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9 Download: 0

만 3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Title
만 3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ction Research for Operation Plan of Block Play for 3 year-old Children's Class
Authors
홍서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block play by seeking proper operation plan for interest and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3 year-old class, and examine the reaction of children and teacher. The research problems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are as below. 1. What is the operation plan of block play for children from 3 year-old class? 2. What is the reaction of children and teacher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plan of block play for children from 3 year-old clas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a 3 year-old class consist of 22 children from Somang class, 2 teachers and 1 assistant teacher including researcher of Midum Kindergarten, a university attached kindergarten in Seoul. To establish an operation plan of block play for the children, the study inspected process of play of children and block contents images, curriculum and environment plan of 3 year-old class from 2015-2017 semester to analyze the problems.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January 15 to June 1 2018, and conducted a measure to operate block play appropriate for interest and development of 3 year-old children. Th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of recognizing problem of block play of 3 year-old Somang class, seeking resolution, first execution, first evaluation, second resolution seeking, second execution, second evaluation, third resolution seeking, third execution and evaluation of first, second and third execution.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e study used video recording, photograph, brief sketch and interview with staff to create field note for data collection, collected curriculum plan and research journal, categorized it and encoded to analyze by each research problem. The study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study prepared and executed an effective operation plan of block play for 3 year-old children. The study sought resolutions such as supporting play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 of block play of children, creating environment to promote block play, supporting block play reflecting on individual student and entire class, and supporting block play utilizing the space and toy flexibly. The first execution plan focused on creating environment to support block play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al stage and promote block play of children at the beginning of year. For the characteristics of 3 year-old class, the study set direction of play support of teacher, and conducted individual play support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al stages of block play of children. Also, to create a play environment promoting block play of children, the study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types, number of toy, and operation measure for play ground. As the result of first execution, the necessity to seek measures to support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low interest to block game was indicated. Thus, in second execution, a support for block play reflecting the interest of individual and all children was included. Specifically, the study conducted making simple goods using blocks, supporting block play using color and shape, and making blocks after listening to a story. As the result, it indicated the necessity to support children to utilize the space and toy flexibly. Thus, in third execution, the study supported block play connected to other field of interests such as number, control, figures and role playing based on the evaluation on second execution. Second, as for the children's reaction on effective operation of block play for 3 year-old children, there was improvement of building skill and block composition skill, increase of composition play and symbol play, flexible use of toy and class room space, and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skill through play. As for the teachers, it became a cause of understanding significance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play, improving teach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al stages of block play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nd improvement of interaction skill.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not only suggested the necessity to seek operation plan of block play for 3 year-old class children but also suggested a operation plan of block play in accordance with interest and development of childre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to plan, organize and conduct free option activity to teachers in the field and operate them effectively. ;본 연구는 만 3세 학급 유아의 흥미와 발달에 적합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이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3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3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대학부속유치원인 믿음유치원 만 3세 학급에서 실시되었으며 연구 대상은 소망반 유아 22명과 연구자를 포함한 담임교사 2명, 보조교사 1명이다. 만 3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의 운영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2015-2017학년도의 만 3세 학급 교육과정과 환경구성안, 유아들의 놀이 과정 및 블록 구성물 사진을 점검하여 운영의 문제점을 분석했다. 연구 기간은 2018년 1월 15일부터 2018년 6월 1일까지이며 만 3세 유아의 흥미와 발달에 적합한 쌓기놀이 운영을 위한 방안을 실행했다. 연구는 만 3세 소망반의 쌓기놀이 운영에 대한 문제점 인식 및 이에 따른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3차 방안 모색, 3차 실행, 1ㆍ2ㆍ3차 실행 평가의 순서로 실시되었다. 연구기간 동안 비디오 녹화, 사진, 현장 약기와 동료교사 면담 및 협의를 현장노트로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했으며 교육계획안, 연구자 저널을 수집한 후 이를 범주화, 부호화하여 연구문제별로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3세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영역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하였다. 연구자는 기존 쌓기놀이 운영에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학년 초 유아의 쌓기 수준을 고려한 놀이 지원하기, 쌓기놀이를 촉진할 수 있는 환경 조성하기, 개별 및 전체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쌓기놀이 지원하기, 공간과 놀잇감을 유연하게 활용하는 쌓기놀이 지원하기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1차 실행 방안은 학년 초 유아의 쌓기 수준에 따른 놀이를 지원하고 쌓기놀이를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만 3세 학급 특성에 맞게 교사의 놀이 지원 방향을 설정하였으며 유아의 쌓기 수준에 따라 개별적인 놀이 지원이 이루어졌다. 또한 유아들의 쌓기놀이를 촉진할 수 있는 놀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놀잇감의 종류와 수, 놀이 공간 운영 방식을 재고하고 수정ㆍ보완하였다. 1차 실행 결과 쌓기놀이에 관심이 적은 유아들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른 2차 실행에서는 개별 유아 및 전체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쌓기놀이 지원하기가 이루어졌고 구체적으로는 블록을 이용해 간단한 소품 제작하기, 색깔과 모양을 이용한 쌓기놀이 지원하기, 그림책 이야기 듣고 쌓기놀이로 표현하기를 실시하였다. 2차 실행 결과 유아들이 공간과 놀잇감을 유연하게 활용하여 놀이하도록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3차 실행에서는 2차 실행의 평가를 바탕으로 수ㆍ조작 영역, 조형 영역, 역할놀이 영역 등 다른 흥미영역과 연계한 쌓기놀이 지원이 이루어졌다. 둘째, 만 3세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영역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따른 유아들의 반응은 쌓기 기술과 블록 구성력의 향상과 구성놀이 및 상징놀이의 증가, 놀잇감과 교실공간의 유연한 사용, 놀이를 통한 문제해결력 향상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에게는 놀이를 통한 교수학습에 대해 중요성 인식과 유아의 쌓기 수준과 발달에 따른 교수법과 상호작용 능력 신장의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만 3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유아들의 흥미와 발달에 따른 쌓기놀이 운영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에게 자유선택활동을 계획ㆍ조직하여 실행하는데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