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 미희-
dc.contributor.author홍오한-
dc.creator홍오한-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11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11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1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10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08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역사교육의 목적을 민주 시민 양성으로 설정한다면, 중학교 <역사> 수업에서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수업은 어떻게 구성될 수 있을까라는 문제제기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한국 현대사는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지난한 민주화 운동의 과정이었고 이런 현대사를 학습하는 과정은 학생들이 민주주의 의식을 성장시키는 데 좋은 수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중학교 <역사> 수업 내용에서 한국 현대사의 민주화 운동 중 ‘6월 민주 항쟁’ 수업 방안의 개발 및 수업 실행을 통한 학생들의 의식 조사를 바탕으로 중학교 <역사> 수업에서 민주화 운동사 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민주주의 의식 성장을 살펴보려 한다.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가장 배우고 싶어 하고,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는 한국사 시대는 현대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수업이 구성되어지고 있다. 또한 역사교육의 목적을 단순한 사실과 지식 암기가 아닌 비판적 사고력의 향상을 통한 민주주의 시민 양성으로 설정한다면, 한국 민주화 운동사 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민주주의 훈련은 반드시 필요한 수업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민주화 운동사 중 새로운 전환점을 세운 ‘6월 민주 항쟁’에 대해 수업 방안을 세워 실행하였다. 수업 방안은 기존 학계의 연구, 2009 개정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의 분석, 그리고 2009 교육과정 검·인정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수업 전 의식 조사를 바탕으로 설계되었다. 설계된 수업 방안으로 수업을 실행한 후 학생들의 ‘6월 민주 항쟁’, 민주주의에 대한 의식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중학교 <역사> 수업에서의 민주화 운동사 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민주주의 의식 성장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기존 학계의 ‘6월 민주 항쟁’에 대한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이후 2009 개정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과 검·인정 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한다. 여기에 학생들의 수업 사전 설문 조사를 통한 의식 조사를 더하여 수업 방안을 설계하고, 수업을 실행한 후 수업의 효과 분석으로 구성된다. 설계된 수업 방안에 따른 학생들의 ‘6월 민주 항쟁’, 그리고 나아가 민주주의에 대한 의식의 성장이라는 효과를 분석하면서 중학교 <역사> 수업에서 민주주의 교육 수업에 대한 제언을 한다. 본 논문은 한국 현대사 영역, 특히 그 중 민주화 운동의 영역에 대한 수업 방안을 민주주의 의식 성장의 관점에서 개발하고 실행했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수업이 1회성이라는 한계가 있지만, 이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한국 현대사의 민주화 운동사에 대한 맥락적 이해, 민주주의를 위한 지속적 노력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하며, 이를 위한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하는 역사 수업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urvey of students' consciousness in the history of middle school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class plan for‘The June Democratic Movement' in Korea's modern history. And another aim is to monitor the growth of students' sense of democracy through education on the history of democratization in middle school. According to one survey, the Korean history era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ost want to learn is modern history. Nevertheless, there are classes at school that do not meet the needs of the students. In addition, if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set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power rather than memorizing facts and knowledge, then the education of students through the history of Korean democracy movement is necessary. This study was done by establishing and conducting a class plan for‘The June Democratic Movement', which set a new turning point for the democratic movement in Korea's modern history. The school plan was designed based on research by existing academic study, analysis of history education courses in the revised middle school in 2009,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history textbooks, and a pre-class survey of students. After the class was implemented with this class plan, the changes in students' consciousness and sense of democracy are compared. Then a suggestion about the growth of democratic consciousness of students is offered through education of democracy movement in middle school history class.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First, the research of‘The June Democratic movement' by the existing academic studies are reviewed. Second, the revised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and contents are examined. Then the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is conducted. Through all the previous research, a class plan about ‘The June Democratic movement' is designed and conducted. After class execu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class plan is analyzed.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mote a contextual understanding in Korea's democratic movement history, and to convince the students of the importance of sustained effort for democracy. Also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students with history classe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skil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4 C. 연구 내용 및 방법 5 Ⅱ. 연구를 위한 기본적 검토 7 A. 6월 민주 항쟁에 대한 학계의 연구 검토 7 B.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의 목표 및 내용 22 Ⅲ.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6월 민주 항쟁분석 25 A. 현대사 단원 구성과 소단원의 학습 목표 25 B. 6월 민주 항쟁 내용 분석 28 Ⅳ. 6월 민주 항쟁 수업 방안의 설계와 효과 36 A. 수업 전 설문 조사 36 B. 수업 방안 39 C. 수업 실행 43 D. 수업 효과 48 Ⅴ. 결론 및 제언 52 참고문헌 54 부록 1. 수업 전 설문조사 설문지 및 응답 결과 57 부록 2. 교수학습 지도안 61 부록 3. 1987년 6월 그들은 (인물카드) 64 부록 4. 제시 사료 70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24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중학교 <역사> ‘6월 민주 항쟁’ 수업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lass plan on ‘The June Democratic Movement' in middle school history-
dc.creator.othernameHong, Oh han-
dc.format.pagevi, 76 p.-
dc.contributor.examiner차 미희-
dc.contributor.examiner오 영찬-
dc.contributor.examiner박 민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