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박지혜-
dc.creator박지혜-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56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56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4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48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998-
dc.description.abstract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언어능력이 또래 아동에 비해 지체되어있으며, 형태통사적(morphosyntax)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Rice et al., 1999; Tomas et al., 2017). 이들의 언어발달의 어려움은 학령기에 들어서 언어학습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에(Nippold, 2017)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언어를 사고의 대상으로 다루며, 언어의 구조적 속성이나 특성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Tunmer & Herriman, 1984)하는 메타언어인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문법과 관련한 문법인식(grammatical awareness)을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문법인식은 6-8세에 이르러야 가능하며(Kamhi, 1987; Kamhi & Koenig, 1985; Smith & Tager-Flusberg, 1982), 학령기 이후로도 계속 발달한다(Cain, 2007; Deacon & Kieffer, 2018; 정부자, 2016). 문법인식은 문법 단위에 따라 형태소인식(morphological awareness)과 구문인식(syntactic awareness)으로 나눌 수 있는데(Tong et al., 2013), 한국어의 연결어미는 그 쓰임에 따라 형태론, 통사론 모두에서 다뤄질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남기심, 2001; 이봉원, 2015). 연결어미는 종류가 다양하고 수가 많으며, 문장을 연결할 때 쓰여 복문을 만들거나 의미론적으로 이야기를 응집성 있게 전개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문법형태소이다. 보다 복잡한 구문을 사용하고 학습을 위한 읽기를 시작하는 학령기에 연결어미를 메타언어적으로 인식하고 조작하는 연결어미 인식 능력은 연결어미에 관한 지식과 실질적인 사용 및 구문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어미를 대상으로 하는 문법인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본적인 한국어의 구문지식이 습득되었고 문법인식이 지속적으로 발달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연결어미 인식 능력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집단과 연결어미 유형(대등적 연결어미, 종속적 연결어미), 연결어미 인식 과제 유형(변환, 판단, 수정, 배열)에 따라 연결어미 인식 능력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과제에 따른 연결어미 인식 능력과 어휘력, 구문이해능력, 구문산출능력 간의 상관관계 및 예측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집단 간 연결어미 인식 과제 유형별 오류유형 양상을 비교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1-3학년 단순언어장애 아동 16명, 생활연령과 성별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6명, 총 32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연결어미 유형, 연결어미 인식 과제 유형에 따른 연결어미 인식 능력을 분석한 결과, 집단, 연결어미 유형, 연결어미 인식 과제 유형에 따른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연결어미 인식 능력은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이고, 대등적 연결어미가 포함된 과제의 수행력이 종속적 연결어미가 포함된 과제의 수행력보다 높게 나타나며, 연결어미 인식 과제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연결어미 인식 과제 사후검정 결과 수정과제와 다른 과제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수정과제가 비교적 어려운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결어미 유형과 과제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하였으며, 변환과제, 배열과제에서 연결어미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과제에 따른 연결어미 인식 능력과 어휘력, 구문이해능력, 구문산출능력 간 상관과 예측 요인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연결어미 인식 능력과 구문이해능력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문산출능력에서만 상관이 나타났다.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은 수정과제의 수행력이 46.3%, 변환과제 수행력이 14.4%, 일반 아동 집단은 판단과제 수행력이 43.5%의 설명력으로 구문산출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는 구문능력에 어려움을 보이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특징이 문법인식 과제를 통해서도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집단 간 연결어미 인식 과제 유형별로 오류유형 양상을 분석한 결과, 과제에 따라 오류유형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더 많은 오류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결어미 인식 검사라는 메타언어적 형식의 하나인 문법인식으로 연결어미 인식능력을 평가하여 일반 아동과 다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구문능력에 어려움을 보이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문법인식 과제에서도 어려움을 보였기에 이들의 구문능력을 평가할 때 메타언어적인 인식도 확인해야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결어미 인식 검사를 학령기 아동의 구문능력을 평가하는 도구 중 하나로 활용할 수 있으며, 오류 분석 결과를 확인하여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능력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nective ending awareness ability of the early school-aged children who understood primary Korean sentence structure and continuously develop grammatical awareness. Also, this study compares the ability between the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ixtee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sixteen age- and gender-matched normal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children performed the standardized tests of language and nonverbal IQ and the connective ending awareness task, syntactic comprehension task, syntactic production task. The connective ending awareness task was analyzed by using a three-way mixed ANOVA. Correlation and prediction among connective ending awareness ability, vocabulary, syntactic comprehension ability, syntactic production ability were analyzed by using 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ed connective ending awareness ability h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groups and connective ending types, task types. The interaction between connective ending type and task type is significant. Additionally, differences between groups are reveal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yntactic production ability is significantly predicted by the performance of the correction and change tasks within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e performance of the judgement task taken by the normal children significantly predicts syntactic production ability. Also, types of error is different to the type of tasks. More types of error by tasks appear to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rather than the normal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arly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hows difficulty in the connective ending awareness ability. It is necessary to confirm grammatical awareness when the syntactic ability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s evaluated. And the results of the types of error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tervention of syntactic ability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정의 6 1. 단순언어장애 6 2. 연결어미 인식 능력 6 Ⅱ. 이론적 배경 8 A. 한국 아동의 연결어미 발달 8 B. 문법인식과 연결어미 11 C. 유형 및 의미관계에 따른 연결어미 16 1. 대등적 연결어미 16 2. 종속적 연결어미 17 Ⅲ. 연구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검사도구 22 1. 기초검사 도구 22 2. 본 검사 도구 23 C. 연구절차 29 1. 예비실험 29 2. 자료 수집 방법 29 3. 본 실험 30 D. 자료 분석 32 1. 연결어미인식 검사 32 2. 구문이해능력 검사 35 3. 구문산출능력 검사 35 E. 신뢰도 평가 36 F. 자료의 통계적 처리 37 Ⅳ. 연구 결과 38 A. 집단 간 연결어미 유형과 연결어미 인식 과제 유형에 따른 연결어미 인식 능력 분석 38 B. 집단 간 과제에 따른 연결어미 인식 능력, 어휘력과 구문이해능력 및 구문산출능력의 상관관계 및 예측 요인 분석 42 1.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 상관관계 및 예측 요인 분석 42 2. 일반 아동 집단 상관관계 및 예측 요인 분석 44 C. 집단 간 연결어미 인식 과제 유형별 오류유형 분석 46 1. 변환을 통한 연결어미 인식과제 오류 분석 46 2. 판단을 통한 연결어미 인식과제 오류 분석 49 3. 수정을 통한 연결어미 인식과제 오류 분석 51 4. 배열을 통한 연결어미 인식과제 오류 분석 54 Ⅵ. 결론 및 논의 58 A. 집단 간 연결어미 유형과 연결어미 인식 과제 유형에 따른 연결어미 인식 능력 분석 58 B. 집단 간 과제에 따른 연결어미 인식 능력, 어휘력과 구문이해능력 및 구문산출능력의 상관관계 및 예측 요인 분석 61 C. 집단 간 연결어미 인식 과제 유형별 오류유형 분석 63 D.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6 참고문헌 67 부록 72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23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초등학교 저학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연결어미 인식 능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nnective Ending Awareness Ability of the Early School-aged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dc.format.pagevi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