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보영-
dc.contributor.author김민지-
dc.creator김민지-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26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26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0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03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166-
dc.description.abstract[Introduction] The diabetic foot ulcer is a difficult area for clinical treatment due to the abnormal wound healing mechanisms. Therefore, preventing complications through conservative treatment with proper dressing material for the chronic wound with bone exposure is an important part in the initial treatment.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acellular dermal matrix (ADM) using cadaveric dermis has been effective on diabetic chronic wounds but was costly with difficulty in application of solid forms in practice. This study demonstrates an experimental evidence for the effect of morphologic variant form of ADM on diabetic chronic wound and investigates how this deformation acts on wound healing mechanisms. [Method and materials] A chronic wound model containing 1x1 cm2 calvarial bone exposure was established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aterials: CONTROL, ADM, and PASTE. In order to include the concept of chronicization, experimental groups we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as T1 (Postoperative 14 days) and T2 (Postoperative 30 days). In the first stage of the experiment (n=33), the treatment effect was quantified by using a 3D camera. In the second stage (n=22), periodic tissues were taken and examin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electron microscopy. In the third stage (n=8), mRNA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associated with tissue remodeling process was examined by real 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Results] Total wound treatment effect in PASTE is not inferior to ADM. In terms of bone exposure area, PASTE rapidly reduced bone-exposed sites in early phas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showing a late appearance of collagen scaffold in PASTE group. The PASTE group showed similar level of VEGF-α, TGFβ1, however, low levels of IL-1β and and Procollagen I expression with relatively higher levels of EGF and EGFR mRNA expressions. [Conclusions] The morphologic variant of ADM shows compatible treatment rate in entire wound and reduced the initial bone exposure area more quickly. The difference became apparent in the late collagen scaffold deposition. The transformation of ADM into pulverized form is thought to affect chronic tissue regeneration through extended contact area with mechano-chemical interaction is assumed as increased epidermal growth factor as main factor in healing mechanism.;[연구목적] 당뇨병성 족부 창상은 비정상적인 치유 기전으로 인하여 임상적 치료에 어려움이 있는 분야이며, 뼈 노출된 만성 창상의 경우에는 적절한 드레싱 재료를 이용한 보존적 치료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초기 치료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 카데바 진피를 이용한 acellular dermal matrix (ADM)가 당뇨병성 만성 창상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비싼 비용 및 고형화 형태는 실질적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DM 의 Paste 형태로의 변형 물질을 이용하여, 이 제형이 기존에 보고된 ADM 만큼의 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얻고자 하였으며, 형태학적 변형이 창상 치유 기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streoptozocin 에 의한 당뇨유발 쥐에서 1x1cm2 의 두개골 노출을 포함한 창상모델을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군은 창상 치료 방법에 따라 CONTROL, ADM, PASTE 세 군으로 구분하였으며, 만성화의 시간적 개념 포함을 위하여 T1(수술 후 14 일), T2(수술 후 30 일) 의 두 군으로 재 구분하였다. 1 단계 실험(n=33)에서는 3D 카메라를 이용하여 재료별 치료 효과를 정량 측정하였으며 2 단계 실험(n=22)에서는 시기별 조직을 채취하여 면역조직화학 검사 및 전자 현미경 검경하였다. 3 단계 실험(n=8) 에서는 real time q-PCR 이용하여 발현 단백질 및 mRNA 을 조사하였다. [결과] PASTE 는 ADM 과 비교하여 전체 창상 면적의 치료에 대하여 치유 효과가 열등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뼈 노출 창상 면적의 치료에 있어서는 우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학적 분석 결과에서는 보다 늦게 시작된 PASTE 군의 Collagen 합성을 확인할 수 있다. 기전 분석에 있어 PASTE 군은 ADM 군과 비슷한 VEGF-α, TGFβ1 수준을 보인다. 하지만 낮은 IL-1β, Procollagen I 을 보이는 반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EGF, EGFR 단백질 발현을 보였다. [결론] 형태학적 변형된 인조 진피 치료는 ADM 과 비교하여 열등하지 않은 치료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뼈 노출 면적에 대하여는 분쇄형태가 ADM 보다 초기에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데 기여한다. 물리적 변형은 보다 후기에 콜라젠 발판을 마련하여 창상 수복을 개시하게 되며, 낮은 압력 및 접촉 면적의 증가와 함께 기계 화학 변형을 통한 표피 성장 인자 증가에 기여하게 되며 만성화 조직 재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 A 연구의 필요성 1 I. B 연구의 목적 4 II 연구방법 5 II. A 연구 설계 5 II. B 실험 모델 7 II. C 3D 카메라 분석 10 II. D 조직 병리 분석 13 II. E 면역 화학 분석 15 II. F 전자 현미경 현미경 분석 - 15 II. G Real Real-time qtime qtime q time qtime qPCR PCR 분석 16 II. H 통계적 검증 18 III 연구결과 19 III. A 3D 3D 카메라를 카메라를 이용한 이용한 창상 치유 정량화 정량화 분석 결과 19 III. B 조직학적 조직학적 분석 결과 26 III. C 면역 조직 화학 분석 결과 33 III. D 전자 현미경 현미경 분석 결과 41 III. E 창상치유 창상치유 조직의 조직의 mRNA mRNA mRNA mRNA mRNA 발현 분석 결과 42 IV 고찰 43 V 결론 54 VI 참고문헌 55 국문 초록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874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The effect of morphologic variant of acellular dermal matrix in diabetic wound model-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당뇨병성 창상 모델에 있어 무세포 진피 기질의 형태학적 변형이 미치는 영향-
dc.creator.othernameKim Min Ji-
dc.format.pageviii, 61 p.-
dc.contributor.examiner강소라-
dc.contributor.examiner김한구-
dc.contributor.examiner박보영-
dc.contributor.examiner신상진-
dc.contributor.examiner임재향-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