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4 Download: 0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다양성 수용도, 과업갈등과 팀 몰입 및 성취도의 관계에서 관계갈등의 매개효과

Title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다양성 수용도, 과업갈등과 팀 몰입 및 성취도의 관계에서 관계갈등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Conflict between Openness to Diversity and Task Conflict, and Team Commitment and Achievement in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Authors
정하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민
Abstract
오늘날 글로벌 시대가 요구하는 사회 인재상의 변화에 따라 대학 교육은 학문을 탐구하는 것 뿐 아니라 실무현장에 적합한 미래 인재를 양성해내야 하는 책무성을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기 위해 대학 교육은 여러 교육방법을 도입해왔으며 그 중 팀 프로젝트 학습은 교육 분야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받아왔다. 팀 프로젝트에 대한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지만 여전히 팀 프로젝트 학습 연구는 팀 프로젝트 성과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이끌어낼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적 측면에만 머물러있다는 한계가 지적되어왔다. 또한 팀 프로젝트 과정에서의 연구는 주로 기업 맥락에서 이루어졌으며, 대학 맥락에서의 팀 프로젝트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팀 프로젝트 학습이 수행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팀 프로젝트는 개인의 학습이 아니라 다른 학습자와 함께 수행해야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관계에 대한 부담을 동반한다. 팀 구성원이 팀 목표를 위해 상호작용을 하는 데 있어서 갈등은 필수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갈등은 팀 프로젝트 학습의 성공적인 경험에 있어서 방해 요소로 작용될 것이라고 사료되어왔다. 따라서 팀 프로젝트 학습 과정에 있어 갈등은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이러한 갈등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있어 교수자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갈등의 한 유형인 관계갈등을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여 다양성 수용도와 다른 유형의 갈등인 과업갈등이 팀 성과에 있어 가장 대표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는 팀 몰입과 성취도를 예측할 때 관계갈등이 매개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다양성 수용도는 대학 학습자 집단의 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최근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는 요소이다. 특히 사회 뿐 아니라 학교에서도 유학생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팀 내 다양성은 점점 확대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팀 구성원들이 얼마나 이질적인가의 문제를 넘어서 팀 프로젝트 중 이루어지는 다양한 의견교환에서 각 개인이 얼마나 서로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정도는 오늘날 대학 맥락에 있어 필요한 요인이라고 판단하였다. 영향력에 있어 일치된 결과를 보이지 않는 과업갈등과는 달리 관계갈등은 지속적으로 팀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부정적인 결과만을 보고해왔다. 초기 갈등 연구가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의 차별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와중 Simons와 Peterson(2000)가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의 상호작용 관계를 밝혀내면서 갈등 연구에서의 관점의 전환이 일어났다. Simons와 Peterson(2000)은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은 상호작용을 하며 이를 통해 과업갈등의 긍정적 측면은 관계갈등으로 변화가 되면서 부정적 효과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부분에서 최근에는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으로 발전하는 현상인 갈등전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갈등전이는 관계갈등이 과업갈등으로 진화(evolve)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을 발전하는 형태를 실증적으로 밝혀냈다. 또한 갈등전이에 대하여 초기에 제안한 Simons와 Peterson(2000)은 관계갈등이 선행이 되는 것은 역방향 전이라고 규명한 바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으로 이어지는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그러나 팀 내 학습자 간 개인적 관계가 팀 프로젝트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언한 정한호(2017)의 연구를 따라 팀 구성원의 개인적 관계를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팀 프로젝트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팀 몰입과 성취도를 성과변인으로 상정하였다. 팀 몰입은 팀 연구에 있어 가장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태도 변수이며 성취도 향상 및 중도이탈자를 방지하기 위한 자원이 된다는 점에서 팀 프로젝트 학습에 있어 의미있는 변인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성취도는 교수자 뿐 아니라 학습자가의 주요 관심사인 변인으로서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스스로가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는 방식인 인지된 성취도가 타당하게 측정 될 것이라고 사료되어 이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팀 프로젝트 활동 과정에 있어 관계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팀 프로젝트 학습 결과에 있어 이 따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팀 프로젝트 학습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 운영에 있어 교수자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바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다양성 수용도와 과업갈등이 팀 몰입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관계갈등이 매개역할을 하는가? 둘째,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다양성 수용도와 과업갈등이 성취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서 관계갈등이 매개역할을 하는가?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소재 A여자대학에서 2017년 2학기 계절학기에 개설된 팀 프로젝트 형 실천학습을 중심으로 강의가 진행되는 교양과목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90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자 및 이상치를 포함한 응답자(11개)와 갈등 역전이 상황을 통제하고 다양성 확보를 위해 팀 내 기존에 알던 팀원 수가 일정 인원 이상인 응답자(10개)를 제외하여 총 69개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8.0을 활용하였다. 통계적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효과분석 방법을 실시하여 관계갈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성 수용도과 팀 몰입의 관계에서 관계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관계갈등은 다양성 수용도와 팀 몰입 사이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업갈등과 팀 몰입의 관계에서 관계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관계갈등은 과업갈등과 팀 몰입 사이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성 수용도와 성취도의 관계에서 관계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관계갈등은 다양성 수용도와 성취도 사이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업갈등과 성취도의 관계에서 관계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관계갈등은 과업갈등과 성취도 사이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팀 프로젝트 맥락에서 다양성 수용도와 갈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성이 팀 프로젝트 수행에서 부정적인 요소라는 것은 검증되어왔지만 다양성 수용도의 영향이 긍정적일 것이라는 것은 주로 이론적으로 다루어져왔다. 특히 대학 팀 프로젝트 맥락에서 다양성 수용도는 주로 창의성과 논의되어왔지만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성 수용도가 성취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이 시사된 바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다양성 수용도가 팀 몰입과 성취도에 주는 영향을 규명하였을 뿐 아니라 그 관계에서 관계갈등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둘째, 다양성 수용도가 관계갈등의 매개효과를 통해서 팀 몰입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성취도에도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학 팀 프로젝트 맥락에서 다양성 수용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교 뿐 아니라 교수자로서 학습자가 다양한 학습자들과 함께 상호작용함으로써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수용에 대한 태도를 갖추게 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셋째,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으로 발전하는 갈등전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갈등연구에서 이론적 확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과업갈등은 관계갈등을 정적으로 예측하고 관계갈등이 팀 몰입과 성취도를 부적으로 예측함에 있어서 갈등이 역기능적 역할을 하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는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대학 팀 프로젝트 맥락에서 갈등 관리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넷째, 과업갈등은 팀 몰입과 성취도에 부분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관계갈등으로 이어져 결국 대학 팀 프로젝트 과정과 성과 모두에 역기능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교수자에게 과업갈등과 관계갈등 관리의 중요성은 물론 갈등전이를 약화시키기 위한 교수전략 계획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계절학기 강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을 뿐 아니라 인원에 상관없이 팀 구성이 이루어졌다. 또한 인지된 성취도의 객관성 확보에 있어서 한계가 있으므로 이와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정규학기 강의에 적용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Baron과 Kenny(1986) 매개효과분석 방법 뿐 아니라 구조방정식과 같은 다른 매개효과분석 방법을 통해 관계갈등의 매개효과를 재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각 변인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셋째, 종단적 연구를 진행하여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의 관계를 보다 구체화하고 타당화 할 필요성이 있다. 갈등전이가 이루어질 때 갈등전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후속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대학 팀 프로젝트를 운영할 때 교수자에게 보다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대학 팀 프로젝트 맥락에서 유학생의 수행 과정을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척도 개발 및 직접관찰이나 인터뷰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the model of talented people for global society changes, universities are being demanded with responsibilities to cultivate people who are prepared in the workplace. To fulfill this need, universities have applied several educational methods. Among them, team-based learning has received constant attention. Although, research on team-based learning has been conducted in many educational fields, still it is blamed for focusing solely on how to make students’ achievements effectively. In addition, studies on how project proceeds were conducted mostly in companies so that studies or discussions on this topic are insufficie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ttempt to focus on the process of team-based learning. To be specific, I proposed relationship conflict as mediator and attempted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when openness to diversity and task conflict predict team commitment and achievement that are main variables of team outcomes. Openness to diversity has gained attention recently since diversity among university learner group grows. Rather than how much team members are heterogenous, how much each member can understand or tries to understand each other during communications and discussions is more appropriate for current university situations. Unlike results on task conflict effects research shows its mixed effects, relationship conflict consistently reported that it leads to negative outcomes. While early conflict research attempted to verity each type of conflict’s effects individually, Simons and Peterson(2000) found out they in fact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are interrelated which caused changes in viewpoint in regard to conflict research. They asserted that each type of conflict interacts with each other so that positive effects of task conflicts evolve into relationship conflict which has negative impacts. In this regard, nowadays, the concept of conflict transference from task conflict to relationship conflict has been raised. Relationship conflict contains negative effects and attempts to reduce its negative effects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professors applying team-based learning in their classes. Based on existing studies I proposed openness to diversity, task conflict, team commitment and achievement as main variables to verify relationship conflict’s mediating effects among their relationship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does relationship conflict plays as mediator, when openness to diversity and task conflict predict team commitment? Second, in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does relationship conflict plays as mediator, when openness to diversity and task conflict predict achievement? To test proposed hypothese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who enrolled in liberal arts course in 2017 Winter semester that they are taught with practice-based learning. Based on collected data, I utilized SPSS 18.0 to verify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through Baron & Kenny(1986) moderation model. Analysis results along with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in relation between openness to diversity and team commitment, relationship conflict is found out to fully mediate between them. Also, as the result of mediation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in relation between task conflict and team commitment, relationship conflict shows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m. Second, as the result of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in relation between openness to diversity and achievement, relationship conflict is found out to partially mediate between them. Also, as the result of mediation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in relation between task conflict and task conflict, relationship conflict shows ful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ness to diversity and conflict in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context. Existing studies have found out that diversity has negative effects on team outcomes but suggestions that openness to diversity will have positive impacts were based mostly on theoretical study. Particularly, discussions on openness to diversity have been held with creativity and its positive effect on achievement has been predicted by existing stud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not only found out effects of openness to diversity on team commitment and achievement but also found out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in this relationship. Second, this study verified necessity of openness to diversity since it influences on team commitment through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and has partial impacts on achievement in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This implies that not only universities but also professors should consider diversity issues and encourage students to meet and interact with various students which can help them understand and embrace diversity. Third, theoretical enlargement was implied by empirically verifying conflict transference from task conflict to relationship conflict. Negative effects of conflict were found out by verifying that task conflict predicted relationship conflict positively and relationship conflict predicted team commitment and achievement negatively. This finding will provide other findings in conflict management in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through further research. Fourth, task conflict not only had partial negative effects on team commitment and achievement but evolves into relationship conflict which is found out to play dysfunctional role both on process and outcome in context of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Research results implies importance of managing conflicts and planning teaching strategies focusing on reducing possibilities of conflict transference for professors.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e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tudents of Winter semester and each team was organized with no limits of team members. Therefore,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should be reviewed by conducting studies on students of regular semesters in order to apply the results in regular semesters. Second,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should be reviewed with different mediating effect analysis methods such as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addition,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re needed to be verified structurally with suggested method. Third, further researches on conflict transference are needed to give concrete shape. Variables that influence on conflict transference are needed to be investigated which will provide more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fessors when managing team-based learning in their classes. Fourth, more understanding on foreign students in their team-based learning process is needed. For further researches, more methods such as development of scale for foreign students, direc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should be u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