves. This can be shown as not bringing out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in the interpersonal situations by avoiding interpersonal situations or acting immaturely. Fourth,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verified. In other words, the covert narcissism can influence on lowering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at may reduce the likelihood of using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hich is a cognitive mechanism that can flexibly accept and cope with a given situation. Then the low possibility of using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ay reduce the likelihood of showing interpersonal competence by acting rigidly within interpersonal situations. This study is relevant as verified integrally, comprehensively on positive cognitive variables such a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considering that the personality traits of covert narcissism can serve as the driving force for adaptive self-development.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covert narcissism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is sequential double mediated by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t is significant to suggest that helping the university students at a turning point in their life to recognize and utilize of social and cultural resources is a facile intervention to use in advance of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hich is a cognitive protection factor.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developing effective consulta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in the counseling field, to help improving interpersonal compet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covert narcissis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C. 연구모형 7 Ⅱ. 이론적 배경 8 A. 내현적 자기애 8 1. 자기애의 두 가지 양상: 내현적 자기애와 외현적 자기애 8 B. 대인관계 유능성 11 1. 대인관계 유능성 11 2.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 13 C.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15 1.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15 2.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내현적 자기애 성향, 대인관계 유능성 18 D. 지각된 사회적 지지 20 1. 지각된 사회적 지지 20 2.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내현적 자기애 성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대인관계 유능성 23 Ⅲ. 연구방법 27 A. 연구대상 27 B. 측정도구 28 1. 내현적 자기애 척도 28 2.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28 3.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 29 4.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29 C. 연구절차 30 D. 자료분석 31 Ⅳ. 연구결과 32 A. 연구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및 상관분석 32 1. 연구 변인들의 기술통계 32 2. 연구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34 B. 매개효과 분석 37 1.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37 Ⅴ. 결론 및 제언 41 A. 요약 및 논의 41 1. 내현적 자기애 성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 41 2.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42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5 참고문헌 48 부록 56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05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University Students :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dc.format.pagevi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