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4 Download: 0

만 4세 학급의 역할놀이 영역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Title
만 4세 학급의 역할놀이 영역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for Activation of the Role Playing Area of 4 Year Olds
Authors
최승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순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4세 학급 역할놀이 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활성화 방안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4세 학급 역할놀이 영역 활성화를 위한 실행방안은 무엇인가? 2. 역할놀이 영역 활성화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희망유치원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만 4세 하늘반 유아 11명과 하늘반 교사 1명이다. 하늘반의 역할놀이 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실행방안을 수립하고자 학급의 교육과정 분석 및 평가, 교사 저널을 통해 지금가지 운영해왔던 역할놀이 영역의 운영에 대해 점검하고 문헌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1월 12일부터 5월 31일까지이다. 연구절차는 하늘반의 역할놀이 영역 운영에 대한 문제 인식 및 이에 따른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및 2차 실행방안 모색,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및 최종 평가 순으로 실시되었다. 역할놀이 영역 활성화 방안은 사진 및 동영상, 음성 녹음, 현장약기로 기록하고 현장노트를 작성하여 수집하였다. 이외에도 교육계획안, 연구자 저널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범주화 및 부호화하여 연구문제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세 학급의 역할놀이 영역 활성화를 위하여 유아중심의 역할놀이 영역 운영하기, 역할놀이 5단계 전개과정 실행하기, 교사의 유능성 증진하기로 체계를 수립하고 그에 따른 활동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여 실시하였다. 1차 실행에서는 유아중심의 역할놀이 영역을 운영하기 위해 유아의 다양한 의견 반영하기와 이야기 나누기를 통해 함께 의견나누기를 실행하였다. 역할놀이 5단계 전개과정을 위해 놀이 환경과 놀잇감을 충분히 탐색하고 다양한 상황과 역할, 소품으로 놀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의 유능성 증진을 위해서는 역할놀이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를 기르고 준비, 관찰, 참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1차 실행 평가를 통해 놀이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는 것, 유아들이 놀잇감을 더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 여아들도 역할놀이에 흥미를 느끼게 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2차 실행 방안을 계획하였다. 2차 실행에서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변경하여 유아들에게 충분한 놀이 시간을 제공하였으며,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였고, 모든 유아들의 참여를 이끌기 위한 방안을 진행하였다. 둘째, 만 4세 학급의 역할놀이 영역 활성화를 위한 연구를 통해 유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유아들은 역할놀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 하였으며, 다른 흥미 영역의 놀이도 활성화 되었다. 또한 표상능력 및 표현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태도가 증진되었다. 교사의 경우에는 역할놀이에 대한 신념을 재정립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유아 주도적인 놀이 지원 능력이 향상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measures to vitalize the role playing of 4 year-old class, implement it, and examine the reaction of children and teacher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 The research problems set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re as below. 1. What is the implementation measure for vitalization of role playing of 4 year-old class? 2. What is the reaction of children and teacher in accordance with vitalization of role playing? This study was conducted by Huimang Kindergarten in Seoul, subjecting 11 children and 1 teacher in Hanul class, the 4 year-old class. To establish a measure to vitalize the role playing of Hanul class, the study conducted analysis, review on curriculum, and operation of role playing until present and conducted literary review. The research period is from January 12 to May 31, 2018. The study procedure includes seeking resolution, first implementation, first evaluation, seeking second implementation measure, second implementation, second evaluation and final evaluation. The implementation measure of role playing was recorded in picture, video, voice and written record, and created at site note. Other than this,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curriculum, research journal which were categorized and encoded for analysis by each research problem. The study results are as below. First, to vitalize role playing of 4 year-old class, the system to implement children-oriented role playing, 5 steps of role playing and improve competence of teacher was established and prepared relevant activities specifically. At first implementation, to operate children-oriented role playing, the study conducted reflecting various opinion of children and sharing opinion of children. For 5 steps of role playing, the study fully explored environment and toys to enable role playing in various situation, roles and props. To improve competence of teacher, the teacher conducted role as a preparation, observer and participator and cultivated knowledge, technique and attitude regarding role playing. The first evaluation indicated there is a need to provide enough play time, to let children use more props, and to let girls feel more interested in role playing, which led to planning of second implementation measures. In second implementation, the free activity time was revised to provide more play time to children, provided more diverse material, and led all children to participation. Second, as for the influence of vitalization of role playing in 4 year-old class to children and teacher, the children showed more tendency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playing, and vitalized interests to other playing. Also, their expressive and creative ability improved, along with improved attitude to solve problems. As for the teachers, they tried to reestablish the idea about role playing, and showed improvement in supporting children-oriented play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